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증시 급락 가능성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파장이 커지고 있다. 1조3000억 달러에 달하는 비우량 대출에서 시작된 부실이 급기야 보통 대출시장까지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세계 금융시장의 ‘블랙홀’이 될 것이란 우려도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6일(현지시간) 미국 10위권의 모기지 전문업체 아메리카 홈 모기지 인베스트먼트(AHM)가 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고 전했다. 아메리카 홈 모기지는 지금까지 파산을 신청한 업체 대부분이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취급한 반면 이보다 신용등급이 우수한 ‘알트A’를 취급해 온 업체여서 충격을 더하고 있다. 미 주택담보대출 시장은 신용등급이 높은 순으로 우량(프라임)-알트A-서브프라임으로 나뉘어 있다.

 블룸버그는 “아메리칸홈의 파산 신청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보다 우량한 담보 대출 시장으로 확산하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분석했다. 앞서 아메리칸홈 모기지는 지난주 7000명인 직원을 750명 수준으로 감원했다. AHM이 파산 보호를 신청했지만 자산 매각이 어렵고 투자자 확보가 쉽지 않아 회생은 불가능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미국에서는 올해 4월 미국 제2위의 서브프라임 업체인 뉴센츄리 파이낸셜이 파산 신청을 한 것을 비롯해 지금까지 50여 개의 모기지 업체가 파산 신청을 하며 줄도산을 맞고 있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7일 “신용도가 좋은 사람들마저 금리 인상이라는 복병을 만났다”고 전했다. 서브프라임 부실이 확산하면서 우량 고객이 빌린 주택담보대출 금리도 덩달아 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프라임(우량) 대출자들에게 빌려주는 금리는 5월 중순 6.5%에서 최근 7.5% 수준까지 올랐다.

 이에 따라 주택시장이 침체할 가능성이 더 커졌다. 서브프라임으로 인한 신용경색으로 채권 발행도 어려워지면서 6월 1280억 달러에 달했던 미국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 규모는 7월 290억 달러로 대폭 줄었다.  

 이에 따라 7일(현지시간)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 결과에 세계 금융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 서브프라임 사태에 대해 내릴 진단과 처방에 따라 시장의 운명이 갈릴 전망이기 때문이다.

 글로벌 증시의 급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국제 금융가의 시각이다. 세계적인 투자자인 짐 로저스는 최근 “서브프라임 위기로 시작된 세계 증시 조정으로 최근 전 세계 증시에서 일 주일새 2조1000억 달러가 증발했지만 앞으로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신흥시장의 채권 발행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블룸버그 통신은 7일 “일본 신세이 은행은 미국 모기지 관련 투자로 3000만 달러의 손실을 기록했다”고 전했다.








1.  ***  
2007-08-11 pm 3:19:00
75.--.191.107  
이것은 빙산의 일각이구요. 지난주에 세계각 금융시장의 움직임을 보시면 유럽에서
9일 BNP파리바가 3개 헤지펀드 환매 중단 의사를 밝히면서 큰파장을 불고 왔고, FRB에서 지난 9일부터 무려 620억을 금융시장에 급히 쏟아부었죠. 이 섭프라임이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각국의 금융시장이 얽혀있는 문제라서 쉽게 해결날수가 없답니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일본마저 금리인상을 해버리면 엔케리트레이드청산까지 시작되면 이거 정말 큰일이죠. 하여간 지금은 부동산이고 증권이고간에 한발짝 물러서서 지켜보는 신중함이 요구됩니다.

2.  ***  
2007-08-11 pm 7:15:00
75.--.85.183  
zxfhjjjjjjjjjjjjjklqweeeeeeerttyuipzxcvbnm,2345678asdffgvvffvvvvvvvvvvvvvvuiozxcvbnnm

3.  ***  
2007-08-11 pm 8:19:00
69.--.248.117  
잘 몰라서 그러는데요.. 모기지 파동이 아파트 렌트비에는 어떤 영향이 있을런지요..?
산호세 지역에 렌트를 알아보는 중인데요, 2베드룸 2000불 정도인것 같은데 2천불이면 30만불 정도 7%로 빌릴 수 있는것 같은데, 그럼 2베드 콘도가 30만불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 이상 아파트 렌트비는 그대로 2000불일까요?

