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을 행복으로 바꾸는 삶의 지혜

티베트에서 온 행복의 열쇠 / 라마 소파 린포체 지음
                          / 주민황 옮김 / 정우사



                         차     례
                티베트에서 온 행복의 열쇠

서문 -5

1. 삶의 목적
우리는 다른 중생들을 돕기 위해서 소중한 인간의 몸으로 태어났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고귀한 존재입니다 -15
깨달음으로 이끄는 사고전환법 -17

2. 고통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보기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듯이, 또는 음악을 좋아하듯이 고통을 좋아한다는 생각이 자연스럽게 일어나야합니다.

고통은 행복을 만드는 원천입니다 -23
고정관념을 버리십시오 -25
생각을 바꾸면 고통에서도 도움받을 수 있습니다. -29
고통을 즐겁게 받아들이십시오 -34

3. 행복과 고통은 마음의 창조물
행복과 고통은 우리의 마음가짐과 선택에 달려 있습니다. 그것들은 외부환경이나 남에게서 오는 것이 아닙니다. 모든 행복과 고통은 우리 마음이 만들어냅니다.

작은 염원이 행복과 고통을 만듭니다 -41
행복과 고통은 실체 없는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44

4. 분노와 욕망을 버려야 하는 까닭
분노의 고통은 가슴속에서 빨갛게 불타는 뜨거운 석탄과 같습니다.
욕망은 끝이 없습니다. 때문에 끝없이 욕망을 좇아봐도 만족을 찾지 못합니다.

분노에 휩쓸리면 상처만 남습니다 -51
욕망을 좇는 삶은 공허합니다 -54
모든 고통은 욕망에서 비롯됩니다 -61

5. 명상을 통해 고통을 행복으로 변화시키기
원하지 않는 상황까지도 즐겁게 받아들이는 태도가 가장 효과적인 사고전환법입니다. 그것이 고통을 행복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장애를 만날 때마다 기꺼이 받아들이십시오 -67
고통의 바다 저편에 행복이 있습니다 -72
고통스러울 때 귀의심을 일으킵니다 -78
고통을 통해서 자만심은 사라집니다 -80
함께 기뻐하는 것이 주는 행복을 아십니까 -83
고통은 나쁜 업을 소멸시킵니다 -88
선행을 쌓으십시오 -93
자비심을 기르고 친절을 베푸십시오 -95

6. 남을 대신해 기꺼이 고통을 겪기
남을 대신해서 하기 싫은 모든 것들을 내가 겪습니다.

이기심을 버리고 타인을 소중히 여기십시오 -101
나쁜 것은 내가 받고 좋은 것은 남에게 줍니다 -109
주고받기의 삶이 주는 행복 -111

7. 행복의 열쇠
행복을 계속 밖에서만 구한다면 행복은 얻을 수 없습니다.
만족도 모르고 끝도 없는 고통 속에서 우리는 지칠 뿐입니다.

가장 강한 무기는 착한 마음입니다 -119
생각을 바꾸면 행복해집니다 -124
행복은 당신 안에 있습니다 -126

옮긴이의 말 -131

용어설명 -136

              *********************

5. 명상을 통해 고통을 행복으로 변화시키기/  고통을 통해서 자만심은 사라집니다

우리가 어려움을 겪을 때마다 그것을 이용해서 자만심을 없애십시오. 앞서 말한 것처럼, 우리는 자제 능력 없이 언제나 업과 혼란한 생각들에게 지배당하고, 끊임없이 세 가지의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조건 지워진 본질적 고통’과 ‘변화하는 고통’과 ‘고통스러운 고통’입니다. 그것을 기억하며, 이렇게 생각하십시오. ‘나는 자만심을 없애리라. 자만심은 수많은 좋은 자질들을 파괴하는 적이야. 다른 사람들을 돌보지 않는 이 나쁜 이기심을 없애리라.’

자신이 겪는 고통을 생각하면 자만심이 생기지 않습니다. 『입보리행론』에 언급된 것처럼, 고통을 받아 의기소침해지면 자만심은 사라지고, 다른 사람을 향해 자비심을 일으킵니다. 나쁜 업을 짓지 않으려고 조심하게 되고 미덕을 좋아하는 마음이 일어납니다.

‘마음수련법’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칭찬받는 것은 좋지 않다. 비판받는 것이 더 낫다. 칭찬을 받으면 큰 자만심이 생긴다. 비판을 받으면 우리의 잘못이 사라져 버린다.

달리 말하면, 비판받는 것이 도움이 되는 이유는 비판받는 즉시 자만심을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자만심이 사라지면 인생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칭찬을 받으면 자만심이 생깁니다. 자만심을 방치하면, 그 과보로 깨달음으로 이끄는 수행을 할 자유가 없는 악귀의 세계에 태어나거나, 극빈자나 하층계급이나 맹인이나 노예로 태어납니다. 그렇게 태어나면 나와 남의 행복을 위해서 일하고 싶은 열망이 아무리 강해도 실천할 능력이 없고 성공하지도 못합니다.

중요한 점은, 자만심을 방치해두면, 우리의 마음이나 자질들을 향상시킬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자만심을 갖고 있으면 깨달음을 얻을 수 없습니다. 카담파 학자들이 말한 것처럼, 공이나 풍선처럼 완전히 동그란 것 위에 물을 부으면, 물은 그 위에 머물 수가 없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좋은 자질들은 자만심으로 가득 차 있는 사람의 마음에 머물 수가 없습니다. 부처님의 모든 가르침은 자만심을 없애기 위한 것이라고 카담파 학자들은 말했습니다.

자만심을 제어하는 중요한 방법의 하나는 자신의 잘못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성공을 생각하면 자만심이 생깁니다. 자신의 잘못을 생각하면 마음에서 자만심이 사라집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얼마나 무지한지 생각해 보고, 경전 속에 있는 방대한 주제에 대해서 아는 것이 얼마나 미미한지를 생각해 보십시오. 람림 명상법에 대해서 듣긴 들었지만 아직 이해하지 못한 내용에 대해서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가 안다고 생각하는 주제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단어의 의미는 알지만, 마음으로 이해하지는 못했습니다. 세속적 교육의 차원에서도 우리가 무지하다는 것을 생각해 보십시오. 우리는 자신의 ‘오온’과 감각의 본질조차 이해하지 못합니다. 이런 식으로 생각해 보면 자만심은 사라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