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원자력이 싸다? 고의적 계산실수! 처리비용, 사고 보상비용 고려하지 ...

 

 

 가장 큰 쟁점이 되는 것은 핵발전소의 사후처리 비용이다. 폐쇄와 함께 거대한
폐기물로 변하는 핵발전소는 최소 10만~100만년을 보관해야 ... 억원으로 추정되어
있지만 실제 비용은 1조원에 달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ic_safe.gif
blog.daum.net/_blog/.../ArticleContentsView.do?...0... - 저장된 페이지
 
-----------------------------------------------------------------------------
 
 
핵페기물의 문제점

 

 

1. 방사능의 문제

가장 큰 문제입니다.. 핵발전소를 돌릴경우 그의 결과물이 폐기물이 되어버리는데,

방사능, 폭발성등 문제점이 상당히 많으므로 관리가 중요합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값싸고 인적이 드문 섬을 사들여 땅을 깊숙히 파놓은 상태

에서 폐기물을 몇단으로 봉하여 깊숙히 묻게 됩니다..

단지 묻는것 뿐입니다. 손이 닿지 않는곳에..


2. 비용의 문제

위의 방법으로 지역을 사들여서 폐기할경우 그 지역의 주민들에게 상당량의 돈을 지불

하고 들어가는 방법, 그리고 주민들의 반대, 환경단체의 문제..

엄청납니다..


3. 보관후의 문제..

폐기물이 썩는다는게 아니라 그냥 보관하는 것입니다..

마치 금방 녹을 얼음을 영원히 보관하는 것처럼요.. 꺼네면 녹아버리죠..

그래서 우주에 폐기물을 쏳아 올리기 위한 노력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쉽지 않습니다..

어린아이가 만질수 없는곳에 칼을 놓는 것처럼

 

 

 

++++++++++++++++++++++++++++++++++++++

 

핵페기물의 정의와 문제점2

 

 

핵폐기물에는 중전위폐기물, 고전위폐기물이 있습니다.

핵발전을 하고 난 뒤 다른 물질로 변환된 것만이 핵폐기물이 아닙니다.

핵발전을 할 때 사용된 작업복 같은 것들도 핵폐기물입니다.

 

핵분열을 다 하고 나온 물질(예를들어 우라늄 235같은 경우에는 납으로 바뀌죠)

이것은 고전위폐기물, 작업복 같은 것은 중전위폐기물입니다.

위도 핵폐기장은 중전위폐기물 처리장으로...그다지 위험하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물론 고전위폐기물 시설을 만들때까지 보관하기는 하는데요

중. 고전위폐기물들을 따로 어떻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유출이 안되도록

막는 것이기만 합니다. 납 등을 이용해서 완전밀봉 하는거죠.

상당히 안전하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완벽한 것은 없는 법이죠.

 

 

완벽하다면 서울에 핵폐기장 만들지 왜 위도까지 가서 핵폐기장을 만듭니까?

위도에 핵폐기장을 만드는 것은 만약의 경우 본토에 방사능이 유출되지 않게

하기위한 방편입니다. 제 생각이지만 지금 나라에서 하는 일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핵폐기물 처리장을 만들려면 사람들을 다 본토로 내보내야지

약간이나마 참사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곳에 사람들을 그냥 살게하면 어떡합니까?

 

만약 핵폐기물처리장이 완벽하게 가동된다면 근처의 주민들에게는 아무런  피해가 없습니다.

집값은 아마도 내리겠죠 저는 인체적으로 피해가 없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우려하는 사태, 만약의 경우가 실제로 일어난다면

그 일대의 사람들은 모두 인생 망치게됩니다.

또한 그 땅은 몇십년간 사용할수 없는 땅이 되겠죠.

 

 

http://cafe.daum.net/technoedu/b8V/39?docid=330131395&q=%C7%D9%C6%E4%B1%E2%B9%B0&re=1

 

 

 

 

 

 

 

profile
조회 수 :
1673
등록일 :
2013.04.15
21:02:44 (*.135.108.206)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314001/1b1/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314001

베릭

2013.04.15
21:12:13
(*.135.108.206)
profile

 

http://www.cmedia.or.kr/news/view.php?board=series&nid=52852

'핵이 가장 값싼 에너지?’ 그 새빨간 거짓말의 실체

 

핵마피아들이 핵발전소를 대안 에너지원으로 고집하는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 때문이다.

