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http://cafe.daum.net/seattle-washington/7oPA/52?docid=1DUxn|7oPA|52|20110305080251&q=%B9%AB%BE%F0%C0%C7%20%B4%EB%C8%AD%20%C0%DA%BF%AC%BB%E7%B6%FB

 

 

나무와 나누는 무언의 대화

 

 

박 유 선

 

 

  침엽수인 소나무는 성깔이 있는지 바늘 잎으로 살갗을 콕콕 찔러댄다. 그래도 예로부터 소나무의 강인함과 멋스러움과 곧은 절개는 군자의 모습으로 비유되어 그림의 소재로 곧잘 삼아왔다. 많은 그림에 있어서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라던가 솔거의 [노송도]에서 보듯 소나무 없는 한국화는 있을 수 없는 것 같다.   

 

 

내가 어려서 자란 집에는 정말 멋스러운 노송이 여기저기 옆으로 비스듬히 드러누워 있다. 기억에 남는 소나무는 높은 동산 위 큰 바위 옆에 자리하고 있어서 우리는 그 밑에 자리를 깔고 한강 너머를 바라 보곤 했다. 또 현관 앞에 있는 노송은 꿩들의 보금자리였다. 새벽같이 영등포쪽으로 날아간 꿩은 어김없이 해거름엔 집으로 돌아왔다. 어린시절 날마다 꿩들의 안녕을 확인하며 빼 놓을 수 없는 또 한가지 일과가 있었다. 황혼이질무렵이면 큰 전나무 꼭대기에 사는 올빼미를 하루도 거르지 않고 고개를 젖히고 올려다보며, 귀 기울이고 나무 둥치에 기대어 서서 나무의 속삭임을 들으며 말없는 교감을 일찍이 터득한 것이리라.    

 

 

매화 꽃에 반해 서성이며 맴돌던 어느 날 발견한 매실을 깨물었다가 기절하게 신맛에 놀랐던 잊히지 않는 일. 감 꽃을 실에 꿰어 목에 걸고 하나씩 뽑아 먹던 일. 입술이 새까매지도록 하루 종일 버찌를 따 먹던 날들. 진달래 꽃은 우리들의 간식거리였으며 한번은 연분홍 철쭉(개꽃)을 진달래로 잘못 알고 따먹고서 열에 들떠서 혼이 난 기억. 봄만 되면 사람들이 무자비하게 꺾어가는 백 진달래 나무를 보호하고자 아버지는 내 손을 잡고 그 넓은 정원을 돌아다니면서 애처롭도록 아름다운 꽃을 일일이 따 버리던 일. 그렇게 수많은 나무와 친구로 성장하며 무언의 대화 방법을 터득한 것이 아닐까.      

 

 

나는 뭐니 뭐니해도 나무하면 활엽수가 좋다. 사계절 따라 뚜렷이 변화하는 매력, 특히 가을엔 시시각각 다른 옷을 갈아 입으며 마음을 촉촉이 적셔주며 우수로 이끄는 사랑하는 나무들이 있어 나는 마냥 행복한 것이리라. 그 나무들과 서로 호흡을 맞추며 즐기는 것은 또 하나의 가을에만 느끼는 낭만이요 서정적인 특전이 아니던가.

 

가을 옷 갈아입은 은행잎은 때마침 불어오는 하늬바람에 수천개의 황금 빛 찬란한 나비의 날개인양 파득이면, 그건 그야말로 자연이 연출하는 그 무엇에도 비유할 수 없는 장관인 것을.     

 

 

쓸쓸한 겨울 어느날 정원에서 정말이지 볼품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포도나무의 초라하기 그지없는 발가벗은 모습을 보았다. 그 순간 나는 포도나무가 가엾어 갑자기 눈물이 날 것 같았다. 지난 여름만해도 얼마나 무성한 멋진 잎으로 치장하고, 여우가 시어서 안 먹는다는 포도송이를 주렁주렁 탐스럽게 달고 뭇 사람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는 영광을 누리지 않았던가. 때로 너는 은 쟁반에 담겨서 손님 앞에 곱게 모셔지는 영화도 누리지 않았던가?

 

 

죽은 것만 같은 마른 포도나무를 보며 문득 나는 사람의 한 생을 생각한다. 사람 역시 한 세상 살면서 정말 잘 나가고 화려한 때가 있지 않았던가. 그러나 어느날 늙어지고 나면 남 보기에 초라하다는 이유 하나로, 그야말로 늙은 것도 서러운데 생각이 짧은 젊은이로부터 하대를 받는 걸 본다. 어떤 젊은이들은 무조건 늙은이들은 못 배우고 초라하게 평생 아무 가치 있는 일도 해보지도 못하고 살아온 폐물인양 보는 것 같을 땐 남의 일이라도 정말이지 가슴이 아프다. 나도 젊어서 저런 우를 범하지 않았던가 하고 자성을 할 때가 더러 있다. 

