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미 교수사회 ‘9·11 테러 음모설’ 여전히 활개

유명 교수들 ‘9·11 테러 진상 규명을 위한 학자들’ 결성
인터넷, 자비 출판 논문 등 저서 통해 음모론 모락모락

≫ ‘9·11 테러 음모설’을 다룬 ‘루스 체인지’ 동영상 화면.

[관련기사]

• 미 9.11테러 보고서 만화책으로 등장
• 9.11테러는 미국 자작극? ‘루스체인지’ 음모론 의혹 제기
• 미 국방부 9.11음모론에 비디오 공개

9.11 테러가 발생한 지 5년이 돼 가는데도 불구하고 진상이 왜곡됐다고 주장하는 음모론은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다.

음모론자들은 지금도 인터넷이나 자비 출판 논문과 저서를 통해 등을 통해 아이디어를 주고받고 있다. 최근에는 시카고에서 500명의 회원들이 회합을 가졌을 정도다.

유명 대학에 적을 두고 있는 학자들이 가세하고 있는 것도 이들에게 힘을 실어주고 있다. '9.11 테러 진상 규명을 위한 학자들'이라는 조직이 단적인 사례.

미국 정부가 월드 트레이드 센터를 폭파했을지 모른다고 주장하는 케빈 배럿, 납치된 여객기의 충돌이 아니라 내부에 장치된 폭발물 때문에 건물이 붕괴했다고 보는 스티븐 존스나 주디 우드 등은 음모론자들 사이에서 주목을 받는 학자들이다.

이들은 결코 삼류 학자들이 아니다. 배럿은 위스콘신 대학에서 이슬람 강의를 맡을 예정이고 존스는 브리검 영 대학 물리학과의 정교수다. 우드는 최근까지 클렘슨 대학의 기계공학 조교수를 지냈다.

'9.11 테러 진상 규명을 위한 학자들'은 배럿 등의 가세로 회원 수가 75명 정도로 늘어났다고 말하고 있다. 물론 미국 전역의 교수가 100만 명인 점을 감안한다면 극소수다.

게다가 일부 회원은 대학에 적을 두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프린스턴이나 스탠퍼드에서 학위를 받은 사람들, 라이스, 인디애나, 텍사스 대학에서 봉직하는 회원들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조직의 공동 창설멤버인 제임스 페처는 납치범의 일부가 아직도 생존해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는 국가 기구인 '9.11 위원회'와 국립표준기술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를 불신한다.

'9.11 위원회'는 1천200회의 인터뷰를 거쳐 납치범들이 여객기를 월드 트레이드 센터의 쌍둥이 건물에 돌진시켰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원은 1만 페이지 분량의 보고서에서 여객기의 충돌로 인한 화재는 건물을 붕괴시킬 만한 위력을 갖고 있었다고 밝혔다.

음모론을 신봉하는 학자들은 그러나 자체 웹사이트에서 문제의 건물은 내부에 설치된 폭발물에 의해 붕괴한 것이 거의 틀림없으며 정부가 정치적 목적으로 사건을 방조한 것은 물론 이를 조작했을지 모른다는 주장을 전개하고 있다.

주류 학자들은 음모론자들과의 토론은 가급적 기피하고 있다. 이들을 상대한다면 괜스레 신뢰성을 부여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일부에서는 음모론자들의 학문적 배경이 이런 신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음모론의 허점을 공격하는 논문을 몇 차례 발표했던 F. R 그리닝은 음모론자들의 주장이 과학이지만 정치적 동기가 있기 때문에 진정한 과학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고 강조한다.

미국 대학교수협회의 로저 바우언 사무국장은 음모론자들이 학생들을 상대로 강의를 맡는데 대해 "학문의 자유에는 학문적 책임이 수반된다"면서 "책임이란 진리를 가르칠 것을 요구하며 진리에는 음모론 혹은 지구는 평평하다거나 유대인 학살은 사실이 아니라는 주장은 포함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그리닝과 같은 비판론자들은 음모론자들이 증거라고 내세우는 주장들은 과학의 언어와 형식이라는 옷을 입은 사이비 과학일 뿐이라고 일축하고 있다.

케빈 배럿이 대학 강의를 맡는데 대해서는 위스콘신주의 의원 60여 명이 이미 반대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공화당 소속의 스티븐 내스 위원은 논란의 초점은 "비 대중적인 사상의 문제가 아니라 교육의 질에 관련된 문제"라면서 "학생들이 교실에서 수업료에 합당한 교육을 받느냐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우드의 경우는 지난해 클렘슨 대학에서 정교수직을 얻지 못했다. 우드는 대부분의 교수 임용 계약은 정부 발주 연구용역과 관계가 있다면서 음모론을 주장한 것이 부분적인 요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라며 불만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우드는 "나는 진실이 더욱 중요하다는 선택을 했을 뿐"이라면서 우리가 비판적 사고를 고취해야 할 학자라면 어찌 모두가 믿는다고 해서 이것으로 믿으라고 말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워싱턴 AP=연합뉴스) jsmoon@yna.co.kr

*****

미 9.11테러 보고서 만화책으로 등장

지난 2001년 9월11일 미국에 대한 테러 공격에 대해 조사를 벌였던 '9.11 테러 진상조사위원회'에 의해 2004년 8월에 발표된 '9.11 테러 보고서'가 내달 컬러판 만화책으로 선보인다.