즉 핵발전소는 참~~싸다는 것인데, 이 거짓말의 실체를 밝혀보자.

이들이 말하는 ‘경제성’은 다름아닌 발전원가가 싸다는 것이다. 발전원가는 경제성 평가의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화력발전의 석유, 석탄과 같은 화석연료와 비교했을때 우라늄 값이 현저히 싸다는 것이다. 원전을 통해 공급된 에너지는 국가총소비 에너지의 15%에 이르는데 이 정도의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 우라늄을 수입하는 들이는 비용은 3억달러에 불과하다고 한다. 이는 발전 단가로 따지면 석유의 절반 밖에 안된다는게 한수원 측의 설명이다.

건설비용, 폐로비용, 방폐물 처리비용...
핵발전소의 숨겨진 비용을 드러내라


그러나 이들의 주장속에 핵발전소의 숨겨진 비용은 드러내지 않고 있다. 핵발전소는 건설비용만 1기당 약 3조원이다. 한국의 경우 모조리 다 국민의 세금이다. 여기다 운영비용을 제외한다고 하더라도 수명이 다했을 때 발생하는 폐로 비용, 방사성폐기물 처리비용, 그리고 사고나 재해시 발생하는 수습대책비용은 말하지 않고 있다.

사실 한수원을 비롯해 핵마피아들은 폐로 비용과 방폐물 처리비용을 아예 산출하지 않고 있다. 서류상으로만 있을 뿐이며, 실제 예산을 책정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운영중인 23기의 원전 중 어느 것도 해체계획서 자체가 없다.

논란이 되고 있는 고리1호기를 폐쇄하지 않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1조원에 해당하는 폐로비용 때문이다. 이 폐로비용에 따른 예산 자체가 없으며, 수명을 다했다 하더라도 최대한 굴려보겠다는 꼼수이다. 그것이 엄청난 위험을 건 도박이다 하더라도 저들은 고리1호기의 수명을 60년까지 연장할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은 충격이 아닐 수 없다.

c.jpg
핀란드에서 건설되고 있는 세계 최초 고준위 핵폐기물 처리장 온칼로(Onkalo) 건설현장 입구. 온칼로는 건설되고 100년 뒤엔 봉쇄돼 입구는 거대한 콘크리트로 덮힐 예정이다. [출처:환경운동연합]

방사성폐기물 처리비용은 두말할 것도 없다. 기본적으로 방사성폐기물 처리기간이 수백년에서 수십만년이 걸리는 것인지라 이에 따르는 비용이 얼마나 들지는 가늠하기 조차 어렵다. 또한 사고나 재해시 발생하는 수습과 처리비용은 또 어떠한가?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피해액은 238조원에 해당한다고 한다. 그렇다면 만약 우리나라 고리1호기가 사고났을 경우에 예상되는 피해값은 628조원에 해당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우습게도 우리나라에서 원전사고가 났을때 법적으로 보장된 피해보상책임한도는 약 5천억원에 불과하다. 만약 고리1호기의 사고로 반경 20km 안에 있는 340만이 대피해야 한다고 했을때 1인당 피해보상액은 약 15만원씩 돌아가는 셈이다. 이런 어처구니없는 기만이 핵발전소 정책속에 숨겨져 있다.

또하나, 세계 도처에 있다고 하는 우라늄은 무한 연료가 아니다. 이미 우라늄 가격이 10년동안 계속 상승하고 있고, 우라늄 매장량은 30년에서 40년이면 고갈될 자원이다. 우라늄 고갈로 핵발전의 수명도 길어야 40년밖에 되지 않는다. 이런 지속가능하지 않는 에너지를 두고 ‘경제적이고 무한한 미래에너지’라고 저들은 노래하고 있다.

더 이상 시장성이 없음이 증명되는 미국과 유럽의 원전시장

우리나라의 경우 원전이 정부의 보조없이 민간 자본의 투자만으로 건설되는 경우가 없다는 사실은 그 경제적 위험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국은 지난 2000년 시작돼 현재 중단된 전력산업구조개편 과정에서 핵발전소는 정부 소유로 남겨둔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는데 주된 이유는 시장성이 없다는 것이었다.

지난 4월10일 탈핵에너지교수모임 토론회에서 유정민 교수는 "연구에 따르면 원전에서 건설비는 전체 투자금의 82.3%에 달하는데 이는 지난 40~50년간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면서 "게다가 건설에서 폐쇄에 이르는 위험 기간은 60~100년에 이르기 때문에 원전은 기업들이 선뜻 투자할 수 없는 기술이 됐다"고 지적했다.

