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우주에너지(Cosmic Energy)

 

온 우주만물은 물질과 비물질로 형성된 하나의 거대한 에너지체이다.

물방울 하나하나가 모여 바다를 이루듯이

유한에너지체인 소립자, 극초립자 등이 모여 무한에너지 바다를 이루고,

현재 지구촌에서 활용하는 석유, 가스, 원자력 등 

기타등등의 에너지로 구분하고 있으나

우주과학적 측면에서 본다면 바위 덩어리 등의 물질도 에너지체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얼음덩어리에 열을 가하면 물이 되고

더 열이 가해지면 수증기가 되어 날아가듯이

액체상태의 용암이 분출한 후 식어서 바위 등이 되었듯이

바위를 잘개 쪼개면 모래가 되고

모래를 계속 쪼개고 또쪼개다 보면 분자가 되고,

또 다음으로 원자 - 원자핵 - 전자와 양자, 중성자 등의 소립자들은

에너지임을 알 수 있듯이

음(-), 양(+)의 에너지 조화로 만물은 이루어졌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질로 구성된 행성들이 모여 은하계를 형성하고 있으나 육안으로

보더라도 멀리 떨어져있는 것을 볼때 거대한

에너지체가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이지 않는가?

 

성경 요한복음 1 : 1 ~5

한 처음 천지가 창조되기 전부터 말씀이 계셨다.

말씀은 하나님과 함께 계셨고 하나님과 똑같은 분이셨다.

말씀은 한 처음 천지가 창조되기 전부터 함께 계셨다.

모든 것은 말씀을 통하여 생겨났고 이 말씀없이 생겨난 것은 하나도 없다.

 

 힌두교 3대 경전 중에 하나로

고대 인도의 철학서인 우파니샤드(Upnishad)에서

만물 속에 신성이 깃들어 있다는 것,

또한 지구과학으로도 이미 기억합금소자를 활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듯이

만물에는 기억원리가 있으며 더 나가 만물속에는 의식이 있다는 말이다.

 

예수 : 너희가 진리를 전하지 않으면 이 돌들이 일어나 외치리라.

 

에너지는 원자핵을 중심으로 전자와 양자, 중성자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활동이 활발한 것은 비물질로 눈에 보이지 않으며

그 활동이 느린 것은 물질을 형성하고 있으나

전자파의 파동에 따라 에너지가 이동한다.

바닷물이 물결을 따라 이동하듯이 전기에너지는 발전소에서 선을 타고 오지만,

전자파는 송신소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된 것을 수신하듯이

결국 말씀의 텔레파시와 염력의 파동에 의해서 에너지를 이동시키며

싸이클 변화에 따라 물질과 비물질이 형성되고

형태를 나타내게 하셨다는 뜻이다.

(율려로 창조했다한 율려 또한 파동에너지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무한 우주는 결국 에너지의 바다인 것이다.

지구자체도 N극과 S극의 자장대가 형성되어 있으나

우리가 지상에서 살아가면서 그 기운(氣運)을 감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주에 차고 넘치는 에너지를 아직 우리일상에 활용치 못하고 있으나

공간에너지의 활용은 시간문제인 것이다.

 

자유자재로 우주공간을 넘나드는 UFO(우주선)는

공간에너지활용과 반중력의 원리로 날으는 것이다.

 

눈에 보이지 않는 레이져 광선으로 백내장수술도 하고 철판도 짜르며

X선 촬영으로 신체의 내부를 찍고 방사선으로 신체의 암세포도 죽이나,

과학기술과 에너지 활동의 미숙으로 인해서 암세포 뿐만 아니라

정상세포까지도 죽이므로 머리털도 빠지고 건강을 일어감을 볼 수 있으나

석가모니게서 말법시대에 대열반광(大涅槃光)을 받으라고 말씀하셨고

 

예수그리스도께서 성령(Holy Spirit)과 불(Holy Power)로 거듭나라고

말씀하신 거룩한 힘은 성스러운 에너지이며

 

결국 우주에너지(Cosmic Power)는

우주에 차고 넘치는 수천 수백만 가지,

그 이상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에너지들 중에서도 엑기스인 에너지로

사람이 태어날 때 가져오는 기운(원기(元氣))을 말하며

이 기운은 살아가면서 다소진하면 기진맥진하여 결국 숨이 끊어지는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氣가 끊기는 것을 기절(氣絶)이라 하고

氣가 막히면 기막힌 일만 생기고

氣가 통하면 氣가 통했다해서 기통차다고 하듯이 

신(神)과 통하면 신통방통한 것이다.)

 

항아리에 오염된 더러운 물이 담겨 있다면 쏫아버리고

깨끗한 물로 닦은 후 맑은 물을 채우든가, 사용할 수 있듯이

 

인체에 삿되고 오욕된 더러운 기운들을

우주에너지로 말끔히 씻고 정결해 질 때 마음의 평화가 생길 것이며

무한 우주세계의 또 다른 별나라에서도

고차원의 파동 속에서도 적응하여 살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cafe.daum.net/Cosmic

 

profile
조회 수 :
2066
등록일 :
2012.03.19
16:52:15 (*.135.108.108)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216799/9a0/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216799

베릭

2012.03.19
21:48:09
(*.135.108.108)
profile

위대한 니콜라테슬라와 영점에너지 반중력

 

니콜라 테슬라 (Nikola Tesla)

1856년 7월 9일 크로아티아 출생으로 1943년 1월 7일 미국에서 혼자 쓸쓸히 죽을때까지

정말 슬픈영화의 주인공 처럼 살아간 비운의 과학자.

하지만 더 비운의 주인공은 바로 이런 과학자를 인정하지 못했던 바로 우리들이 아닐까

 

 

에디슨의 그늘에 가려져 그의 존재가치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20세기 최고의 과학자이다.

전기의 발전에는 에디슨을 위시해서 패러데이, 헤르츠, 볼타 등등 많은 과학자들의 공헌이 있었지만 테슬라는 전기발전에 누구보다 큰 공헌을 하고도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었다


발명을 돈벌이 수단으로 삼으려는 에디슨과 달리 니콜라 테슬라는 발명자체의 즐거움을 찾았고 28세의 나이로 에디슨 회사에 들어간 그는 거기에서 에디슨이 사용하고 있는 직류시스템의 문제점을 지적 교류시스템을 바꾸자 주장했다.