 

 

시간은 쉼없이 흐르고 젊음 역시 영원히 멈추지 않는데. 사람이 늘 푸른 소나무가 아니라면, 포도나무처럼 납작하게 엎드려 지내야 할 때도 때로 있지않을까. 그렇게 불쌍해 보이는 포도 나무도 겨울을 지나면 또 다시 붉은 입술을 빼어 물고 곰실곰실 조금씩 자라나와, 다시 화려한 잎을 피워 붉은 가슴 울새에게도 집을 지어 일가를 이루게 넉넉함을 베풀 것이며, 또 달디단 포도를 우리에게도 나누어 주겠지?

 

 

자연은 순리를 따르고 인간에게 유익을 주는데, 인간은 제 욕심 차리느라고 마음대로 나무를 자르고 옮기고 뽑아 던지기까지 한다면, 어찌 인류의 공동자연유산을 보호하여 후손에게 남겨 줄 것인지 싶어 안타깝기 그지없다.

 

 

우리는 언제까지나 나무와 말없는 대화를 나누며 참으로 많은 이치를 터득하며 보다 더 가치 있는 삶을 가꾸어 가야 하지 않을까.

 

   

profile
조회 수 :
1938
등록일 :
2011.04.22
14:47:13 (*.156.160.69)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146001/501/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146001

베릭

2011.04.22
15:05:41
(*.156.160.69)
profile

[ 도서 ] 아름다운 지구인 플래닛워커
[22년간의 도보여행과 17년간의 침묵여행]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 대해 깊이 생각하면서 변화에 대응하는 사람이 점차 많아지고 지구에 대면한 여러 문제들의 심각성을 인정하며 여러 지구인들에게 지구사랑을 알리기 위한 노력들이 언론이나 잡지,방송,재단 등에서 제법 규모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우선은 안심이 되는 부분도 없지 않아 있다.

지구를 살고있는 나 자신에게도 약간은 미안한 마음이 들게 하는 것은 이 책에 나오는 존 프란시스의 삶과 실천정신에서 마음을 숙연해하는 뭔가가 꿈틀거린 건 사실이다.

세상이 변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은 편리해지고 더욱 편리해지기 위해 과학의 발달은 거침이 없다.그 대신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지구는 점차 멍이 들고 있고 여러 곳곳에서 환경파괴에 대한 재앙이 서서이 드러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해야만 하는 당위성에 대해서 이 책은 꼭 알려주고자 함도 엿보인다.

주인공 존 프란시스는 197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 만의 기름유출 사건,방제작업이 끝날 때,이 사건의 근본을 해결하고자 하는 바램으로 자신에게 맹세를 한다.

그건 바로 자동차를 타지 않겠다는 것, 두 발을 통해 지구를 종횡무진 걷고 또,무언의 대화를 통해 사람의 얘기를 듣고,자연을 관망하고 느끼겠다는 것이다.

그는 몸소 걷기와 침묵을 실천하면서, 프래닛워크라는 비영리 환경교육기구를 설립하였다. 또한,순례자의 마음으로 세계 여러 각지를 여행하며 많은 사람들과 무언의 대화를 통해 자연에 순응하고 하루의 일과 중 꼭 자연을 그리면서 함께 호흡하고자 하는 그의 사명이 대단하다 못해 놀람을 금치 못한다.

"침묵의 경험에는 절대적으로 정직한 무언가가 있다.모든 말은 침묵에서 시작된다.따라서 모든 통념도 침묵에서 시작된다. 말은 입 밖에 낼 수 있는 것에 대한 믿음이다.말이 없이는 가설이 존재할 수 없고,가설이 없이는 답도 있을 수 없다.
침묵은 추측에 의문을 품을 기회뿐 아니라 그 추측을 버리고 새로 시작할 기회를 우리에게준다..."

그의 노력을 우리는 확실히 알고 이제는 실천할 때가 온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이와 같은 사고가 일어났을 때 자연의 처참한 죽음을 눈으로 보며 안타까워했다.이제는 정말 진정으로 자연에 미안해해야하지 않을까?

적어도 아름다운 지구를 살고 있는 인간의 실수가 더이상 용납되지 않을 순간에 대한 두려운 때를 직시하고 깨달아 서서히 지구사랑에 대한 작은 실천이라고 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겸손함이 생긴다.

그가 이 책을 통해 알리고자 함은 나 자신에게만 국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모르고 지나처버릴 수 있는 아름다운 지구를 살고 있는 지구인 모두에게  존 프란시스의

베릭

2011.04.22
15:55:49
(*.156.160.69)
profile

산의 예찬

 
“우리는 왜 산에 올라가는가, 산이 거기에 있기 때문이다.
” 영국의 등산가인 멀로리 경은 이렇게 말했다.
왜 우리는 산에 가는가. 산이 우리를 부르기 때문이다.
 