4.  ***  
2007-08-11 pm 9:12:00
169.--.108.78  
3번님 조만간 렌트비 인상될겁니다. 사람들이 모두 집을 잃어버리거나 구입하지 못하고 렌트시장으로 몰려들게 되기 때문에 렌트비가 올라갈 가능성이 커지게됩니다. 집이 있거나 없거나 수중에 현금이 없으면 모두에게 힘든 시기가 올거에요.






은행들 융자조건 강화하고 변동 이자 프로그램 없애
한인 융자업계도 생존위한 구조 조정 가속화
뉴스일자: 2007-08-11
  
서브프라임 모기지 붕괴로 인한 융자업계의 위기가 미국 경제 기반을 흔들고 있다.

최근 주가 급락이나 채권시장 경색 등 금융시장의 혼란도 서브프라임 부실 사태가 원인이다. 서브프라임의 부실은 단순히 미국 주택시장을 흔들어놓는데 그치지 않고 이 모기지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대형 금융기관의 파생상품의 연쇄 부실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곧 전 금융권의 신용 경색으로 확산되고 있다.

서브프라임의 정확한 명칭은 ‘서브 프라임 모기지 론’(Sub Prime Mortgage Loan)이다. 미국의 주택담보대출 시장은 크게 우량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프라임 시장과 저신용자•저소득층이 많이 이용하는 서브프라임 그리고 그 중간단계인 알트A로 나뉜다. 일반 은행들도 서브프라임을 취급하지만 ‘컨트리 와이드 파이낸셜’ ‘뉴센츄리’ ‘옵션원’ 같은 대형 전문 랜더들이 더 활발하다.

서브프라임은 ‘신용도가 낮은 사람에게 적용되는 높은 금리’란 의미다. 예를 들어 우대금리가 연 6%라면 서브프라임은 여기에 2∼4%의 이자를 더 붙여서 받는 것이다. 위험도가 높은 만큼 수익도 높은 셈이다.

서브프라임의 문제는 금리가 오르거나 주택시장이 침체되고 수입마저 넉넉하지 않다면 상황이 어려워진다. 지난 몇 년간  경기가 나빠지면서 주택시장이 침체하고 금리는 상승함으로써 서브프라임으로 돈을 빌린 사람들의 연체율이 높아졌다.

서브프라임 연체율은 2004년 10.8%에서 지난해 12.3% 그리고 올해엔 14%가까이 올랐다. 현재 미국내 50여개 크고 작은 서브프라임 업체가 파산 신청한 상태다.

서브프라임의 붕괴로 최근에는 견실한 고객들을 상대로 대출해온 융자회사 까지도 도산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 최대 모기지 융자기관의 하나로 알트A(Alt-A) 융자를 전문으로 해온 아메리칸 홈모기지는 3일자로 영업을 중단하고, 직원 7천명을 해고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6월 론스타 펀드의 인수에 합의한 어크레디티드 홈렌더스 홀딩사도 파산보호 신청 가능성을 언급했다. 역시 알트A 모기지를 전문으로 해온 인디맥 뱅콥과 내셔널시티사도 시장상황이 악화되면서 융자 신청 심사 기준을 강화했다고 발표했다.

2006년이후 70개가 넘는 모기지 회사들이 회사를 팔려고 내놨거나, 영업을 중단했으며 최소 6개 이상이 도산했다.

프라임 모기지사의 최준영 융자인은 “서브프라임 융자의 몰락으로 모기지 회사들이 융자조건을 강화했다”고 말하며 “지난주 부터는 변동 이자율 융자도 없어졌다”고 말했다.