하지만 에디슨은 새내기인 니콜라 테슬라의 그러한 주장을 새겨 듣지 않고 계속 직류시스템을 사용했다. 돈이 안되기 때문이었다


지금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배터리에서 생성되는 전기 외에는 대부분이 교류전기다. 교류전기가 보편화되기까지의 과정은 그리 순탄치 않았는데, 교류전기는 그 이론에서부터 실용화까지 완전히 테슬라의 공적이었다.


인류를 위해 좋은 발명을 하고도 매장된 이가 테슬라만은 아니겠지만 그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을 사는 동안 21세기인 지금에도 세상 사람들이 아는 최첨단 과학기술보다 훨씬 더 앞선 과학을 만들었다.

과학소설의 아버지라고 불리며, 90여 년 전에 녹음기, 마이크로피쉬, 홀로그램, 팩스 따위의

필연적 발명을 예견했고, 1928년에 이미 텔레비전 설계도를 잡지에 발표했으며,

3차 세계대전 이후에 올 것으로 예상한 미래사회를 묘사한 <랄프124C41+>라는 소설을 쓴

휴고 건스백(Hugo Gernsback, 1884~1967)은 이런 테슬라를 가리켜

인류 역사상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과학자라고 평했다.

 

"일반적으로 발명이란 것이 이미 다른 사람들이 만들어 놓은 지식을 토대로 만든데 비해서

니콜라 테슬라는 두 번 다시 생각할 필요도 없이 과학을 창조했다.

그는 지금까지의 역사에서 가장 뛰어난 과학자일 뿐 아니라

미래에도 그를 능가할 과학자는 있을 수 없을 것이다.

그가 대담무쌍한 담력으로 이룩한 기초지식과 혁명적인 과학 발견은

지식세계에서 또다시 일어날 수 없는 일이다."

현 미국과학자 85%가 니콜라 테슬라 전기문을 읽고 과학자가 되려고 결심했다고 한다.


그런데도 우리는 학교에서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발명가 = 에디슨이라고 배웠다

누군가 조작하고 왜곡한 사실을 절대 진리이자 진실의 역사로 배웠고 그렇게 믿어왔다.

하지만 역사적으로도 우리스스로에게도 얼마나 불행한 일인가.

우리가 배워온 역사는 승자의 역사라 하는데 그 말이 이러한 진실들을 역설하는 건 아닐까


실제로 에디슨의 많은 발명 중에서 순수하게 에디슨이 스스로 해낸 것은

그다지 많지 않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는 자신의 발명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의 발명을 재빨리 특허신고를 내는 장기를 갖고 있었다.

물론 먼저 특허 신고를 한 사람에게 특허권이 돌아가는 것은 당연하고

누가 먼저 발명을 했는지를 밝혀내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에디슨은 철저하게 자본의 논리에 따라 발명을 하는 사람이었다.


줄리앙 호손은 “에디슨은 벌어들이는 달러의 액수로 자신의 발명품을 평가하길 좋아했고

그 외에는 별로 관심을 두지 않았다. 만약 에디슨이 발명을 그만두고

소설에 뛰어들었더라면 위대한 소설가가 되었을 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했고,

그의 전기 '니콜라 테슬라'에서는 테슬라와 에디슨의 차이를 이렇게 기술하고 있다.


-에디슨과 테슬라 두 사람의 개성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두 사람의 관계는 처음부터 좋지 않은 운명을 내포하고 있었다.

에디슨은 테슬라의 지적이고, 이론적이며 세련된 면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다.

멘로 공원의 마술사라는 호칭을 얻었던 에디슨은 99%의 노력을 하는 천재는

실수를 통해서 '이렇게 하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기 때문에'

잘못된 것을 하나씩 제거하면서 문제의 핵심에 접근하는 방식을 택했다.

나중에 테슬라는 이런 그물식 실험 방법을 전해듣고 재미있어하면서 말했다.


"만약 에디슨이 건초더미 속에서 바늘 하나를 찾아야 한다면 아마도 꿀벌들처럼,

부지런하게 한 번에 하나씩 지푸라기를 들어내면서 바늘을 찾을 때 까지 조사를 할 것이다.

그러나 약간의 이론과 계산으로 99%의 노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나는

그 광경을 안스럽게 지켜볼 수밖에 없다."


미국 미시건 주 앤아버의 초등학교 교사인 와그너(John Wagner)는 3학년 학생들에게

테슬라에 대해 가르치고 그의 이름을 되살리기 위해 구리로 만든 그의 흉상을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 전시해 줄 것을 요구한 일이 있었다.

테슬라가 받은 특허번호와 모터가 에디슨관에서 에디슨의 흉상과 함께 전시되고 있어

관람객들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킨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동상은 박물관에 진열되지 못하고 예일대학에 진열되었다.

이들의 요청에 의해 레빈(Carl Levin)이란 상원의원이 압력을 넣어 겨우

남자화장실 옆 복도 어두컴컴한 구석에 테슬라의 유물이 담긴

작은 유리상자 하나가 진열되었을 뿐이다.


그뿐만이 아니라 스미스소니언 박물관에서 발간한 <발명책>에도

니콜라 테슬라라는 이름은 나와 있지 않다.

이 책에는 에디슨이나 경질고무 발명가인 굿이어(Charles Goodyear)를 위시해

전동칫솔이나 자동토스트기의 발명은 물론이고, 심지어는 켄터키 후라이드 치킨요리법을 특허낸

샌더스(Sanders)대령 같은 사람까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테슬라는 그림자도 찾아볼 수 없다.


심지어 미국 고등법원에서 라디오 발명가는 마르코니(Guglielmo Marconi)가 아니고 테슬라임을 오래 전에 판결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마르코니가 라디오 발명가로 소개되고 있을 정도이다. 일련의 사건들로 볼 때 이것은 고의적인 행위로밖에 해석되지 않는다.

