지성과 직관


우리는 어떤 사물이나 대상에 대하여 개인의 철학이나 문화적, 민족적 특성에서 오는 관념을
토대로 단편적인 결론이나 단정을 짓게 됩니다.
이러한것이 자아의 사고에 많은 영향을 미칠때 그것은, 우리를 속단과 왜곡 그리고 몰이해라는
감정적이고 정신적인 큰 피해의식을 갖게 합니다.
또한 남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가장큰 걸림돌이 되어 대인관계마져 엉망으로 만들어 놓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사고과정에서 전체의 그림을 바라보는 본질과 일반화된 보편성 이 두가지의
합리적인 사고가 공식적인 영성인의 사고법칙이 되어야만 개인과 개인, 문화와 문화,
사상과 사상의 만남에 외형을 뚫고 서로의 진실을 이해할수가 있습니다.
우리가 가진 인식의 능력에는 환경과 성격적 제한이 있기때문에 우리는 서로를 직시할수
없습니다.
그러기에 상대방의 본질을 바라보려는 자세와 자기속단의 몰이해를 버리고 보편적 시각차이를
인정할때 자아는 확대되고 이상과 현실은 조화롭게 균형잡히며 상대방의 영혼을 볼수
있을것입이다.

본질과 보편성 이 두가지를 놓고 풀어볼 이야기는 영성의 시각에서본 동양적/서양적 우주관
입니다.
상식적으로 동서문화의 특색을 놓고 설명할때 서양은 과학과 기술의 문명발전을 놓고,
동양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움을 놓고 말할수 있습니다.
쉽게말해 비교철학에서 말하는 서양적 우주관은

"원자"라는 관찰할수 없는 실체를 인지한후, 이로부터 연역하여 이세상의 모든것을 설명하려는
합리적,논리적 [지성에 의한 개념]의 시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동양적 우주관은

"하늘"이라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후, 직접 보고 느끼는 바를 그대로 인지하며 전체의
모든것을 통합하는 [직관에 의한 개념]의 가지고 있습니다."

로 이해할수 있으며 이것으로 바탕을 잡아
지성과 추리에 의한 서양적영성과 직관에 의한 동양적영성으로 나눌수 있겠습니다.
서양적영성이 관찰되지 않은 실체를 식별하고 존제로써 예측하게하는 분별력의 우주관을
성립하게 한다면  동양적영성의 우주관은 포괄적인 전체를 감지하는 고차원적인 직관이며
형이상학적인 고찰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영성계에는 이같은 두가지 측면을 대표하는 영성인들이 존제하기에 대립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기에 저는 동양의 "도(道)"에 관한 영성과 서양의 "지(智)"적인 영성이 다르다가 아닌
같다는 하나됨을 기원합니다.

다시말해 "보고느끼는것[직관]" 과 "생각하는것[분별]" 을 통해 "완전한 이해[하나]" 가
오는 것입이다.
우리는 먼저 보고 그다음 생각하게 되는데 보는것이 없이는 생각할수가 없습니다.
예를 들어 "나이가라폭포"의 그림을 통해 우리는 먼저 자연의 웅장함이란 전체적인 느낌의
직관을 얻게됩니다.
그후에 굽이쳐흐르는 폭포의 거대한 크기 그리고 어지러히 둘러쌓인 풀들과 나무,
지저귀는 새들과 절벽위의 사슴등을 분별하고 식별하여 다시한번
확장된 감각의 영역 전체를 보고 느끼고 자각할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보고 느끼고 자각하는 전체영역의 의식을 가져오기 위해선 먼저 "보는나"와
"보이는 대상"을 통합하여 볼수있는 직관이 필요하며 그다음 "개체적 형상"을 식별하고
분별하여 대상의 본질을 파악하는 지성적인 앎이 요구됩니다.
참으로 직관과 지성은 궁극적 실체를 파악하는 떼어놓을수 없는 영성의 인식과 이해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양의 "지"적인 영성은 조직체계와 질서적인 자신의 역활을 수행하며 궁극의 신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가지고 있으며 동양의 "도"적인 영성은 전체의 자유로움의 흐름속에서
자신을 수행하며 궁극의 신성을 찾아가는 여정을 가지고있습니다.
이 둘은 서로 나뉘어졌지만 하나로 뭉치게 되면 자아도 없고 신성도 없는 하나.....
그 자체가 완벽이 될것입이다.
영성의 목적이 하나됨의 신성이기에 서로의 간격을 초월하여 영혼과 영혼을 이해하면 궁극적
인 더 큰 "한마음" 의 창조로 우리를 이끌어 갈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대는 지성의 영성입니까?
아니면 직관의 영성입니까?
사실 그 대답은 필요없습니다. 그대가 바라는것이 하나됨의 신성이라면 말입니다.
      




게시판에 글이 어울리지 않아서 나의 노래. 지혜의 카타고리로 옮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