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은 북중국 일대의 100여개의 피라미드 유적들을 공개하라!

중국 당국은 북중국 일대의 100여개의 피라미드 유적들을 공개하라!

중국 당국은 북중국 일대의 100여개의 피라미드 유적들을 공개하라!





[한겨레 : 2003년 11월 10일자 기사] 고구려사는 한국사인가, 중국사인가 대다수 한국인에게 터무니 없어 보이는 물음이 양국 역사학계의 주요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국의 변방사라며, 이를 입증하기 위한 연구와 논리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설명]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국 역사속에 편입시키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면서 한•중 역사학계의 뜨거운 논란이 예상되고 있다. 사진은 중국 지린성 지안현 퉁거우 지방에 있는 고구려 장군총. 학계는 이 적석총(돌무지무덤)이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반에 축조된 광개토대왕 또는 장수왕의 무덤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직후부터 국경지역 소수민족정책과 관련해 “중국은 통일적 다민족국가이며, 따라서 중국 영토 안에서 이뤄진 역사는 모두 중국 역사”라는 주장을 펼쳐왔다. 지난해 초부터 중국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中國邊疆史地硏究中心) 주도로 진행 중인 ‘동북공정’ 5개년 연구프로젝트에서는 이런 주장에 대한 더욱 정교한 이론적 틀거리를 갖춰가고 있다. 동북공정은 고대 중국 동북변방의 역사에 관한 연구의 통칭으로, 5년 동안 연구비만 200억 위안(약 3조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국책사업으로 알려졌다. 월간 <신동아> 9월호는 중국 <광명일보> 인터넷판에 실린 ‘고구려 역사연구의 몇가지 문제에 대한 시론’ 전문을 번역에 싣기도 했다.

시민단체연합인 일본교과서바로잡기운동본부가 지난달 31일 ‘한-중 역사전쟁, 고구려(사)가 위험하다’란 주제로 연 긴급토론회는 중국쪽 논리와 한국쪽 대응논리 및 방안을 한 눈에 비교해볼 수 있는 자리였다.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사학과 교수는 ‘한•중 역사인식의 접점과 논거’를 발제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쪽 주장의 논거는 ①고구려인의 뿌리는 고대 중국의 소수민족 ②고구려 건국 지역 및 기본 관할범위가 중국 경내 ③고구려는 중원왕조의 책봉을 받은 종속관계 ④수•당의 고구려 원정은 침략전쟁이 아니라 변방 할거세력 통제 ⑤고구려 멸망 이후 대다수 유민이 한족(漢族)으로 편입 ⑥고려는 고구려의 계승자가 아니며 역사적 연속성•상관성 전무 등이다.

이에 대한 우리 학계의 반박논리는 ①고구려 건국세력은 압록강 일원에서 농경하던 예맥족으로, 만주계와 구별되는 우리 민족의 조상 ②고구려는 한(漢) 군현인 현토군을 압록강 중류 일대에서 요동 방면으로 몰아내면서 건국 ③조공•책봉 관계는 전근대적 외교형식이며 실질적 내용은 시기별로 다양 ④주변국을 생각하지 않는 중화주의적 세계관 ⑤고구려의 문화•역사는 통일신라와 발해를 거쳐 우리 민족문화로 이어졌으며, 중국 등지로 이주한 유민은 고유한 정체성 상실 ⑥사료의 자의적 해석과 왜곡 등이다.

윤휘탁 동아대 교수는 “동북공정은 한국의 고대사 연구자료들과 논리를 분석해 대응논리를 개발하고, 남북통일 이후 예상되는 국경•영토분쟁에 대비하며, 조선족 사회의 혼란을 예방하려는 국가 차원의 동북아전략”이라고 규정했다.

한편, 고대사 연구에 천착해온 윤내현 단국대 교수는 “비파형 청동검, 적석총 등 고대유물과 <한서> <사기> <여씨춘추> 등 중국 고문헌을 보더라도 고구려사가 한민족 역사라는 점이 분명하다”면서 “우리가 역사적 뿌리를 주장하려면 한반도와 만주를 하나의 영토로 통치한 우리 역사상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역사를 먼저 살리지 않으면 안된다”고 밝혔다. 그는 ”일제가 ‘실증사학’이란 명분으로 한민족사를 축소•왜곡한 영향이 아직도 우리 학계에 남아 있다”며, “중요한 것은 ‘감정적 대응’이 아니라 ‘학술적 입증’인만큼 이제부터라도 고대사 분야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토론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일준 기자 iljun@hani.co.kr

[정부, 학계] 뒤늦게 “그건 아니야” 고대사 연구,중국교과서 분석…대책기구 구성 대응나서

정부와 한국 학계는 뒤늦게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대응에 나섰다.

정부 쪽에서는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이하 연구위)가 대응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위는 2001년 한•일 정상회담 당시 일본의 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해 양국 정부가 공동대응하기 위해 발족한 한시기구로, 우리쪽 연구위는 교육부에 속해 있다. 연구위는 현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 위탁해 중국 교과서 26종을 포함한 44개국 148책의 한국역사 관련 내용을 분석 중이다. 연구위가 밝힌 정부의 대응전략은, 교육부의 학술진흥으로 학계가 연구성과를 쌓으면 외교부가 이를 바탕으로 대응하되 정당과 시민단체가 감시•후원과 국제연대를 추진한다는 것이다.

당면과제로는 △중국의 역사왜곡 실태 정보 확보 △세계문화유산의 북한지역 유물 등재 누락 방지 등이 제시됐다.

한국고대사학회는 지난 8일 경희대에서 열린 월례 연구발표회에서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 논리를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반박하기 위한 대책기구를 구성한 데 이어, 내년 3월 고구려 고분벽화를 주제로 한 국제학술대회를 열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여론을 조성할 계획이다.

정신문화연구원 산하 민족문화연구소는 오는 12월15일 세종문화회관 콘퍼런스홀에서 ‘동북아시아 고대사 연구의 방향’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여는 한편, 고대사 연구자 양성 및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고대사연구소’를 신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