또한 2009년 캠브리지 에너지연구협회의 연구에 따르면 “과거 10년 동안 원전 건설비용은 매년 15% 상승했다"고 밝혔는데 이는 원자력업계가 주장하는 것처럼 원전의 경제성이 개선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비용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전 세계 나라에서 104기라는 가장 많은 원자로를 보유한 미국은 1979년 스리마일 원전사고 이후 단 한건의 신규 원전을 건설하지 않았다. 이는 단지 원전의 위험성 때문만이 아니라 1957년 최초의 민간 원전이 시작된 이후 경제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됐던 것이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한 부시 정부와 오바마 정부에서 저리의 대출을 통해 원자력 발전을 재개하려 하고 있지만 정작 이미 계획된 원전마저 사업성이 없어서 취소되기도 하였다.

유럽에서는 2010년까지 수십 년 동안 고작 2건의 원전 건설이 수주됐다. 프랑스와 핀란드에 건설된 올킬루오토 원전 3호기가 그것이다. 70~80년대의 짧은 성수기를 맞고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침체기를 맞은 이유는 핵발전이 가장 비싸고, 가장 느리고, 가장 위험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장 먼저 전력산업 자유화를 도입한 영국의 경우도 국영기업이던 원전을 민영화하려고 원전을 다른 발전과 함께 묶어 시장에 판매하려고 했지만 시장성이 없자 결국 화력 발전만 민영화하고 원자력은 국영기업으로 남겨뒀다고 한다.
이것은 원전이 정부의 지원 없이는 경제성을 갖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증적인 사례다. (‘포스트 후쿠시마와 에너지전환시대의 논리, 탈핵’에서)

a.jpg
영덕 풍력발전단지 [출처:환경운동연합]


가장 안전한 에너지,
태양과 바람은 고지서를 보내지 않는다


반면에 수요부족으로 인한 어려움을 겪었던 태양광 판넬의 가격은 점점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한수원은 태양광과 풍력에너지의 설비가격을 가장 비싼 가격으로 비교하면서 상대적으로 핵발전을 선전하기 바쁘다. 그러나 독일 등 유럽을 비롯하여 후쿠시마 사고 이후 일본에서조차 태양광에너지 설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의 공급가가 하락하고 있는데도 한국은 정책적으로 재생에너지의 대중적 소비를 촉진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량에 따른 소비의 부족으로 태양광산업이 설 자리가 없어지고 있다고 한다.

 



태양과 바람은 돈을 내라고 하지 않는다. 언젠가 다쓰고 없어질 우라늄과 달리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 에너지원이다. 핵발전소 건설비용과 운영비용, 폐로비용 등을 재생에너지 육성비용으로 충당한다면 이땅의 핵발전소는 설 자리가 없을 것이다.
가장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버젓이 두고 가장 위험하고 가장 비싸며, 가장 더러운 에너지를 고집하는 건... 핵마피아 집단의 이익이 숨겨져 있기 때문이다.

 

 

베릭

2013.04.15
21:53:14
(*.135.108.206)
profile

http://h21.hani.co.kr/arti/special/special_general/33632.html

핵, 싸지도 안전하지도 않은 [2012.12.31 제942호]

 [기획 연재] ‘탈핵’ 로드맵을 그리다 ④ 풀뿌리 에너지로 가는 작은 등불들-최종회
원전, 천문학적 해체 비용과 폐기물 고려하면 경제성·안전성 무색…

 

원자력발전이 시작된 1950년대, 원전을 홍보하는 문구 가운데 하나가 “너무 싸서 계산할 필요가 없다”(too cheap to meter)였다. 선전은 썩 잘 먹혀들었다. 원자로에 들어가는 1g의 우라늄 235가 석탄 3t과 맞먹는 에너지를 발생시키니, 효율성 면에서 원자력이 석탄보다 300만 배 높다는 단순 계산도 가능했기 때문이다.