16일 워싱턴 포스트에 따르면 유명 만화책 출판사 '하비 코믹스'의 편집국장 출신의 시드 제이콥슨(76)과 만화 '캐스퍼'의 작가 어니 콜론(75)은 복잡한 사건 경위 등을 모두 담느라 무려 6백쪽에 달하는 '9.11 테러 보고서'가 일반에 시판됐음에도 분량이 너무 많고, 발생 시간순으로 일목 요연하게 정리돼 있지 않아 막상 독자들이 읽기가 어렵다는 점에 착안, 이를 150쪽의 만화로 축약했다.

두 사람은 이 사건이 갖는 무거움과 역사적 기록이라는 점을 중시, 만화속 지문의 '99%'를 보고서에 나오는 말 그대로 인용했다.

그리고 딕 체니 부통령 등 행정부 관리들이나 19명의 비행기 납치범들은 이들의 사진을 참고로 그림을 그렸다. 두 사람의 만화화 작업에는 무려 1년 반이나 소요됐다.

이들은 전체의 2/3 정도 만큼 초안을 완성한 후 '힐 앤 왕' 출판사의 토머스 리비엔 발행인에게 보여줬으며, "너무 훌륭한 아이디어여서 기가 막힐 정도"라는 반응과 함께 출판 계약을 따냈다.

'9.11 테러 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이었던 토머스 킨은 "만화가 나온다는 말을 듣고 매우 우려했으나 막상 살펴 보니 사실과 정확히 맞게 그렸다"며 찬사를 보냈다. 킨과 부위원장이었던 리 해밀튼은 서문까지 써줬다.

미국에서 무거운 주제의 이야기가 만화책으로 등장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만화 작가인 아트 슈피겔먼은 홀로코스트의 생존자였던 아버지의 이야기를 토대로 '마우스'라는 만화책을 펴내 1992년 퓰리처상을 수상한바 있다. 슈피겔먼은 지난 2004년 자신의 9.11 경험담을 엮은 만화책 '타워가 없는 그늘 아래서'를 펴내기도 했다.

9.11 테러의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희생자 유족들은 테러 사건이 희화화될까 우려하는 목소리와 함께 각별한 신경을 써줄 것을 희망했다.

그러나 테러가 발생한지 이미 5년 가까이 흘러 독자들이 반응이 어떨 지는 의문이다.

9.11 테러 당시 펜실베이니아주에 추락한 비행기 내에서 납치범들과 승객들간의 대결을 가상해 제작한 영화 '유나이티드 93'은 지난 4월 개봉했으나 별로 관객을 끌어 모으지 못했다. 역시 9.11 테러를 소재로 한 올리버 스톤 감독의 '세계무역센터'가 내달 개봉될 예정이다.

'힐 앤 왕'의 리비엔 발행인은 "이 만화책은 보고서에 나타난 사실만을 이용했기 때문에 영화와는 다르다"면서 할리우드 영화와 비교되는 것을 경계했다.

박노황 특파원 nhpark@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조회 수 :
1590
등록일 :
2006.08.07
17:36:53 (*.126.130.56)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48186/c1f/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48186

순리

2006.08.07
17:38:40
(*.126.130.56)
미 국방부 9.11음모론에 비디오 공개


» 2001년 9·11 동시테러 때 아메리칸에어라인 여객기가 미국 국방부 건물(펜타곤)과 충돌한 뒤 폭발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을 16일 미 국방부가 공개했다. 펜타곤 주차장의 보안카메라 2대가 잡은 이 비디오 필름은 아메리칸에어라인 77편이 펜타곤의 서쪽 부분에 충돌하는 모습을 담았다. 비디오는 충돌 직전 1초간 여객기의 앞부분 모습을 잡았다. 충돌 뒤 빌딩으로부터 거대한 화염이 솟구친 뒤 검은 연기가 뿜어나오고 있다. 이 사진은 ‘사법감시’라는 단체의 정보공개 청구에 따라 공개됐으나, 비디오 필름의 일부는 이미 유출돼 나돌고 있었다. <에이비시방송>은 비디오에 비행기의 모습이 보이지 않음에 따라 “네오콘 세력의 자작극 아니냐”는 글이 자사 홈페이지 게시판에 잇따르는 등 이번 비디오 공개가 오히려 음모론을 부추기고 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AFP 연합

미 국방부는 2001년 9.11테러 공격 때 국방부 청사에 제트 여객기가 충돌하는 장면이 찍힌 보안 카메라 영상을 자체 웹사이트를 통해 16일 공개했다.
( target=_blank>http://www.defenselink.mil/pubs/foi/index.html#911video)


이는 '사법감시(Judicial Watch)'라는 공익단체가 정보공개법을 근거로 공개를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이 단체는 당시 테러리스트들이 여객기를 공중납치, 국방부 청사를 공격한 게 아니라 미 정부가 전쟁명분을 만들기 위해 미사일로 '자해'한 것이라는 등의 음모론과 유언비어가 여전히 돌고 있는 데 따라 이 비디오의 공개를 요구했다고 유에스에이투데이가 17일 보도했다.

