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한민족의 맥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역 사
[정상회담] 남북 정상, 백두산 천지에오르다
평양공동취재단-박한균 기자
기사입력: 2018/09/20 [11:42]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남북정상회담 사흘째인 20일 오전 백두산 천지에 올랐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평양정상회담 마지막 날 2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라 손을 맞잡아 들어올리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평양정상회담 마지막 날 2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라 손을 맞잡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평양정상회담 마지막 날 2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올랐다. 수행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평양정상회담 마지막 날 20일 오전 문재인 대통령 부부와 김정은 국무위원장 부부는 백두산 정상인 장군봉에 오른후 기념촬영을 마치고 케이블카를 타고 백두산 천지로 이동하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가 20일 오전 백두산 천지에서 서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일 오전 백두산 천지에 올라 대화를 나누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가 20일 오전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와 백두산 천지를 산책하던 중 천지 물을 물병에 담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0일 오전 백두산으로 가기 위해 평양 순안공항으로 이동 중 환송 나온 평양 시민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0일 오전 백두산으로 가기 위해 평양 순안공항으로 이동하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20일 오전 백두산으로 가기 위해 평양 순안공항으로 이동 중 평양 시민들이 환송을 해주고 있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역사적인 ‘9월 평양공동선언합의서에 서명하고 남북정상회담 마지막 일정으로 20일 백두산에 올랐다.

 

오늘 문재인 대통령은 오전 727분 평양순안국제공항을 출발해 오전 820분 삼지연공항에 도착했으며, 미리 와 있던 김정은 위원장 부부의 영접과 군악대, 의장대, 시민들의 환영을 받았다. 이어 오전 830분 백두산 남쪽 장군봉을 향해 출발했다.

 

남북 정상은 장군봉을 둘러본 후 백두산행 열차가 오가는 향도역에 들리고 오전 10시 10분 케이블카를 타고 10시 20분께 마침내 천지에 올랐다. 청와대는 남북 정상 부부가 천지 주변을 산책했고 여기에 강경화 외교부 장관 등이 함께했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 일행은 백두산 등반을 마친 뒤 삼지연공항에서 바로 성남공항으로 귀환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백두산 등반은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월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한 발언을 염두에 두고 김정은 위원장이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427일 판문점 정상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저녁 만찬에서 건배사로 내가 오래전부터 이루지 못한 꿈이 있는데 바로 백두산과 개마고원을 트레킹하는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남북정상회담 사흘 째 오전 933분경 문재인 대통령 내외와 김정은 국무위원장 내외가 백두산 천지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장군봉에 동시에 도착했다.

 

이미 김여정 제1부부장 등 북측 주요인사는 장군봉에 도착해 있었다.

 

두 정상 내외는 천지가 내려다보이는 위치로 이동해 환담을 나누었다.

 

먼저 김정은 위원장은 중국 사람들이 부러워합니다. 중국 쪽에서는 천지를 못 내려갑니다. 우리는 내려갈 수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국경이 어디냐고 묻자 김 위원장은 손으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리키면서 백두산에는 사계절이 다 있다고 설명했다.

 

리설주 여사는 “(백두산은) 7~8월이 제일 좋습니다. 만병초가 만발합니다라고 말하자 문 대통령이 만병초가 우리 집 마당에도 있습니다라고 답했다.

 

김 위원장은 꽃보다는 해돋이가 장관입니다라고 말하자 문 대통령은 한라산에도 백록담이 있는데 천지처럼 물이 밑에서 솟지 않고 그냥 내린 비, 이렇게만 돼 있어서 좀 가물 때는 마릅니다라고 화답했다.

 

김 위원장이 옆에 있는 보장성원에게 천지 수심 깊이를 묻자 리 여사가 “325m입니다. 백두산에 전설이 많습니다. 용이 살다가 올라갔다는 말도 있고, 하늘의 선녀가, 아흔아홉 명의 선녀가 물이 너무 맑아서 목욕하고 올라갔다는 전설도 있는데, 오늘은 또 두 분께서 오셔서 또 다른 전설이 생겼습니다라고 설명을 했다.

 

김 위원장은 백두산 천지에 새 역사의 모습을 담가서, 백두산 천지의 물이 마르지 않도록 이 천지 물에 다 담가서 앞으로 북남 간의 새로운 역사를 또 써 나가야겠습니다라고 하자 문 대통령이 이번에 제가 오면서 새로운 역사를 좀 썼지요. 평양 시민들 앞에서 연설도 다하고라고 답했다.

 

이에 리 여사는 연설 정말 감동 깊게 들었다고 호응했다.

 

문 대통령은 제가 위원장께 지난 4.27 회담 때 말씀드렸는데요. 한창 백두산 붐이 있어서 우리 사람들이 중국 쪽으로 백두산을 많이 갔습니다. 지금도 많이 가고 있지만, 그때 나는 중국으로 가지 않겠다, 반드시 나는 우리 땅으로 해서 오르겠다 그렇게 다짐했었습니다. 그런 세월이 금방 올 것 같더니 멀어졌어요. 그래서 영 못 오르나 했었는데 소원이 이뤄졌습니다고 말하자 김 위원장이 오늘은 적은 인원이 왔지만 앞으로는 남측 인원들, 해외동포들 와서 백두산을 봐야지요. 분단 이후에는 남쪽에서는 그저 바라만 보는 그리움의 산이 됐으니까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이제 첫걸음이 시작됐으니 이 걸음이 되풀이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오게 되고, 남쪽 일반 국민들도 백두산으로 관광 올 수 있는 시대가 곧 올 것으로 믿습니다고 화답했다.

