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한 마스터들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가 있을까요? 역사를 살펴보면, 사람들이 실재하는 것과 실재하지 않는 것에 대해 의문을 해소하는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는 주류의 종교가 받아들이고 있는 접근 방식으로, 의심해서는 안 되는 절대적인 권위를 가진 자가 존재한다는 주장입니다. 나머지 하나는 유물론적인 과학이 채택하고 있는 방식으로, 검토될 수 있고, 과학적인 기구로 측정될 수 있는 것만이 실체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상승한 마스터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데에는, 이러한 방법들이 모두 적용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마스터들은 이 세상의 전통이나, 조직에 기초한 권위를 전혀 주장하지 않습니다. 사실, 이들은 세속적인 권위 혹은 조직에 의해 제약을 받는 것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현재까지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이들의 존재를 증명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을 벗어난 방법이 존재하지 않을까요? 정말로, 존재합니다. 그리고 자아의 내면으로부터 지식을 얻는 것은 여러분의 능력입니다.


이것이 바로 전통적으로 신비적인 혹은 직관적인 접근 방식이라고 불렸던 것입니다. 역사적으로 말하면, 신비적인 접근법은 종교적인 권위와 유물론적인 과학적 증거에 대한 대안입니다. 대다수의 주류의 종교들은 신비적인 부분(branch)을 가지고 있으며, 사실, 그 종교의 창시자들은 대개 신비주의자들이었습니다.


여러분은 신비주의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듣지 못한 이유에 대해 궁금해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먼저, 주류의 종교 및 유물론적인 과학이 신비주의를 인정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신비적인 접근 방식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수준의 영적인 성숙도에 도달해야 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신비주의자들은 자기 스스로를 드러내려고 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진정한 열쇠는 마음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신비적인 접근 방식이 무엇일까요? 본질적으로, 신비적인 접근 방식에 따르면, 유물론적인 증거를 포함하여, 이 세상에 존재하는 어떠한 근거로도 확인하지 못하는 진실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그러한 방법은 내적인 길, 즉 직관적이고, 신비적인 체험을 뜻하는 것입니다. 종교 혹은 정치적인 권력이 하는 말을 믿어서는 안 되며, 과학 단체가 하는 말도 믿어서는 안 됩니다. 여러분은 오로지 직접적이고, 내적인 체험을 통해 확인한 것만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분명히 말해, 이 세상에서 권위를 가진 자들은 신비적인 체험이라는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이 말은 이들이 강력한 신비적인 체험을 한 적이 없다는 것을 의미함), 이러한 체험을 완전히 주관적인 것이라고 말할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믿음이 주관적일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완전한(전체의) 정황은 아니며, 과학 그 자체는 여기에 대해 아주 좋은 증거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양자 물리학의 발달로 인해, 유물론자들이 말하는 것처럼, 마음을 차단시킴으로써,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들의 입장이 틀렸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그 대신에 양자 물리학은 진정으로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는 열쇠는 마음의 본질을 이해하는 거라는 사실을 증명했으며, 정확하게 말하면, 신비주의가 수천 년 동안 추구해오고 있는 것이 바로 이러한 마음의 본질입니다.



신비적인 방식으로 객관성에 접근하기


일반적으로, 상승한 마스터들과 신비주의는 객관성이라는 문제에 대해 뭐라고 말할까요? 수천 년에 걸쳐, 신비주의가 말하고 있는 것은 인간의 마음은 명백하게 서로 다른 두 개의 의식 상태에 있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한 가지 의식 상태에서는, 필터에 의해 우리가 보는 모든 것이 채색이 되는 것이며, 이는 세상에 대한 우리의 체험이 전적으로 주관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다른 의식 상태에서는, 명확한 혹은 중립적인 비전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보게 됩니다. 따라서 진실로 세상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물론, 제3의 상태, 즉 객관적인 마음 상태를 힐끔 보기는 했지만, 이러한 비전이 - 크고 작은 정도에 따라 - 주관적인 상태에 의해 물들게 되는 상태도 존재합니다. 이것은 순수한 신비적인 체험을 한 두 사람이 이러한 체험을 다른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기독교인과 무슬림 둘 다 자신들이 믿는 종교가 옳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것으로 신비적인 체험을 확신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상승한 마스터들에 의하면, 길(path)은 우리가 보다 높은 의식 상태를 힐끔이라도 보게 됨으로써, 시작하게 되는 과정이라고 합니다. 그런 다음, 순수한 비전을 얻을 때까지, 우리는 모든 주관적인 요소로부터 점차적으로 우리의 마음을 정화하게 됩니다. 이와 같이 더 높은 의식 상태는 깨달음, 순수한 각성 혹은 그리스도의 의식 등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려 왔습니다. 상승한 마스터들의 가르침들은 더 높은 의식 상태로 향해 가는 이러한 여정을 우리가 마무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들입니다.
 