산은 무언의 표정으로 우리에게 정다운 손짓을 한다.
봄의 산은 연한 초록빛의 옷을 입고 수줍은 처녀처럼 우리를 부른다.
여름의 산은 풍성한 옷차림으로 힘 있게 우리를 유혹한다.
가을의 산은 단풍으로 성장하고 화사하게 우리를 초대한다.
겨울의 산은 순백한 옷차림으로 깨끗하게 단장하고
우리에게 맑은 미소를 던진다.
 
산은 언제나 우리를 부르고 있다.
산에는 산의 언어가 있다.
산은 몸짓으로 말한다.
큰 바위는 억센 형태로 말하고
잔잔한 샘물은 맑은 소리로 말하고
흰 폭포는 힘찬 운동으로 말하고
푸른 초목은 빛깔로 말한다.
 
나무 사이를 스쳐 가는 바람은 소리로 말하고
아름다운 꽃은 향기로 말한다.
산 속의 모든 존재는 저마다 제 언어가 있다.
우리는 그 언어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위대한 언어는 침묵의 언어다.
말로 하는 언어보다 무언의 언어, 침묵의 언어가 우리에게
더 많은 것을 가르치고 더 풍성한 것을 이야기한다.
 
.악성 베토벤은 자연을 가장 사랑한 예술가였다.
그는 특히 숲을 사랑했고, 숲의 나무에게 많은 것을 배운다 했다.
우리는 산에서 나무의 말을 듣고, 폭포의 소리를 새기고,
바위의 말씀을 이해하고, 꽃의 음성을 알고,
생물의 언어를 들을 줄 알아야 한다.
우리는 산의 음성을 듣기 위해서 산에 간다.
침묵의 소리를 경청하기 위해서 산을 찾아간다.
인생의 많은 위대한 것이 산에서 잉태되었다.
인도의 심원한 철학은 히말라야 산 속의 명상에서 나왔다.
타고르의 아름다운 시는 깊은 산의 산물이다.
괴테는 산에서 위대한 시의 영감을 얻었다.
동양의 많은 아름다운 시의 고향은 산이다.
파우스트는 인생의 권태를 느끼고 향락에 지쳤을 때 산속의
대자연의 소박한 미와 건강의 생명을 보고 인생을 재출발하는
힘찬 용기와 활력소를 얻었다.
 
인간은 자연의 아들이요 대지의 딸이다.
우리는 흙에서 나서 흙으로 돌아간다.
인간이 자연을 멀리하면 멀리할수록 정신의 병,
문명의 질환에 걸린다.
현대인은 문명에 지쳤다. 우리는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
산의 정기를 마셔야 한다. 산의 정기와 침묵에 안길 때 우리는
생의 싱싱한 건강성을 다시 찾을 수 있다.
산을 좋아하는 사람치고서 악인이 없다.
산의 정기가 사람을 착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우리는 산 속을 거닐 때 누구나 인간 본연의 착한 마음으로 돌아간다.
어머니 품에 안기면 모든 자식들이 다 착해지는 것과 같다.
 
더러워지지 않은 자연 속에서 자기를 되찾고
우리의 마음을 맑게 씻어야 한다.
우리에게는 마음의 세탁이 필요하다.
영혼의 목욕, 정신의 빨래가 필요하다.
우리 마음에 낀 때를 씻고, 우리 정신의 오염을 정화시켜야 한다.
산의 정기로써 마음의 세탁을 하자.
낙엽을 밟으면서 말없이 산길을 걸으면 정신의 때가 자연히 씻어지고 정화된다.
산은 우리의 지친 마음을 조용히 어루만져 주고 우리의 정신에 힘과
기쁨을 주는 자연의 의사다.
 
산은 우리에게 인생의 많은 진리와 지혜를 가르친다.
우리는 산한테서 무엇을 배울까. 산은 우리에게 침묵을 가르친다.
침묵의 힘, 침묵의 위대성을 가르친다.
‘나처럼 의젓하게 침묵하는 법을 가지라’고 말한다.
산 같은 침묵 속에 묵묵히 걸어야 한다. 우리는 산의 침묵을 배워야 한다.
 
산은 또 우리에게 장엄함을 가르친다.
산은 장엄미의 상징이다. 산은 높을수록 장엄하다.
우리는 왜 높은 산에 오르기를 좋아하는가.
산을 정복하는 승리의 쾌감을 위해서다.
또 멀리 바라보는 시원한 전망의 기쁨을 갖기 위해서다.
그러나 그보다 더 큰 이유는 산의 장엄미를 느끼기 위해서이다.
오늘 우리는 영남 알프스의 높은 봉우리, 가지산에 올라흰눈이
덮인 높은 영봉(靈峰)의 품에 안기면서 다시없는 산의 장엄한
아름다움의 황홀함을 느꼈을 것이다.
산은 신의 창조물 중에서 가장 장엄한 아름다움이다.
우리는 높은 산의 장엄한 경관 앞에 설 때 압도 되는 감을 느낀다.
인간의 힘이 도저히 미칠 수 없는 우주의 대 생명력을 느낀다.
 