 

하여튼 테슬라는 알수없는 세력에 의해 뭍혀버린 비운의 과학자였는데

영화'프레스티지'를 통해 그는 세상에 잠깐 알려졌었다.번 보시기를~

비운의 과학자 테슬라에 대해서 딱 3가지만 얘기해볼까한다.

 

1. 필라델피아 실험

 

 

 

 

 

 

 

 

 

 

 

 

 

 

 

 

 

2. 테슬라 코일

 

 

 


 

 

 

 

 

 

 

 

 

 

 

3. 허치슨 효과

 

 

 

 


 

 

 

 

 

 

 

 

 

 

이 세가지만을 얘기하는 이유를 대충 짐작하실 수 있는 분들이 많기를 바란다^^


먼저 1943년 행해진 필라델피아 실험(Philadelphia Experiment)은 2차 세계대전 때 미 해군은 독일의 레이더망에 포착되지 않기 위한 피닉스 작전의 일환으로, 테슬라를 위시해서 폰노이만(John Von Neumann), 허친슨(John Hutchinson), 커텐아워(Emil Kurtenhour), 아인슈타인 같은 당시의 석학들을 소집하여 무지개작전이라는 실험을 했다. 이 작전은 필라델피아 해군 항만에서 이루어 졌는데 보통 ‘필라델피아 실험’으로 알려져 있다.

 

처음에는 테슬라가 책임자로 있어 다른 과학자들은 그의 지시를 따르고 있었다.

 

그러나 다른 과학자들이 고집을 피워 테슬라를 따르지 않게 되자 테슬라는 사임하고, 그의 뒤를 이어 폰노이만이 책임자를 맡게 되었다.

 

폰노이만은 헝가리에서 태어난 수학 신동으로, 6살 때 암산으로 8자리 나눗셈을 할 정도였으며, 당대 가장 뛰어난 수학자 중 하나였다.


폰노이만이 있었던 프린스턴 대학의 진보학문연구소(Institute of Advanced Studies)는 1939년 작은 물체를 보이지 않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연구소는 이를 미 정부에 알렸으며, 군에서는 당시 전쟁에 돌입한 상황을 고려하여 이를 실전에 이용하려고 계획했다. 이것이 ‘무지개 작전’으로 구체화되었고, 결론은 테슬라 코일 4개를 작동시켜 자장을 만들고 그 자장으로 소위 ‘과도공간기포’ (Hyper Space Bubble)를 물체 주변에 조성해 보이지 않게 만드는 것이었다.

 

이 원리는 함선 주변에 아주 강력한 자장을 만들어 감싸면 태양빛 같은 광선이나 레이더등에 사용하는 전파는 마치 아지랑이처럼 굴절하게 되어 보이지 않게 되며, 혹시라도 적이 어뢰를 발사하면 그 진로가 굴절되어 옆으로 빗나가게 된다는 것이었다. 이 실험은 마치 보이지 않는 옷을 몸에 입히는 것처럼 배가 적에게 노출되지 않는 것이

첫 번째 목적이었다.


 

 

 

그때 아인슈타인과 테슬라는 만약 이런 기술이 개발된다면 인류를 위해 사용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경고를 했다.

 

드디어 1943년 여름, 뉴욕 해군 항만기지 소속 엘드리지(USS Eldridge DE 173) 경구축함에 75Kwh(1500억V로 승압)발전기 두 대,자장을 만드는 테슬라 코일 4개를 위시한 여러 전기기구를 가득 싣고 필라델피아 해군 항 앞바다에서 실험이 시작됐다. 1943년 7월 22일 오전 9시에 함상의 발전기를 발동시켰고, 곧 선박 주변이 초록색 안개로 가려지면서 선박은 보이지 않기 시작했다.

얼마 후 안개 자체가 걷히면서 선박도 함께 사라져 버렸다.

이를 주시하던 해군 고위 장교들이나 과학자들은 선박이 레이더망만 잡히지 않는 것이 아니라 눈으로도 볼 수 없다는 것에 대단히 만족해 했다. 얼마 후 발전기를 끄도록 명령하자 다시 초록색 안개가 서서히 나타났다가 그 안개가 가라앉으면서 엘드리지 호가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육지에 있던 관련자들이 승선해 보니 무언가 매우 잘못되어 있음을 알았다. 갑판에 있던 선원들은 얼이 빠져 있었고, 매스꺼움과 어지러움을 호소했다.

 

그래서 당국은 선원들을 모두 교체시키고, 앞으로는 레이더에만 감지되지 않게 만드는 방향으로 실험을 변경했다. 10월 28일 오후 5시 15분, 다시 실험이 시작되었다.

발전기를 발동하고 테슬라 코일이 작동하여 전기자장이 일어나자 함선은 점점 사라지기 시작해 뱃머리만 약간 보일 정도였다.

얼마 동안은 모든 것이 예상대로였지만 갑자기 선박에서 파란불이 번쩍 일면서 배 전체가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불과 수초 사이에 함선은 약 400킬로미터 남쪽에 있는 버지니아주 노포크함 앞바다에 수 분 동안 나타났다가 다시 필라델피아 해군기지 앞 바다에 돌아왔다.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순간이동이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그 결과는 참담했다.

이번에는 모두 181명이 승선했었는데 그중 120명은 온데간데 없이 사라졌으며, 40명은 죽고 21명만이 살아남았다.

 

 

그러나 생존자 중 일부는 미쳐 버렸고 산 사람 모두는 신체적으로도 매우 심한 이상 증세를 보였다.

그리고 가장 이상한 일은 그중 다섯 명이 함선의 철판에 박혀 버려 철의 일부가 되어버린 것이었다.

 

애초 레이더망에 걸리지 않게 하려던 실험이 뜻하지 않은 선박과 선원 전체의 텔레포테이션을 맛보는 사고로 끝을 맺은 것이다. 이에 대해 해군 당국은 그런 실험을 한 일이 없으며,‘엘드리지’라는 함선이 없어진 일도 없다고 주장하고, 그 함선의 일지를 공개하기도 했다.

 

옆에 사진은 영화의 한장면인데 함선의 철판에 박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올려봤다.

필라델피아 실험으로 당국과 실험 당사자들은 많은 것을 배웠을 것이고 호기심 또한 커졌을 것이다. 누구보다도 우월한 무기를 가지려는 욕망이 이를 포기했을 리가 없다.

