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은 몸에 좋다? 나쁘다?
기공마을  



몸에 좋다1 - 입 속 충치균 억제하는 카카오 껍질
초콜릿은 흔히 알려진 것과는 달리 치아에 그리 해롭지 않고 오히려 충치를 예방하는 효과까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일본 오사카대 오오시마 타카시 박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카오 콩의 껍질에는 구강 내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해하는 성분이 있다는 것이다. 충치는 입 속의 스트렙토코코스 등의 박테리아가 당 성분을 산으로 바꾸기 때문에 일어난다. 박테리아의 대사 결과물로 생긴 산은 치아의 표면을 녹이고 구멍을 만들어 결국 충치를 발생시킨다. 오오시마 연구팀은 한 그룹의 쥐에게는 카카오 콩의 껍질 성분이 든 물을 먹이고, 나머지 그룹에게는 평범한 물을 먹였다. 물론 두 그룹의 쥐에게는 동일하게 설탕이 듬뿍 든 식단을 제공했다. 3개월 후 연구팀은 카카오 콩의 껍질 성분을 먹은 쥐에서 6개의 충치를 발견한 반면, 그렇지 않은 그룹의 쥐에서는 14개의 충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다고 충치 걱정 없이 무턱대고 초콜릿을 먹다가는 치과 신세를 면하기 힘들 것이다. 오오시마 박사의 연구는 카카오 콩의 껍질 성분을 대상으로 한 결과였지 초콜릿 자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가 아니기 때문이다. 충치 예방 효능이 밝혀진 카카오 콩의 껍질 성분은 오늘날 대부분의 초콜릿 제조 과정에서 버려진다. 또 한가지 더 명심할 점은 오늘날 우리가 먹는 밀크초콜릿에는 순수 초콜릿 성분이 15%밖에 들어 있지 않고 나머지는 당분 등이어서 치아에 해롭다는 사실이다. 플라크의 축적을 막는 성분보다 박테리아의 먹이감이 되는 당분이 훨씬 많기 때문에 초콜릿을 먹고 이 닦기를 게을리 한다면 입 속은 충치 세상이 될 것이다. 하지만 오오시마 박사의 연구 결과는 카카오 콩의 또다른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일부 과학자들은 껍질 속에 든 성분을 활용해 초콜릿 성분이 든 치약이나 칫솔이 개발될 날도 머지 않았다고 말한다. 또한 오오시마 박사는 카카오 콩 껍질을 버리지 않고 그대로 사용해 당 성분을 낮춘 초콜릿을 제작한다면 충치 걱정 없이 맘껏 초콜릿을 즐길 날도 곧 다가올 것이라고 예상한다.


초콜릿은 다양한 모양으로 가공하기에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진은 2005 월드페스트리컵 대회 초콜릿 공예부문 2위를 수상한 최인호의 조각품

몸에 좋다2 - 성인병 예방 효과 지녀

미국의 데이비스 소재 캘리포니아대의 칼 킨 교수 연구팀은 초콜릿이 심장병과 동맥경화 등의 성인병 예방에 좋다는 연구 결과를 지난 2000년 발표했다. 킨 교수에 따르면 초콜릿의 성분 중 하나인 플라비노이드는 혈액 응고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고, 따라서 심장마비나 심장발작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심장마비나 심장발작은 혈액 응고를 주관하는 혈액 속의 혈소판이 지나치게 활동적이 되면서 발생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플라비노이드가 혈소판의 혈액 중 농도를 낮춰 혈액 응고를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킨 교수 연구팀은 카카오를 듬뿍 탄 물을 먹인 쥐와 평범한 물을 먹인 쥐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2시간 뒤 연구팀은 카카오가 든 물을 먹인 쥐에서 혈액 응고 시간이 현저히 감소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킨 교수는 플라비노이드는 차와 와인 등에도 들어 있지만 초콜릿에는 이들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고농도 플라비노이드가 함유돼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킨 교수의 이같은 주장은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우선 그의 연구 배경이 문제가 됐다. 킨 교수의 연구는 미 초콜릿 제조회사인 마스사의 지원에 의해 진행됐다. 초콜릿 회사의 연구비로 진행된 킨 교수의 연구 결과가 객관적일 수 없다는 주장이다. 또한 킨 교수의 주장은 초콜릿에 함유된 과도한 지방을 무시했다는 지적도 있다. 다만 다크 초콜릿에는 밀크 초콜릿보다 코코아의 함량이 많기 때문에 혈액 속의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HDL은 동맥에서 피를 엉기게 만들어 동맥 경화를 일으키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과 달리 피가 엉기는 것을 억제하는 좋은 콜레스테롤이다.

