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2005년 영국 크롭서클 주변에서 촬영된 디스크 형태의 물체

저자: Nancy Talbott Cambridge, Massachusetts (USA)

번역 : 시디

© 2006, BLT Research Team Inc.All rights reserved.Photos/illustrations cannot be reproducedin any media except with written permissionfrom the photographer or illustrator.

촬영자:Pierre Beake
증인:Mr. and Mrs. Beake
촬영 일 및 시간:August 8, 2005 @ 4:23 pm
촬영 장소: Boreham Down, Lockeridge, Wiltshire, UK


상황 설명: 2005년 6월 21일 화요일 오후 약 6시 30분 Mike Booth는 여느 때 처럼 운동을 위해 자전거를 타고 Lockeridge를 지나 Wiltshire (UK) 방향으로 가기위해 Alton Bames 마을 근처를 달리고 있었다 - 이 지역은 수년간 크롭서클 발생지역으로 유명세를 타는 지역이다.
Boreham Down 이라고 알려진 밭 주변을 지나고 있을때 ( Lockeridge 마을 근처의 밭으로 도로 양 옆으로 펼쳐진 밭 이다), 그는 그의 왼쪽 밭 끝부분인 약 200야드 밖에서  서 너개의 흰색, 금속성 물체가 천천히 밀 바로 윗 부분을 미끄러지듯 움직이고 있는 것을 발견 하고 깜짝 놀랐다.



Painting by Mike Booth of domed-shaped objects he saw moving through the field at Boreham Down, Wiltshire, UK on 21 June 2005.

Booth씨는 그 물체가 가로 4피트 세로 6피트 정도의 크기이며 상단은 돔 형태로 2-3피트 높이의 밀(곡식) 윗부분에 바짝 붙어서 움직이고 있었다고 한다. 그는 그 물체들이 땅에는 전혀 닿지 않았고 식물들을 눞이기만 하면서 움직이고 있었으며, 움직이고 난 자리에는 자국이 선명하게 드러났다고 증언했다.

아래 사진은 2005년 6월 22일  Mike Booth가 찍은 사진으로, 어린 곡식(식물)들이 무언가에 의해 선명한 자국을 남긴 것을 볼 수 있는데, 곡식의 상단부분만 휘어진 것을 볼 수 있었고, 비슷한 시기인 얼마 후 완전히 바닥까지 휘어진 크롭서클이 주변에서 발견되었다.  



Photo taken on 22 June, by Mike Booth, showing one of the tracks made by the objects, with plants only partially flattened.

Booth씨는 그 물체들이 그가 언덕 아래의 자전거에 앉아서 자신들을 보고 있는것을 알아차리고 움직임을 멈췄다고 느꼈으며, 그는 더 이상 봐서는 안된다고 느꼈다. 그는 그의 핸드폰 카메라고 사진을 찍고 싶었지만, 그렇게 하지 앉았다고 증언했는데, 이유는 그도 설명하지 못했다. 목격자중 이와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들이 많았는데, Booth씨와 마찬가지로 머릿속에 그 물체들을 “그냥 내버려 둬야 한다”는 생각이 불현듯 들고, 그렇게 행동한다는 것이다. Booth씨는 그런 생각이 들자마자 바로 자리를 떳다고 한다.
며칠 후, 같은 밭에서 기하학적인 크롭서클이 발견 되었지만 Booth씨가 자전거를 세우고 관찰한 곳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 곳이었고, 그가 본 물체가 크롭서클을 만들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그 크롭서클은 전형적인 “기하학적”모양의 크롭서클 이었지만, 한가지 아주 특이한 점이 발견 되었다. 크롭서클의 끝부분의 식물들이 잘려나갔다. 정확히 말하자면 갈려있었다.(분쇄기로 갈은것 처럼)


Outer edge of geometric formation found at Boreham Down, in which the plants had been shredded, rather than flattened. Photo: Michael Murray


마치 고의로 그런것 처럼, 크롭서클의 끝 일부분의 식물들이 완전히 뽑혀서 갈렸으며, 사방으로 흩어 뿌린것 처럼 보였다. 차후에 농부의 증언에 따르면, 이런 경우는 처음 겪는 다고 증언했다. 사진 상에서 보면 주변과의 경계 부분의 식물이 완전히 잘려나간 것을 볼수 있다. 그 외 내부 지역의 식물들은 전혀 뽑히지 않았고, 전체적으로 뉘여있었다.  


Aerial photo of Boreham Down crop formation, reported on 22 June, 2005.
Photo: Steve Alexander

아래의 사진은 크롭서클 내부에서 식물이 눕혀진 모양을 촬영한 사진이며(위쪽 중앙에는 잘려나간 식물이 보인다), 전형적인 크롭서클 형성 스타일로, 바닥에 납작하게 누운 식물이 보인다.