 

 

알려진 바로는 미 해군이 1950년대에 ‘팀머맨(USS Timmerman)이란 함선으로 또다시 실험을 했으며, 이번에는 엘드리지호 때처럼 400헤르츠를 사용하지 않고 1천 헤르츠를 사용했다고 한다. 이 이론을 비행기에도 적용시키려는 노력도 있었다.


 

 

혹시 여러분 중에 라필(Stewart Raffill) 감독이 1984년에 만든 <필라델피아 실험>이라는 영화를 본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하여튼 ‘필라델피아 실험’ 이라는 해프닝은 테슬라 혼자만의 이론으로 일어났던 일은 아니지만, 첨단과학이 어느정도의 경지까지 이르렀는지를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니콜라 테슬라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가지고 있었다.  지구를 도체 또는 전기적인 소리굽쇠로 사용하여 정상파(terrestrial stationary wave)를 만들어내고, 200개의 전등을 40km 떨어진 곳에서 전선도 없이 불을 밝혔으며, 41m 섬광의 인공번개를 만들기도 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지식 체계를 뒤흔드는 테슬라의 작업들은 큰 장애에 부딪치게 되었으며,

재정지원의 중단과 방해 등으로 많은 아이디어들을 실행해보지도 못하고 가난 속에서 말년을 보내야 했다. 

 

 그의 명성과 이름도 너무 쉽게 잊혀져갔다.  니콜라 테슬라는 1891년에 테슬라 코일을 발명하였다.  

 

테슬라 코일은 무선기술에 널리 쓰이는 유도코일로서, 저전압을 고전압으로 바꾸는 변압기의 일종이다.  

이 테슬라 코일은 공간에너지를 연구하는 학자들에 의해 널리 활용되고 있는 장치들 중 하나로,

이 고압 발생 장치에서 종종 입력보다 출력이 높은 초효율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온 핵융합 과정과 무한동력장치에 유입된다고 가정되는 공간에너지.  그 공간에너지는 보통 우리가 아무것도 없이 텅 비어 있다고 믿는, 바로 그 공간에서 나왔다는 것이 공간에너지를 옹호하는 사람들의 생각이다.  이런 생각은 얼핏 황당하게 들릴지도 모르지만, 사실 공간은 에너지로 꽉 차 있는 에너지의 보고(寶庫)라는 것이 20세기 과학의 결론이다.  다만 그 에너지는 완전한 평형상태에 놓여 있어서 제로의 에너지 상태에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우리는 결코 그것을 사용하기 위해 접근할 수 없다. 

 

 

 그래서 공간에너지를 영점에너지(Zero Point Energy)라고도 하는 것이다.  무한동력장치를 지지하는 사람들의 연구는, 이 영점에너지를 어떻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끄집어낼 수 있는가에 초점이 모아져 있다. 사실 아무것도 없는 허공에서 공짜로 에너지를 뽑아 쓰는게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외계인들이 전해주는 UFO의 에너지사용법과 동일하다.

 

다음은 테슬라가 주장한 몇가지 내용이다

 

1. 지구는 표면이 한 극이 되고 또다른 한 극이 전리층

   (지상 40~400킬로미터 정도에 형성된 기류층)이 상호 작용하는 거대한 전기적 공명체(resonator)이다. 


2. 지구 자체는 엄청난 전기를 이미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도관을 연결하듯이 뽑아서 쓰는 기구만 만들면 무료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다.


3. 무선전기 전송 시스템은 지구표면과 전리층에 있는

    기본전파 혹은 고정전파 형태의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는 이것을 증명하기 위해 자기 실험실에서 26마일 떨어진 곳에 전깃줄 대신에
땅을 통해 전기를 보내 200개의 전등을 켜보였다. 
 

 

 

 

 

 

 

 

 

 

 

 

 

 

 

 

 

 

 

 

 

 

위 두개의 사진을 보면 뭐 생각나는게 있을 것이다.

바로 전기가 전선없이 이동하는 것인데 테슬라 코일 니콜라 테슬라 박사가 만든

전선 없이도 전기를 통과 시킬수 있는 전기 장치였다.

 

일단 전기를 발사하는 쪽을 +극으로 놓고 목표물을 -극으로 가정한 다음 전기를 흘려보낸다.

테슬라 코일의 원리로 전기는 전선없이도 통과하는 것이다.

 

위의 두가지 필라델피아 실험과 테슬라코일을 보고 한가지 떠오르는 게 있다면 바로 '이동'이다. '공간이'

영화 '점퍼'에서나 나오는 이것이 가능 하다는 것이다.

 

1999년 독일의 베를린에서는 미국의 물리학 공간이동 원리를 토대로

광량자 분자를 옮기는 실험을 하던 학자들이 괴이한 상황을 목격하는 사건이 있었다.

당시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옮겨진 광량자가 약 0.02초동안 두 지점에 한꺼번에 존재하는 모습을 본 학자들은 그것이 어떻게 가능한가 하며 의아해 하다 또 하나의 획기적인 이론을 발견하였으며 그것은 A 지점에 있는 분자 성분을 B 지점으로 옮기면서 A 지점에 있는 모체를 없애지 않고 보존한다는 이론이었는데,

 

그들이 새로히 발견한 이론은 공간이동 원리가 생물적인 클로닝(Biological Cloning)이 아닌 정량클로닝을 가능케 한다는 것이었고, 그들의 발견은 당시 생물적인 클로닝을 조심스레 시도하던 세계의 학계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쉽게 얘기하면 바로 '복제'가 성공한 것이다.

내가 위에서 니콜라 테슬라를 소재로 한 영화 '프레스티지'를 한번 보라고 얘기했는데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이라면 무슨 얘긴지 알 것이다.

영화에서 테슬라는 테슬라코일을 이용한 순간이동 장치를 개발한다.

마치 마술처럼보이는 이 현상을 무대위에서 보이기 시작하는데 무대위에서 장치속에 들어가면 몇초뒤 테슬라가 사라진다.

그리고 나서 무대뒷편에 나타난다.