 

원전 확대론자들도 더는 경제성 안 내세워

원전이 다른 에너지원보다 싸다는 주장은 원자력발전이 시작된 지 반세기가 더 지난 지금까지도 원전 옹호론을 지탱하는 강력한 논거가 되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원자력이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이란 주장까지 덧붙여졌다. 진보주의자를 자처하는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조차 2010년 2월 연설에서 “커져만 가는 에너지 수요와 기후변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원자력 공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을 정도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10년 펴낸 ‘전력생산비용’ 통계를 보면, 원자력이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는 물론 석탄·가스 등 화석에너지에 비해서도 생산비가 저렴한 것으로 나온다. 한국의 경우 1메가와트(MWh)당 비용이 석탄 66~68달러, 가스 91달러인 반면 원자력은 29~33달러 수준인데, 미국 역시 원자력(49달러)이 석유·석탄보다 20달러 이상 싼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상반된 통계도 있다. 2003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펴낸 보고서 ‘원자력발전의 미래’에는 원자력의 생산원가(6.7센트/1kWh)가 석탄(4.3센트)이나 가스 발전(4.1센트)보다 비싼 것으로 나온다. 이 대학이 2009년에 낸 보고서 역시 수치에 차이만 있을 뿐 원자력이 더 비싸다는 결론엔 변함이 없다. 흥미로운 대목은 보고서가 “기후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라도 원전의 비중을 높여야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쓰였다는 사실이다. 원전 확대론자들도 자신이 원전을 옹호하는 근거로 원전의 경제성을 더 이상 내세우지 않고 있는 것이다.

 

실제 국가별 발전 비용 차이를 비교한 2005년 에너지경제연구원의 자료를 보면, 발전 비용은 해당 에너지원의 국내 자급률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가스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독일·체코 등은 가스발전이 원자력발전에 비해 비싸지만, 석탄 생산량이 많은 미국·독일은 석탄화력발전이 원자력발전보다 저렴한 것에서도 드러난다. 원전의 경우 건설비와 대출이자율에 따라서도 가격경쟁력이 달라지는 것은 물론이다.

 

원전 건설비와 대출이자는 전력 생산원가의 70~80%를 차지할 만큼 그 비중이 압도적이다. 2013년과 2014년 완공되는 신고리 3·4호기는 책정된 건설비만 6조4800억원인데, 같은 용량의 화력발전소보다 6~7배 비싼 수준이다. 문제는 우리나라에선 어떤 계산 방식으로 발전 원가를 산출하는지 전혀 공개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공개된 발전 원가를 둘러싸고 찬반 양쪽의 ‘숨은 비용’ 논란이 끊이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다.

135660234900_20121228.JPG
해체 비용 발전소 1기당 1조원 추정


더 근본적인 쟁점은 사후 처리 비용이다.

원전은 전력을 생산하고 나면 불가피하게 사용후핵연료 같은 고준위 폐기물과

폐기물 여과 필터나 장갑·작업복 등 중저준위 폐기물이 나온다.

그뿐이 아니다. 수명을 다해 폐쇄된 원전은 그 자체로 거대한 폐기물이 된다.

이런 이유로 이중원 서울시립대 교수는 “원자력 에너지의 경제성은 투입된 일부 비용 대비 에너지 효율이 아니라,

전주기과정(Life Cycle)에 드는 비용 대비 에너지 효율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재평가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후 처리 비용에는 우선 발전 설비를 해체하고 방사성물질을 제거하는 비용이 포함되는데,

원자로의 형태에 따라 최대 10배, 해체 공법과 작업 방식 등에 따라 ±60%의 비용 차이가 발생하기도 한다.

지식경제부는 원전 해체 비용을 발전소 1기당 3251억원(2003년 불변가격 기준)으로 추정하는데,

실제 비용은 1조원에 이를 것이란 주장도 만만찮다. 비용이 2003년 말을 기준으로 책정돼 있을 뿐 아니라

해체 기준이나 방식, 시기 등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추정됐기 때문이다.

 

폐기물 처리 비용도 간단치 않다. 전세계적으로 매년 산출되는 고준위 폐기물은 1만t, 중·저준위 폐기물은 20만t 규모다.

원전을 가동하는 대부분의 국가에서 원전에 폐기물 처리 비용 적립금을 쌓도록 하고 있지만 이 비용만으로 감당할 수 있을지, 전문가 대부분은 회의적이다. 결국엔 국민 세금으로 충당하게 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매년 국가 예산 2500억원이 원자력 연구·개발에 지출되고 있다는 점도 빠뜨릴 수 없다. 1988년부터 20년간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투입된 연구·개발비(5500억원)의 절반에 육박하는 규모다. 매년 전력기금에서 100억원이 원자력 홍보비로 사용되는 것도 논란거리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각에선 “1950~60년대 발전하기 시작한 원자력 기술은 국가 차원의 막대한 지원 없이는 서구 민주주의 산업국가에서 결코 유지될 수 없었고, 앞으로도 핑크빛 미래만 기대할 수 없게 됐다”(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는 진단도 나온다.