 

신비적인 체험을 할 때까지, 여러분은 마스터들의 존재를 진정으로 인정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오늘날에는, 마스터들의 가르침들은 누구나 찾을 수 있는 책과 웹사이트를 통해 자유롭게 활용할 수가 있습니다. 따라서 직관적인 체험을 하지 않고도, 사람들은 가르침들을 찾아낼 수가 있습니다. 많은 의문들에 대해, 가르침들이 실제로 답을 해줄 수가 있기 때문에, 지적인 추론에 기초하여, 사람들은 가르침들의 가치를 인정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마스터들이 실재하느냐 하는 문제를 진정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적인 체험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체험을 한다고 해서, 일반적으로 증거라고 부르는 것을 얻을 수는 없을 것입니다. 단지 “내적인 앎”이라는 미묘한 느낌을 얻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어떤 것을 분명히 실재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말은 했지만, 개인적인 체험을 하기 위해, 진지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많은 영적인 구도자들을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실현 가능성이 아주 희박한 것을 믿고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매년 예루살렘을 방문하여, 예수님의 발자취를 따르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는 자신들이 재림한 그리스도이며, 세상을 구하는 것은 자신들의 손에 달려 있다고 확신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신비적인 체험을 이해한다면, 이러한 사람들에게는 아주 특별한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마음이라는 만화경(kaleidoscope:萬華鏡)


만화경(Kaleidoscope) : 거울로 된 통에 형형색색의 유리구슬, 종잇조각 등등을 넣어 아름다운 무늬를 볼 수 있도록 만든 장치이다. 한쪽 끝을 통해 만화경을 들여다보면, 반대쪽에서 들어온 빛이 각종 무늬를 나타낼 조각들을 거치고 거울에 의해 계속 반사되면서 평면상에 아름다운 무늬를 볼 수 있다.


상승한 마스터들은 직관에 대해 심오한 가르침을 전해주었습니다. 이들은 인간의 마음을 만화경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만화경은 관(管)으로, 그 내부는 여러 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사이는 색깔이 들어 있는 유리조각들이 들어 있습니다. 관을 회전시키면, 유리조각들이 재정렬되면서, 다양한 색상의 패턴들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유리조각들은 우리의 의식과 무의식 속에 들어 있는 많은 개념과 믿음들에 비유될 수가 있습니다. 살아가면서, 우리가 어떠한 상황을 만나게 되면, 마음의 만화경은 회전하면서, 특정한 색상의 패턴을 만들어내게 되며, 그 후 우리는 의식적으로 상황을 체험하게 됩니다. 여기에는 하나의 심오한 의미가 담겨 있으며, 그것은 우리가 마음속에 지니고 있는 개념들과 특정한 상황들에서 이러한 개념들이 어떻게 정렬되느냐에 따라 우리가 체험하는 삶, 즉 삶의 체험이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마스터들의 가르침에 따르면, 대다수의 사람들은 알아채지도 못한 채, 삶을 체험하고 있다고 합니다. 주어진 상황에 의해, 어떠한 패턴의 반응을 촉발시키면, 마음이라는 만화경 속에 들어 있는 유리조각들의 색상에 따라, 사람들이 하는 선택은 완전하게 채색이 됩니다. 사람들은 왜 그렇게 반응하는지도 알지 못한 채, 반응하게 되며, 어떤 형태의 상황에는 이렇게 하는 것이 그들이 반응할 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라고 대개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의식 및 무의식적인 마음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들을 살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자신들의 반응을 통제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눈 속에 들어 있는 들보를 보려고 하지 않는 것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마스터들은 자기계발에 이르는 길을 제시해주고 있으며, 그렇게 함으로써 우리는 물질세계에서 만나게 되는 여러 상황들에 대한 반응을 점차적으로 통제할 수가 있게 되는 것입니다. 잠재의식 속에 들어 있는 낡은 패턴에 의해 결정되는 반응이 아니라, 자유롭고, 객관적인 선택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배울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길을 가기 위해서는 한 가지 근본적인 사항을 깨닫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