  
몸에 좋다3 - 행복 중추 자극하는 해피 캐미컬
초콜릿은 흔히 사랑의 묘약으로 불린다. 감정을 흥분시키고 편안한 상태로 만들어 긴장감을 풀어준다는 뜻일 것이다. 초콜릿에 정말 이런 기능이 있을까. 최근 연구 결과를 보면 전혀 근거가 없는 말은 아닌 것 같다. 먼저 초콜릿은 다른 달콤한 음식과 같이 인체에 기쁨과 행복감을 주는 호르몬인 엔돌핀의 분비를 자극한다. 또한 여성만의 고통을 해결하는 것도 초콜릿이다. 현대의 여성은 생리하기 전에 초콜릿을 더욱 찾는데, 이는 초콜릿에 생리전 증후군을 완화시키는 기능을 하는 마그네슘이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 몸 속은 생리 전에 마그네슘이 부족해지는데, 이는 이유없이 짜증이 나고 우울하며 감정이 예민해지는 등의 생리전 증후군을 유발한다. 생리전 여성이 초콜릿을 유독 찾는 이유일 것이다. 초콜릿에는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도 소량 들어 있다. 카페인은 커피에도 함유된 물질인대, 잘 알려진 대로 뇌를 자극해 각성 효과를 나타낸다. 초콜릿의 성분 중 또다른 신경자극물질로는 테오브로민(theobromine)이 있다. 카카오 종자의 약 5%는 테오브로민인데 이 물질은 폐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긴장을 풀고 편안함을 느끼도록 해준다.


가공 초콜릿의 경우 설탕과 밀크이 함량이 높아서 부가적인 열량이 발생한다.
몸에 나쁘다1 - 고칼로리로 비만의 주적

다른 식품에 비해 당과 지방의 함량이 많다. 초콜릿은 약 1백g당 5백30 kcal 이상의 열량을 내는 열량식품으로 간단한 아침식사와 맞먹는다. 사람이 하루 필요로 하는 열량 이외의 초과분은 체지방으로 축적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들이 경계의 대상으로 삼을 만하다. 밀크 초콜릿의 경우 백설탕과 전지분유가 카카오 매스, 카카오 버터보다 많이 사용된다. 카카오 가공품이 가진 열량에 다른 성분의 열량이 더해지므로 비만으로부터 자유롭기는 어렵다.


몸에 나쁘다2 - 카페인과 중독성

32g 정도 되는 5백원짜리 판 초콜릿에 포함돼 있는 카페인의 양은 약 20mg. 그 자체는 그리 많은 양이라고 할 수 없지만 초콜릿을 달고 사는 아이라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카페인 중독에 걸릴 수 있다. 초콜릿 소비가 많은 미국과 유럽에서는 초콜릿을 지나치게 탐닉하는 초콜릿 중독에 빠지는 사람의 수가 많아져 초콜릿 중독에 대한 여러 연구도 진행됐다. 미국 샌디에고에 위치한 신경과학연구소(neuroscience Institute)의 다니엘 피오멜리 연구팀은 초콜릿의 성분중 하나인 아나다마이드라는 지질이 대마초를 흡입했을 때 느끼는 행복감을 일으키는 대뇌의 수용체와 결합해 작용하는 것을 발견했고, 스페인의 연구팀은 초콜릿에서 테트라하이드로 베타-카르볼린이라는 알코올 중독을 유발하는 신경자극성 식물화학물질을 발견했다. 물론 두 연구진 모두 이 성분들이 중독을 유발하기에는 부족한 양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성분들과 카페인이나 마그네슘과 같은 초콜릿의 다른 성분이 반응하면 상승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제시돼 그 관계를 계속 연구 중이라고 한다.
  

개나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에게는 초콜릿을 함부로 줘선 안된다. 초콜릿의 테오브로민 등의 성분은 인간에게 무해한 양이라도 개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http://energyhealingcenter.co.kr/bbs/view.php?id=jayu&page=6&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364

기공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