지금까지는 변동이자율이 고정 이자율보다 낮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3년,5년 등의 변동 이자를 이용해 대출을 했었다. 그러나 최근 이자율이 올라가며 월 페이먼트가 높아져 모기지를 갚지 못하고 연체되거나 차압되는 경우가 많아져 모기지 회사들이 변동 이자율 자체를 없애버린 것이다.

한편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문제가 확대되면서 신용도가 좋은 사람들에게 적용되었던 우량 담보대출인 이른바 '점보 론'의 금리까지 오르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미국 모기지 시장의 16% 정도를 차지하는 점보론은 신용도가 좋은 사람들이 고가 주택을 구입할 때 이용하는 대출로 신용 부실과는 거리가 멀지만 최근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로 타격을 받은 대출기관들이 점보론의 금리까지 인상하고 있다.

최준영 융자인은 “지난 5월 중순만 해도 6.5%였던 30년 만기 점보론의 고정금리는 지난주에는 평균 7.1%로 올랐고 이번 주에는 7.34%까지 상승했다”고 말했다.

서브프라임 융자의 채무 불이행 증가가 점보론 같은 우량 대출의 금리까지 영향을 주는 것은 미국의 신용부실 우려가 심각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서브프라임 융자의 붕괴는 한인 융자업계와 부동산 업계에도 영향을 미쳐 지각변동을 가속화하고 있다.  

인텔리 융자의 정성두 대표는 “서브프라임 융자 붕괴는 오히려 은행들의 융자 강화로 이어지며  한인 융자업계에 구조조정 바람을 불게 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융자업에 종사하던 융자인들도 작년부터 줄기 시작해 현재 25~30%만이 남아있는 상태”라고 말했다.

정대표는 또 “작년에 월 10건 융자했다면 올해는 2~3건 맡기도 힘들다”고 말하며 “소리 소문없이 문을 닫은 융자회사도 상당하다”고 말했다.  

이창렬 제일은행장은 “서브프라임 융자 붕괴가 부동산 시장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며 “부동산 시장의 경색으로 고용이 줄어들면 소비도 줄게 돼 결국 경기침체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이와는 반대로 서브프라임 규모를 고려할 때 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은 그리 오래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만만치 않다.

벤 버냉키 FRB 의장은 지난달 의회에서 “서브프라임 부실이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침체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헨리 폴슨 재무장관도 “영향이 제한적이며 미 경제는 여전히 강하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 중앙은행(FRB)은 7일 공개시장조작위원회(FOMC)를 열어 정책금리인 연방기금 목표금리를 5.25%로 그대로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금리동결 결정은 작년 8월 이후 9번째 연속적으로 이뤄졌다.

이에 따라 FRB는 올해 말까지 금리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최대 우려 사항인 인플레이션 위험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것이 확인된 뒤에야 금리조정을 검토할 것이라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미국 주택 모기지론 회사 파산신청과 동아일보 분석!

번호 268846  글쓴이 X-레이   조회 333  누리 37 (0/0)  등록일 2007-3-14 11:01  대문 1 톡톡 0  



  

미국주택 모기지론 취급하는 회사(서브 프라임) 파산신청을

뒤늦게 서프에 올리는 이유는 간단 합니다



동아일보 오늘자 분석은 ....

그회사가 우량 주택금융상품 취급하는 회사가 아니므로

미국내 부동산 거품 자연히 해소되는 과정이라 뉴스 보내고 있습니다....

미국 금융시장 흔들만한 악재가 아니라는 것이죠!



허나!

이것은 미국신문 무조건 펌질하는  언론들 시각일수도 있습니다



미국부동산 거품해소는 작년부터 진행중이였고

한국은 주택 거품제거 초반진입도 안된 상황 입니다



우리나라 제2금융권 주택대출 현황  재점검 필요하며

그중에 약탈적 주택대출로 골병든 금융회사는

정밀 감시가 있어야 한다는 요지에서 올리고 있습니다



서민들 주로 이용하는 제2금융권 문제가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