 

그러면서 또하나 바로 클론(복제)이 되는데 이는 영화 중간에 검정색 모자가 많이 만들어지는 것과

맴 마지막 장면 총에 맞고 테슬라가 죽지만 또하나의 테슬라가  그 장면을 보고 있는 것으로 이 두가지를 암시했었다.

 

하지만 위 실험에서 정량클로닝으로 탄생한 또 하나의 복제품의 머리속에는 정보가 0이라는 사실이 발견되고

정보를 업로드하는 실험이 이뤄졌었다고 한다.

 

다시 얘기해 30살 A라는 사람을 복제했는데 새로생긴 A'는 정신수준이 1-2살이라는 것이다.

이게 바로 우리가 모르고 관심없는 실제 과학수준인 것이다.

윤리와 종교의 문제로 일반화되지 못하는 현과학의 또 다른 모습인 것이다.

여기에 대한 자료는 여러분이 관심을 갖는 만큼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허치슨효과에 대해서 얘기하고자 한다.

아래사진은 테슬라코일이다. 왜 이렇게 테슬라 코일을 많이 얘기하는지

궁금할 것인데 캐나다의 허치슨(JOHN HUTCHISON)에 의해 발견된 물체의 반중력 현상등과 같은 '허치슨 효과(Hutchison effect)' 에서도 테슬라코일이 중력을 제어하는 반중력장을 발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현상과 관련하여 미국의 맥도널 더글러스 항공사는 1985년에 뱅쿠버 실험관찰 보고서' 라는 이름으로 공식보고서를 작성한 바있다.

허치슨효과는 한마디로 반중력기술의 기초라고 보면 되는데 이게 바로 UFO의 비행원리인 것이다.

 

 

 

테슬라코일을 마주보게 설치한 뒤에 전원을 걸어주면, 그 사이의 공간에서는 중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어 물체가 위로 떠오른다.

 

이것은 인간이 얼마든지 중력을 제어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고대 레무리아문명과 아틀라티스문명의 교통수단, 그리고 몇몇 외계인이 들려주는 UFO비행기술의 핵심이 바로 이 반중력기술인데 이것을 1900년대에 니콜라 테슬라라는 과학자가 개발했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실 미국 네바다주 AREA 51기지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UFO는 이런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실제 이 기술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몇가지 중요한 단어들이있다. 영점에너지, 공간이동, 반중력기술

위 세가지 기술이 우리 일반인들에게 상용화되면 어떻게 될까.

환경파괴가 더 이상 필요치 않으며 석유석탄을 얻기위해 지구를 파해칠 필요도 없다

대기오염을 막을 수 있고 누구나 풍족한 에너지원을 가질 수 있게된다.

그럼 왜 이렇게 안하는가

바로 통제불가능이다. 자본주의는 또 다른 피지배층을 낳는다. '돈'이 문제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전기자동차는 개발이 되었지만 정유업체들의 압력과 로비로 폐기처분됐다.

정부에서는 거액의 세금이 없어지니 좋아할 일이 없는 것이다.

 

얼마나 답답한 현실인가.

이러한 사실을 아는 사람들은 테슬라가 그리울 것이다.


그의 목표는 누구나 필요할 때 아무데서나 무제한의 전기를 아주 싼값에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고
그러면 사람들이 심한 육체노동의 사슬에서 풀려나 평화와 번영을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과학의 존재이유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1926년 1월 30일에 그가 호텔 객실에서 자기 신세를 한탄하면서 적은 글을 읽어보시길^^


“모든 실체가 리듬을 가진 분자로서 전 세계를 하나의 거대한 두뇌처럼 작동하게 만드는
무선이 완전히 적용되는 날에는 인류는 거리 감각을 잊어버리고 즉각적으로 누구와도
교신을 하게 될 것이다. 그때에는 사람들이 원거리 전화(tele-phone)와 원거리 영상(tele-vision)으로
마치 얼굴과 얼굴을 맞댄 것과 다름없이 교신할 것이며 그때의 TV전화는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전화보다도 훨씬 더 간단해져서 사람들은 윗옷 호주머니에 그 TV전화기를 넣고 다닐 것이다…….

필경 가장 가치있는 무선 에너지의 원리를 적응시켜 만들 수 있는 이기(利器)는
연료 없이 현재의 비행기나 비행선이 가지고 있는 여러 한계를 벗어나 자유로이 다닐 수 있는
비행기의 추진력이 될 것이다 또 각 가정에 배달되는 종이신문 대신에 사람들이 잠자는 동안에

무선으로 각 가정에 신문이 직접 배달되어 집에서 인쇄된 신문을 읽게 되는 일은

꿈이라기보다 현실에 훨씬 가까운 이야기이다.

 

그리고 자동차들의 주차문제와 겸하여 상용도로와 개인용무를 위한 도로를 별도로 사용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벨트로 장치된 고층 주차장 빌딩을 세우고 도로는 필요한 대로 겹으로 증폭시키면 된다. 그러나 자동차와 바퀴를 날개로 대치하는 문명이 도래하면 그런 도로마저 결국 사라질 것이다.”

 

http://blog.daum.net/unckc/14706663

 

 

 

 

 

베릭

2012.03.19
22:09:31
(*.135.108.108)
profile

위대한 천재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 

  

리콜라 테슬라(Nikola Tesla, 1856∼1943 )는 세르비아의 크로아티아구에서 태어났다.

당시의 세르비아는 러시아의 통치아래 있었으므로 미국인들은 그를 러시아 출신으로 말하곤 한다.

세르비아는 얼마 전 크로아티아와의 내전으로 세상에 알려졌고,

그전에는 유고 연방으로 우리에게 알려 졌다.

테슬라는 러시아인도 세르비아인도 크로아티아인도 미국인도 되는 셈이다.

테슬라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구 리카시 스밀리얀이란 작은 마을 목사의 다섯째 막내로 태어났다.

그라츠공과대학과 프라하대학에서 수학·물리학·기계학 등을 공부하였다.

비상한 암기력과 6개 국어를 능통하게 구사했다.

 

테슬라가 에디슨의 논문을 읽기위해 영어를 배웠다고 한다.

부다페스트와 파리에서 전기기사로 일하였으며

1884년 미국 뉴욕으로 건너가 에디슨과 함께 일하기도 하였으나 연구방법이 서로 달라 헤어졌다.