이 비디오엔 아메리칸 에어라인 77기 앞부분이 화면 오른쪽으로부터 잡히고 이어 거대한 검붉은 화염기둥이 푸른 하늘로 솟아오르고, 커다란 파편이 카메라 바로앞 도로에 떨어지는 등의 장면이 담겨 있다.

이 비디오에 들어있는 일부 장면의 정지화면은 이미 과거 AP통신이 보도한 적이 있으나, 국방부가 비디오 전체를 공식 공개한 것은 처음이다.

이 신문은 최근 9.11을 다룬 첫 영화가 상영돼 논란을 일으킨 것을 계기로, 9.11에 관한 미국내외의 음모이론을 소개하며, "믿기지 않은 일이 일어났을 때 음모론이 횡행한다"고 분석했었다.
음모론은 특히 20대 청년 두 사람이 컴퓨터로 음모론을 지지하는 영화를 만들어 배포한 것을 계기로 대학가에서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음모론은 가령 세계무역센터에 충돌한 항공기의 제트유가 탈 때 내는 온도가 철골조가 녹아내리는 온도보다 낮은데 두 건물이 붕괴한 것은 누군가 미리 폭발물을 설치했다가 폭발시켰기 때문이라는 식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철골조가 녹아내리는 것은 섭씨 1천도이지만, 500도만 돼도 강도가 50% 줄어들며, 당시 건물내에서 제트유 뿐 아니라 양탄자 등 내부 장식물도 함께 불탄 점 등을 지적, 음모론을 일축하고 있다.

9.11 관련 각종 음모이론은 대한항공 폭파 관련 각종 음모이론과 닮은 점이 많다.

윤동영 특파원 ydy@yna.co.kr (워싱턴=연합뉴스)

청학

2006.08.08
01:17:04
(*.112.57.226)
( target=_blank> target=_blank>http://www.defenselink.mil/pubs/foi/index.html#911video)

여기가서 어디를 클릭해야 볼 수 있나요?

순리

2006.08.08
06:14:54
(*.126.130.56)
중간 쯤에 있는데 ...아래 글이 나오면 클릭하면 됩니다.

*. Videos of American Flight 77 striking the Pentagon on September 11, 2001
*. Video 1 (WMV)
*. Video 2 (WMV)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82504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83245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200893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89517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70665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71206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315724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46856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84497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499272
5918 ★로키마운틴 미스테리 스쿨*센트럴선★ 영성워크샵 안내 [4] 이희석 2006-08-18 1272
5917 한반도에 시작된 전쟁 [3] 선사 2006-08-18 2270
5916 통영모임을 마치고 보고픈 친구들에게 인사를 드립니다. [1] 2006-08-18 952
5915 드디어 우리들의 차크라가 13개로 [4] file 박남술 2006-08-17 1816
5914 모임에는 1번도 나오지 않으면서 글만 번지르르 서로의 탓만 하는 사람들... [10] 용알 2006-08-17 1400
5913 이제 세상을 바꾸기 위한 하늘의 잔심부름을 시작합니다. [3] 선사 2006-08-17 1530
5912 별자리로 본 삼국은 대륙이다! [2] file 선사 2006-08-17 1568
5911 하나님,부처의식,창조....의로움 [2] [5] 노대욱 2006-08-17 852
5910 쉘던이 캘리포니아로 이사 한다는거 같군요. [2] 돌고래 2006-08-17 1037
5909 한국의 교회 위기인가 기회인가 [3] [4] 오성구 2006-08-16 1163
5908 복제인간에 관한 일별 [5] phoenix 2006-08-15 1632
5907 8월 영성계 연합모임에 다녀와서......... [3] 연인 2006-08-15 1524
5906 통영 모임사진 [1] 멀린 2006-08-15 1438
5905 웰빙님의 피라미드 관련글을 읽고 ..... [3] [2] 이용주 2006-08-14 1329
5904 CIA 비밀보고서 - 코리아 엔드게임 코스머스 2006-08-14 1872
5903 다빈치 코드 -상,하 코스머스 2006-08-14 1088
5902 베네사 메이의 라이브 영상 [1] 코스머스 2006-08-14 1749
5901 건강과 명상에 도움되는 웰빙 손요법 [2] 노대욱 2006-08-13 840
5900 수도물 불소화 사업의 진실 [4] phoenix 2006-08-13 1535
5899 부가가치세... [2] 아라비안나이트 2006-08-12 1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