 

사고 피해까지 포함할 경우 원전의 경제성은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뒤 메릴린치증권은 앞으로 2년간 도쿄전력이 부담할 손해보상 금액이 11조엔(약 149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했다. 일본경제연구센터(JCER)가 추산한 후쿠시마 사고 수습 비용은 20조엔(약 270조원)에 이른다.

여기에 추산조차 어려운 환경 비용과 사회적 갈등 비용도 고려해야 한다.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당장의 생산원가는 원자력이나 화석연료에 비해 높지만, 기술 수준의 가파른 상승과

규모의 경제 실현으로 생산원가가 빠르게 떨어지는 추세다. 매출 규모와 고용시장에 끼치는 파급력도 주목해야 한다.

2010년 국내 원자력 산업 분야의 매출액은 16조7590억원에 인력 분포는 2만3835명이다.

매출액이 8조780억원이었던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고용 인원이 1만3651명이다.

이정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은 “정부의 전향적인 정책이 동반되면 경제적 규모는 빠르게 커진다.

 

녹색 일자리의 성장 잠재력을 고려하더라도,

원자력에서 재생에너지로의 방향 전환이 고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고 말한다.

 

 

원전보다 많은 전력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이런 진단의 정당성은 세계 에너지 산업의 동향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전세계적으로 원전에서 생산되는 전력은 총 전력 생산량의 13%를 차지하는데,

이는 1차 에너지 소비량의 5.5%를 충당하는 수준이다.

반면 총 전력 생산량의 19%를 차지하는 신재생에너지는 1차 에너지 소비량의 10%를 제공한다.

원전보다 현저히 많은 전력을 생산하며 산업 파급효과가 크고 환경 부담도 적은 에너지원을

이 나라가 마다할 이유가 대체 어디 있단 말인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64324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65098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182776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71374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52482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52583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297602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28816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66600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481350
3687 Hybrid ( 교배종, 혼혈종 ) [8] 베릭 2014-08-20 9179
3686 담배가 폐(肺)에 좋은 이유 [1] [3] 유전 2012-12-18 1889
3685 안녕하세요!!!~카페를 만들었는데 [2] [32] 별을계승하는자 2013-05-09 1604
3684 [싸이코범죄] 10대 남녀…살인후 "내꿈꿔♥" 카톡 [2] [25] 거북이 2013-05-09 1571
3683 부도지의 4대설과 오행의 차이점-펌 [3] [37] 가이아킹덤 2013-05-09 1813
3682 대단히 죄송하오나 결과는 신이 선택한 것 [2] 금성인 2012-12-19 1813
3681 바람이 부나봅니다. [10] [3] 가이아킹덤 2013-03-29 1944
3680 송과체 능력으로 시간여행도 가능한가요? [7] [5]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3-03-30 2282
3679 우주 그곳은 가능성이 만든 가장 아름다운 곳 [7] [1] 조가람 2013-03-30 2796
3678 수면요법으로 본 꿈속 외계인 납치 [3]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3-03-30 1657
3677 우리 은하계의 현실 [1] [26] 조가람 2013-03-29 2346
3676 빛의 몸 만들기를 다시 올리면서... [12] [4] 가이아킹덤 2013-03-31 2462
3675 단조공주(단군할아버지와 마고할머니) [2] [29] 가이아킹덤 2013-04-01 3281
3674 이삼한 성자님 질문답변 [8] [4] 가이아킹덤 2013-04-01 1964
3673 부도지 제10장. 환인(桓因)씨가 천부삼인(天符三印)을 이어받다. [21] 가이아킹덤 2013-04-01 2123
3672 지구와 태양계의 나이... 답변해 주실분... [6]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3-04-25 1323
» 핵페기물의 문제점 [2] 베릭 2013-04-15 1673
3670 꽃은 피고지는데 우리네 인생은 왜 피다 마는걸까? [4] 거북이 2013-04-02 1577
3669 오행+상화와 육합의 차이, 그리고 부도지 21장. [7] 가이아킹덤 2013-04-03 1918
3668 7개의 챠크라 에너지 [4] [61]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3-04-03 3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