연구방법의 차이는 자명했다.


에디슨은 반복된 실험을 하면서 발명을 했고 테슬라는 발명하기 전에 발명의 기반기술과 관계성을 판단한 후에 발명을 했다. 에디슨은 직류를 고집했고 테슬라는 직류의 한계를 알고 교류를 주장했다. 그래서 둘은 헤어지게 된다. 그리고 교류시스템의 특허를 웨스팅 하우스라는 회사에 팔아버린다. 어느 누구의 발명 방법이 옳았다는 것은 없다. 에디슨은 발명의 왕이란 칭송을 듣지만 테슬라는 자장밀도의 단위로 그것도 전문가들이나 알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당시 에디슨과 테슬라는 한쪽은 직류로 다른 안쪽은 교류의 발명가라는 대립된 구조를 갖고 있었다. 그리고, 결국 테슬라는 에디슨을 바보로 만들었다. 교류와 직류의 전쟁에서의 최후의 승자는 테슬라의 교류가 된다. 이미 에디슨은 직류에 수많은 자금을 쏟아 부었고, 교류의 위험성을 알리기 위한 수많은 시도 역시 실패하였다.


심지어 에디슨은 사형수를 교류 전류로 죽이고자 몇 번을 시도하지만 그것 마저도 실패한다. 에디슨의 직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전선의 두께가 매우 두꺼워야하고 거리에 따라 손실이 커져 수km를 가면 전기 공급소를 두어야 했다. 여기서 테슬라는1893년 시카고에서 열린 세계 박람회에서 교류를 자신의 몸에 통과 시켜 전구를 켜게하여 위험성이 없음을 보여주었다. 이후 교류방식이 전기 시스템의 표준으로 채택됐고,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시스템은 테슬라의 것이다. 현재 우린 전기 없이 살수 없다.


 

형광등·전자레인지 등 발명


테슬라는 110V 또는 220V로 각 가정에 전송되는 전기공급방식인 교류전류 시스템과, 다양한 색을 자랑하는 네온등, 형광등, 자동점화장치, 전자레인지, 자동차의 속도계, 리모트 컨트롤, 유도전동기발명, 교류발전기, 변압기, 전동기 등의 특허를 가지고 있고, 테슬라코일 발명했다. 무선에너지전송기술 연구했고, 세계 최초로 나이아가라폭포에 교류발전소를 책임지고 설치했다.


가히 천재라는 말을 할 수 있다. 1943년 사망할 당시 그에게는 8백 개의 발명특허권이 남겼다. 놀라운 점은 무선통신의 선구자 마르코니가 발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라디오 역시 사실은 테슬라의 발명품이라는 것이다.


마르코니가 특허내기 10년 전 테슬라는 라디오에 숨은 원리를 보여주었고, 마르코니와의 무선통신 특허분쟁에서 테슬라는 미국 대법원으로부터 승소판결을 받음으로써 진정한 무선통신의 아버지로서 인정받게 됐다. 음성, 그림을 무선으로 전송한다는 생각은 테슬라의 것이었다. 당시 마르코니는 무선 전기 신호정도를 보내는 기술정도 였다. 무선에너지 전송기술은 현재 일 부분 사용되고 있고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예로 캐나다는 자국의 산림을 보호하기위해 인공위성과 비행기를 이용해 산림을 감시하고 있다. 그러나 인공위성의 단점은 해상도가 낮아 불이나고 며칠 후에나 알 수 있다는 것이고, 비행기의 단점은 자세한 관찰이 가능 하지만 인간이 탑승함으로 장시간 감시가 불가능하다. 그래서 무인 비행기에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몇 년이고 떠 있게 하는 비행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뉴욕의 메디슨 광장에서 세계 최초로 원격조종 보트를 시연하기도 하였다.


이런 테슬라가 왜 잘 알려지지 않았을까? 여기에는 미국인들의 오만이 있었다.

러시아에서 이민 온 발명가 보다는 미국인인 에디슨이 더 그들에게 호감을 갖고 애정을 갖는 것이었다.


전세계에 전력 무상 공급 꿈꿔


공간에너지와 무한동력장치를 생각해낸 테스라는 무선으로 전 세계에 전력을 공짜로 송신하려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1900년에 금융가인 모건으로부터 후원을 받아 롱아일랜드에 무선 방송탑을 착공하였는데, 이 방송탑은 전 세계를 상대로 전화와 전신서비스, 사진, 증권정보, 기상정보 등을 보내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후원자 모건은 공간에너지를 전 세계에 무상으로 공급하려는 테슬라의 숨은 의도를 알아차리고 재정지원을 중단하였다. 태초 이래 이렇게 원대한 구상을 한 발명가는 없었다. 그리고, 에디슨을 가볍게 비웃을 발명가는 테슬라 이외에는 없을 것이다. 대중화를 위해 특허를 포기한 테슬라에게, 전 세계에 무상으로 전기를 보내겠다는 테슬라에게, 전 세계에 무상 인터넷을 구상한 테슬라가 보기에, 에디슨은 탐욕적인 발명가, 전기의자나 만드는 비인간적인 발명가에 불과한 사람이었을지 모른다


사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에 대해 전혀 들어보질 못했다. 에디슨이 그것을 확실하게 만들었다. 테슬라는 250마일 떨어져 있는 1만대의 비행기를 파괴시킬 수 있는 죽음의 광선(death ray)을 이야기하고 지구를 둘로 쪼갤 수 있다고 주장하며 1800년 후반에 목소리와 이미지를 공기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고 믿었고 에디슨에게 DC시스템을 가지고 잘 발전시켜보라고 이야기했던 별난사람으로 여겨졌다.  다시 말해서 테슬라를 들어본 사람들은 그를 별나고 이상한 사람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시대는 변하고 있다.

 

문제는 테슬라가 아마도 그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던 이 모든 일들을 할 수 있었다라는 것이다.

사실 테슬라는 위에 언급된 항목의 모든 것들을 발명했지만 어떠한 인정도 받지 못했다.