 

김정은 위원장이 천지에 내려가겠냐고 문재인 대통령에게 묻자 . 천지가 나무라지만 않는다면 손이라도 담궈 보고 싶습니다라고 답했다.

 

김 위원장이 천지가 제일 보기 좋은 곳이라며 같이 사진을 찍자고 제안했으며 천지를 배경으로 두 정상이 천지를 배경으로 사진을 촬영했다.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함께 손을 잡고 사진을 찍자 주변에 있던 공식수행원, 북측 관계자, 기자단이 웃으며 박수를 쳤다.

 

김 위원장이 대통령님 모시고온 남측 대표단들도 대통령 모시고 사진 찍으시죠? 제가 찍어드리면 어떻습니까?”라고 말해 수행원들이 크게 웃었고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양측 수행원들과 번갈아가면서 기념사진을 촬영했다.

 

이어 두 정상 내외는 환담을 계속했다.

 

리설주 여사가 우리나라 옛 말에 백두에서 해맞이를 하고, 한라에서 통일을 맞이한다는 말이 있습니다라고 하자 김정숙 여사가가 한라산 물 갖고 왔어요. 천지에 가서 반은 붓고 반은 백두산 물을 담아갈 겁니다.”라고 답했다.

 

한편, 김영훈 해양수산부 장관이 이번에 서울 답방 오시면 한라산으로 모셔야 되겠습니다라고 하자 문 대통령이 어제, 오늘 받은 환대를 생각하면, 서울로 오신다면 답해야겠습니다고 호응했고 송영무 국방부 장관은 한라산 정상에 헬기 패드를 만들겠습니다. 우리 해병대 1개 연대를 시켜서 만들도록 하겠습니다라고 말해 모든 사람들이 웃었다

 

백두산에서 환담을 나눈 두 정상 내외는 11시경 오찬 장소인 삼지연초대소로 이동했다.

 

 


광고

분류 :
한민족
조회 수 :
867
등록일 :
2018.09.20
22:19:13 (*.223.26.202)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history/624726/812/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62472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추천 수 비추천 수 날짜
공지 지구 적을 바로 보지 못하면 적의 하수인으로 춤추게 됩니다 아트만 6467     2022-01-13
공지 우주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11779     2020-05-14
공지 지구 지구/ 조선의 역사와 현재의 숨겨진 진실을 찾아가는 대조선삼한역사학회 아트만 16792     2019-01-26
공지 지구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12453     2018-09-06
공지 우주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아트만 16251     2015-08-17
공지 한민족 정치포탈 서프라이즈 - 제정신 가지고 사는 이들이 모인곳 아트만 30152     2014-07-12
공지 한민족 뉴스타파 - 시민의 회비로 운영되는 / 믿을 수 있는 언론 아트만 18064     2014-07-12
공지 지구 한민족의 맥에 올려지는 현실 정보에 대하여 아트만 27700     2013-08-03
1363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7064...샤이엔 락다운 해제 등.... 아트만 853     2022-10-15
 
1362 한민족 뉴스타파 – 박근혜의 애완견과 ‘코드예산’ (2014.1.10) 아트만 853     2014-01-11
 
1361 지구 (개벽예감 348) 파키스탄과 리비아를 거쳐 미국에 간 조선의 핵탄두 설계도 아트만 853     2019-05-23
 
1360 지구 김정은, 트럼프 정상회담은 조선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첫 거름 아트만 854     2018-03-14
 
1359 지구 [번역기고-2]미제국주의의 위기(2) 아트만 858     2014-03-02
 
1358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7273...전세계 인류 깨어나기 시작 아트만 858     2023-03-22
 
1357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6962...비샵이 키미에게 보낸 메세지 아트만 859     2022-10-03
 
1356 지구 조선, 러시아 극초음속 비행체 마하-10,~20인데―미, 극초음속 속도 마하-5를 넘지 못해 아트만 859     2018-08-18
 
1355 지구 미 CIA요원 죽기 직전, 9.11은 자작극이라고 고백 아트만 859     2018-09-25
 
1354 한민족 2차북미정상회담 확정 뒤 통일을 안고 통일처럼 아트만 860     2018-12-12
 
1353 한민족 역사 오행 - 2020경자년, 국운이 열리고 백성이 깨어나 / 박인수 아트만 861     2020-04-06
 
1352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7002...10월1일 2022년 사타닉 모임 아트만 862     2022-10-05
 
1351 지구 이 땅은 1950년의 조선반도가 아니다 아트만 863     2014-06-17
 
1350 지구 푸틴 대통령의 충격 선언, "북 핵보유 할 수밖에 없어" 아트만 863     2017-06-09
 
1349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6861...킴버가 깨어나면.... 아트만 866     2022-09-22
 
1348 지구 돌아온 위키리크스 vs. 미 첩보제국주의 아트만 866     2015-07-25
 
1347 지구 김정은제1비서 <인민중시,군대중시,청년중시의 3대전략으로 조선혁명 완수할것> 아트만 866     2015-10-11
 
» 한민족 [정상회담] 남북 정상, 백두산 천지에오르다 아트만 867     2018-09-20
[정상회담] 남북 정상, 백두산 천지에오르다 평양공동취재단-박한균 기자 기사입력: 2018/09/20 [11:42] 최종편집: ⓒ 자주시보 ▲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남북정상회담 사흘째인 20일 오전 백두산 천지에 올랐다. © 평양사진공동취재단 ▲ 평양정...  
1345 지구 예정웅 자주논단(432) 조선, 미 제재해재 없다면《새로운 길》모색 아트만 868     2019-01-15
 
1344 우주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6776...지난 이야기 하나 아트만 868     202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