One of the internal pathways created by flattened plants, flowing in from one of
the cut edges of the formation.
Photo: Michael Murray

벨기에 크롭서클 조사원인 Tommy Borms는 이번 사건을 접수하고, 그해 여름 영국을 방문하여 아래와 같은 Boreham Down 지역의 다이아 그램을 작성하였는데, 좌측 상당에 돔 형태의 물체가 만든 트랙도 이번 그의 보고에서 선명히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는 당시 상황이 현재와 같지 않았고(현재는 매일 크롭서클 관광객과 사진사들이 쉴새 없이 비행을 하고 있음), 크롭서클 형성지의 지면의 굴곡이 심해서 자전거에서 돔형물체가 밭으로 진입을 확인한 목격자가, 크롭서클을 그 물체가 만들었다 하더라도 보지 못했을 것이라고 보고했다.


Tommy Borms' diagram of Boreham Down field showing 4 tracks left by dome-shaped objects (upper left) & geometric crop circle found subsequently nearby.

아래 두 장의 사진은 Mike Booth가 6월 22일 촬영한 사진으로, 8월 1일에 발표했다. 현재 아래 보이는 자국 내부의 식물들은 완전히 바닥에 누운 상태지만, 중앙방향으로 난 두 곳의 자국 내 식물들은 일반적인 크롭서클 식물과는 전혀 다른 특성을 띄었다.


One of the tracks left by the domed objects 5+weeks after original encounter.
Photo: T. Borms, 1 August, 2005


Another of the tracks left by the domed objects, approx. 5+ weeks after initial event. Photo: T. Borms, 1 August, 2005


Borm씨가 Boreham Down 지역에 8월 1일 방문하자마자, 크롭서클 형성지와 돔형 물체에 의해 생성된 자국, 두 지역을 면밀히 조사하였는데- 크롭서클 형성지 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크롭서클 형성지 식물의 유전적 특징이 전혀 나타자지 않았다.

식물의 맨 위쪽 마디의 부풀림 현상이나 늘어나는 현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지만, 돔 형태의 물체가 지나간 자국으로 알려진 곳의 식물들은 수백 개체의 식물에서 맨 위쪽 마디와 번째 마디 연장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었다.


Elongated and bent nodes found in tracks left by domed objects (but not found inside "geometric" crop formation nearby).
Photo: T.Borms, 1 August, 2005

맨 위쪽의 첫 번째와 두 번째의 마디 모두에서 휨 현상이 뚜렷이 발견 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어린 식물이 생장단계에서 일어나는 전형적인 굴광성 (phototropism)과 굴지성 (gravitropism) 현상으로 보이는 개체도 확인 되었다. 미디의 신장(伸張) 현상과 굴절 현상은 전체적으로 두 번째 마디 보다는 첫 번째 마디에서 두드러져 보였는데; 이러한 첫 번째 마디에서의 신장(伸張)은 최초 식물이 눕혀진 후 생장에 의한 굴광성 (phototropism)과 굴지성 (gravitropism) 현상과는 무관하게 변화한 것으로 보였다.


Silvery disc photographed (but not seen visually) over Wiltshire fields on
8 August, 2005. Photo: Pierre Beake.

출처 : 진찾사 http://www.truth-finders.com
         http://www.bltresearch.com/eyewitness3.htm
조회 수 :
1063
등록일 :
2006.10.04
23:36:57 (*.222.236.230)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49001/48d/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490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85783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86529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204207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92793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73932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74620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318980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50136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87788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502583
6158 채널러 90% 이상이 사기꾼입니다 - ghost [7] 신영무 2006-10-13 1488
6157 가이아 프로젝트는 어찌되었나요? [1] cbg 2006-10-13 1101
6156 상대를 낮게 평가하는 이상한 습성.. [1] 신영무 2006-10-13 941
6155 곳곳에 강태공 신드롬 문종원 2006-10-13 869
6154 겸손의 에너지 유효시간 종료 - ghost [5] 신영무 2006-10-13 1361
6153 Leo Wanta & Korean Test a facade for funds transfer that were due 순리 2006-10-13 2626
6152 타브레트Ⅷ - 신비의 열쇠 [1] 노대욱 2006-10-13 1015
6151 소중한 글들 [14] 유승호 2006-10-12 1955
6150 공동으로 창조한 생각과 염원때문에 지금 그대로 존재합니다. [1] [28] 코스머스 2006-10-12 1179
6149 센트럴선 특별 세미나 안내 (10월 24일 7시) 이희석 2006-10-12 1451
6148 하나님에 대한 개념(예수의 일생과 가르침) 권기범 2006-10-12 997
6147 날아라님의 혼과의 계약서 [7] 유승호 2006-10-12 1490
6146 에매랄드 타블렛 노대욱 2006-10-12 1519
6145 헉.헉.. 무서웁다 [2] 까치 2006-10-11 1406
6144 태양계의 은폐된 진실 (후반부) - 김재수박사님 논문 [4] 운영자 2006-10-11 4621
6143 바램만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지는 우주라면... [4] 한성욱 2006-10-10 907
6142 백수 이며 사회부적응자...익명란의 글을 [9] 신영무 2006-10-10 1564
6141 인디고가 아님을 깨달음 [2] 신영무 2006-10-10 1111
6140 저는 날아라님 주장에 대부분 공감하지만 [7] [1] cbg 2006-10-10 1134
6139 서울 경기도 인천분들 오랜만에 번개모임 갖죠? [8] 용알 2006-10-10 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