주변을 둘러보면 오늘날 우리의 삶을 매우 현대적이게 하는 대부분의 물건에 대해서는

어찌되었든 테슬라가 원인을 제공한 것일 것이다. 의심할 바 없이

니콜라 테슬라는 레오나르도 다빈치 이래로 가장 위대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럼 이 천재는 누구인가?


어린 니키 테슬라는 1856년 크로아티아(Croatia)의 스미즈란(Smijlan)에서 태어났다.

그는 놀랄만한 기억력을 가졌으며 6개 국어를 말할 수 있었다.

그는 그라츠(Gratz)에 위치한 폴리테크닉 공대(Polytechnic Institute)에서 수학, 물리학, 기계공학을 공부하며 4년을 보냈다.

그러나 테슬라를 위대하게 만든 것은 전기에 대한 그의 놀라운 이해력이었다.

그때는 전기라는 것이 매우 초보적인 단계였던 것을 기억하자. 전구도 발명되지 않았던 때였다.


1884년 테슬라가 미국으로 처음 건너갔을 때 토마스 에디슨을 위해 일했다. 에디슨은 전구에 대한 특허를 받은 후 전기를 보내는 장치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에디슨은 그의 DC전기시스템에 대해 여러종류의 문제들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테슬라에게 그 시스템에서 문제점을 해결한다면 많은 보너스를 주기로 약속했다. 테슬라는 에디슨이 십만불(요즘 시세로 백만불)이상을 절감할 수 있도록 일을 마쳤지만 에디슨은 그의 결과에 합당한 지불을 거부했다. 테슬라는 일을 그만두게 되었고 에디슨은 그의 여생을 테슬라의 재능을 짓누르는데 바쳤다. 바로 이 점이 테슬라가 오늘날 알려지지 않게 되었던 주된 이유가 된다.


 

테슬라는 전기 전달을 위해 더 좋은 시스템을 고안했다. 우리가 오늘날 집에서 사용하는 AC(교류)시스템이 그것이다. AC는 DC시스템에 비해 커다란 이점을 제공했다. 테슬라는 자신이 새롭게 개발한 트랜스포머들을 사용함으로서 AC 전압을 승압시킬 수 있었고 얇은 와이어를 통해 먼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었다. 매우 굵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동안 평방마일마다 큰 발전소가 요구되는 DC로서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물론 전송시스템은 그것으로 작동되는 장치가 없다면 미완성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그는 오늘날 일반 가정집의 모든 가전제품들에 쓰이고 있는 모터들을 발명했다. 이것은 쉽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1800년대 후반의 과학자들은 교류 전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는 모터를 발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확신하여 AC의 사용은 시간낭비라고 여기고 있었다. 결국 만일 초당 60회 전류의 방향이 바뀐다면 모터는 앞뒤로 잠겨버리고 아무런 동작도 얻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테슬라는 이 문제를 쉽게 풀었으며 모든 이들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는 이미 산업계에서 형광등이 발명되기 40여 년 전에 그의 실험실에서 형광등을 사용했다. 테슬라는 세계최초의 나이아가라 폭포에 위치한 수력발전소를 설계했고 그는 또한 자동차의 스피드메터에 관한 특허를 최초로 얻었다. AC시스템이라는 단어는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결국 죠지 웨스팅하우스의 귀에까지 들어가게 된다. 테슬라는 웨스팅하우스와 AC 1킬로와트당 2.5달러를 받는 조건의 계약서에 서명하였다. 이로인해 테슬라는 그가 꿈꾸어왔던 모든 실험들을 시작할 수 있는 자금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에디슨은 이미 자신의 DC시스템에 많은 돈을 투자했기 때문에 테슬라의 평판을 나쁘게 만들기 위해 그의 모든 것을 바쳤다. 에디슨은 지속적으로 자신의 DC전력보다 AC전기가 위험하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 의도적으로 사형집행에 사용하는 전기의자를 AC로 작동시키게 만들기도 하였다. 테슬라는 그러한 계획을 스스로의 마켓팅 홍보 무대에서 무력화 시켰다.

 

1893년 시카고에서 개최된 참가인원이 2천 1백만명에 이르렀던 세계전시회에서 그는 고주파 AC전력이 그의 몸을 통과하여 전구가 켜지는 것을 보임으로서 AC전기가 얼마나 안전한가를 시연했다. 그 다음에 그는 그의 테슬라코일에서 관중들에게 아무런 해가 없이 커다란 방전번개를 발사했다. 멋진 트릭이었다. 테슬라에게 지불해야할 로열티가 백만불에 다다르기 시작했을 때 웨스팅하우스는 자금적인 문제에 빠져들게 되었다.

 

테슬라는 만일 그의 계약서가 계속 유효한 상태로 있게 된다면 웨스팅하우스는 도산하게 되고 그가 채권자들을 다루는데 아무런 희망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의 꿈은 모든 사람들이 값싸게 AC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테슬라는 계약서를 찢어버렸다. 그는 세계최초의 백만장자가 되는 대신에 자신의 특허권들을 216,600달러에 웨스팅하우스에게 양도하게 된다.


1898년에 그는 메디슨 스퀘어가든에서 세계최초의 무선조종 모형보트를 시연했다. 테슬라는 전세계에 프리에너지를 제공하는 꿈을 가지고 있었다. 1900년에 자본가 J. P. Morgan으로부터 15만불의 후원을 받았던 테슬라는 뉴욕의 롱아일랜드에 그가 "Wireless Broadcasting System"라고 부르는 타워를 짓기 시작했다.

 

이 방송타워는 전화, 전신 서비스 및 화상전송, 주식정보, 날씨정보등을 전세계적으로 연결시킬 계획이었다. 불행하게도 모건은 그것이 전세계에 대한 프리에너지를 뜻한다는 것을 깨닫고 자금을 끊어버리게 된다. 많은 이야기들은 그 타워가 독일의 유보트의 항로를 잡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낀 미국정부가 세계 1차대전당시 그 타워를 파괴하였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테슬라는 그 프로젝트에 대한 모건의 자금이 끊긴 후로 재정적인 어려움에 빠지게 되었고 그 타워는 채권자들에게 고철로 팔리게 되었다. 세상은 그를 바보로 여겼다. 아무튼 이 당시에는 목소리, 화상, 전기의 전송에 대해서 귀담아 들어주질 않았다.


그들이 몰랐던 것은 마르코니의 발명이 알려지기 거의 십 년 전에 라디오의 원리를 이미 시연했었다는 것이다.

사실 테슬라가 사망한 1943년에 대법원은 마르코니의 특허가 테슬라의 이전의 기술 때문에 무효라는 판정을 내렸다.

아직까지도 거의 모든 문헌들은 테슬라가 라디오를 발명한 것에 대해 인정하질 않고 있다.

이점에 있어서 언론계는 테슬라의 주장들을 과장하기 시작했다.


테슬라는 화성과 금성으로부터 라디오 신호를 수신했었다고 기록했다.

오늘날 우리는 그가 실제로 머나먼 별들로부터 신호를 받았었다는 것을 알지만

그 당시에는 우주에 대해 극소수의 사람들만이 알고 있었다.

그 대신에 언론계는 그의 엉뚱한 주장들이라고 지면을 할애하고 있었다.

그의 맨하턴 실험실에서 테슬라는 지구를 전기튜닝포크로 만들었다.

 

그는 그가 위치한 바로 아래의 땅과 같은 주파수로 진동시기키 위해 증기로 작동되는 진동장치를 작동시켰다.

결과는 도시의 모든 주변에 지진이 발생했다. 빌딩들은 흔들렸고 창문이 부서지고 벽에서 회반죽들이 떨어졌다.


테슬라는 이론에 따르면 같은 원리로 엠파이어 스테이트빌딩을 파괴하거나 지구를 둘로 나누는데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테슬라는 과학적으로 그의 결과들을 확인할 수 있게 되기 60여 년 전에 지구의 공진주파수를 정확하게 알아냈었던 것이다.

그가 공개적으로 지구를 둘로 나누는 것과 같은 종류의 실험들을 시도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1899년 그의 콜로라도 스프링스의 연구실에서

그는 에너지 파동을 지구의 모든 방향으로 보냈고 그 파동들은 원점으로 다시 되돌아오게 되었다.

이것은 오늘날 지진의 진원지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에 관한 이론을 제공하였다.

 

파동들이 되돌아올 때 그는 거기에 전기를 추가했다. 결과는 인간이 만든 인공번개 중에 기록된 적이 없는 130 피트(약 40 미터)의 인공번개를 만들어내었으며 아직까지 그 기록은 깨어지지 않고 있다.

그와 동반된 천둥소리는 22 마일 밖에서도 들을 수 있었으며

그의 연구실 주위의 모든 초원은 이상한 푸른 발광현상을 나타내었고 그것은 St. Elmo's Fire와 유사했다.

그러나 이것은 단지 그의 실제 실험에 대한 워밍업에 지나지 않았다.

불행하게도 그는 지역 발전소의 장비를 파괴시켰고 그는 그 실험을 다시는 행할 수 없게 되었다.


세계 1차 대전 초기에 미국정부는 필사적으로 독일잠수함의 항로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을 찾고 있었다.

정부는 적당한 방법을 찾는 일에 토마스에디슨이 일하도록 하였다.

테슬라는 이 배들을 찾기 위해 에너지 파동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레이다에 해당된다.

 

에디슨은 테슬라의 아이디어를 웃기는 일이라 치부하고 거절하였으며 인류는 그것이 발명되기 까지 25년을 더 기다려야만 했다. 그의 독창성을 가진 창조적인 일생에 대한 보답은 테슬라만 빼고 모두에게 주어진 에디슨 메달이다. 테슬라가 에디슨으로부터 받았던 모든 언어적 모욕 후에 우리가 그를 공공연하게 비판하는 것이었다.


이야기들은 계속된다. 과학문헌들로부터 그를 지워내기 위한 산업계의 노력이 거의 20년 동안에 걸쳐 추진되었었다.

자본이 부족하게 되면서

그는 실험이 행해지지 못한 이론들을 셀 수도 없이 많은 노트에 단지 기록하는 일밖에 할 수 없었다.


오늘날과 같은 현대적인 세상을 만든 그는

1943년 1월 7일 무일푼으로 86세를 일기로 숨을 거두었다.

그의 장례식장에는 2천 여 명 이상의 조문객들이 참석하였다.

테슬라는 그의 일생동안 800개 이상의 여러 특허권을 받았다.

그가 파산하지 않았다면 에디슨의 기록을 능가했었을 것이다.

그는 그의 인생의 마지막 30년 동안 매우 적은 특허출원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에디슨과는 달리 테슬라는 대체로 과학에서 선례가 없는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있었던 독창적인 사상가였다.

불행하게도 세상은 테슬라의 독창성에 금전적인 보답을 하지 않았다.

우리는 단지 테슬라가 알려준 개념들을 정제하여 유용한 생산품들을 만든다는 것을 인정할 뿐이다.

과학자들은 오늘도 계속해서 그의 노트를 철저하게 조사하고 있다.

너무도 앞서있는 그의 이론들은 이제서야 최고수준의 과학자들에 의해 증명되고 있다.

 

예를 들어 그가 설계한 날개 없는 디스크 터빈엔진은

오늘날 사용하고 있는 재질들로 제작될 때 지금껏 설계되었던 가장 효율이 좋은 모터에 속한다고 증명되어지고 있다.

그가 1901년 특허를 얻은 극저온 액체와 전기를 사용한 실험들은 현재의 초전도체에 대한 기초를 제공한다.

그는 전자의 부분 전하를 갖는 입자를 제안하게 되었던 실험에 관해 이야기 했다.

그것은 1977년에야 비로소 과학자들이 발견하게된 것으로서 바로 쿼크(quarks)를 뜻한다.
 


 

List of Articles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164555     2020-05-14 2022-03-25 13:02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165350     2020-01-09 2020-01-16 18:33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183026     2019-10-20 2019-12-17 04:02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171608     2018-08-29 2018-08-29 12:14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52738     2015-08-18 2021-07-14 23:44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52824     2014-05-10 2015-03-11 07:25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97849     2013-04-12 2021-12-16 14:02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329046     2012-12-09 2012-12-09 23:43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366879     2011-08-17 2022-01-10 11:20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481588     2010-06-22 2015-07-04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