산은 또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산은 우리에게 조화의 진리를 가르친다.
산 속에서는 모든 것이 다 제자리에 저답게 놓여 있다.
하나도 부자연한 것이 없다.
바위는 바위가 있어야 할 자리에 있고,
나무는 나무가 있어야 할 자리에 있다.
이것을 우리는 조화라고 일컫는다.
자연은 곧 조화요, 조화는 곧 아름다움이다.
 
인간의 행동에는 부자연과 부조화가 많지만
자연은 조화 아닌 것이 없다.
자연은 위대한 예술가다. 산 속의 그 바위, 그 나무,
그 생명, 그 길, 그 돌멩이들이 어쩌면 그렇게 저마다 제가 마땅히
있어야 할 자리에 그렇게 자연스럽게 놓여 있을까.
우리는 산 속을 거닐면서 자연의 위대한 조화에 누구나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자연은 질서의 천재요, 조화의 천재다. 무엇이나 자연스러운 것은
아름답고 생명이 길다. 그러나 부자연스러운 것은 아름답지가 않고 생명이 짧다.
산 속에서 우리는 조화의 미와 진리를 배운다.
 “자연 속에 있는 모든 것은 법과 더불어 행동한다.”고 철학자 칸트는 말했다.
법은 질서를 말한다. 자연의 모든 존재는 질서 속에 움직인다.
옛날 그리스인들이 우주를 질서라고 말한 것은 결코 우연한 일이 아니다.
우주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의 ‘코스모스’는 질서란 뜻이다.
우리는 산에서 질서의 정신과 질서의 진리를 배운다.
 
산은 또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우리는 산에서 진실의 덕을 배운다.
산 속에서는 모든 것이 말할 수 없이 소박하고 단순하다.
그것은 있는 그대로다. 가식이 없는 세계다 꾸밈이 없고 허영이 없다.
자연은 인간을 속이지 않는다. 산은 우리를 기만하지 않는다.
나무가 우리를 속이는 일이 없고 바위가 우리를 기만하는 일이 없다.
 
인간이 인간을 기만한다. 허위는 인간에 있다.
자연에는 거짓이 없다. 진실이 있을 뿐이다.
인간은 본래의 자기를 잃어버리고 거짓과 가식,
외양의 꾸밈 차원으로 전락한다.
우리는 산속에 있을 때 거짓에서 벗어난다.
자기 본연의 진실한 모습으로 돌아간다.
산은 위대한 교육자다. 우리를 착하게 만든다.
인간의 기교▪아첨▪술수▪거짓▪가식은 자연의 위대한 단순성
앞에 여지없이 무너지고 만다. 그것이 인간의 구원이다.
 
“자연은 신의 예술이다”라고 시인 단테는 말했다.
자연은 신의 예술이기 때문에 거짓이 없다. 가짜가 없다.
진실이 있을 뿐이다. 우리는 산의 소박과 단순과 진실의 교훈을 배워야 한다.
산에는 우정이 있다. 산처럼 인간과 인간을 가깝게 결합시키는 것이 없다.
산에 가면 미움이 없어진다. 미움이 있을 수가 없다.
모두 다 소박하고 단순하고 진실한 자기본연의 모습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미움의 감정이 있을 수가 없다.
 
우리는 산에 가면 모두 착해진다. 이것만으로도 산에 간다는 것은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산 속에서는 미움이 없어지기 때문에 너와 나 사이에
진실한 인간적 대화가 꽃핀다. 참말의 향연이 이루어진다.
산은 또 우리에게 무엇을 가르치는가. 인간의 분수와 한계를 느끼게 한다.
산은 따뜻하게 미소 짓는 어머니의 얼굴을 가지는 동시에 용서와
아량을 모르는 비정한 무서운 얼굴을 나타낸다.
 
인간이 자기의 분수를 모르고 아무 준비 없이 산에 갔다가는 무서운 재난을 당한다.
산은 비정하다.
세상에 등산처럼 위험한 것이 없다.
갑자기 폭우가 쏟아지고 난데없는 산사태가 일어나고 짙은 안개가
우리의 시야를 가린다. 우리는 산의 무서움을 알아야 한다.
분별과 능력과 준비가 없이 산을 대하다가는 산한테 희생당하게 된다.
자연은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의 분수와 능력의 한계를 준엄하게 인식시킨다.
우리는 산과 친하되 산을 두려워 할 줄 알아야 한다.
산은 자애로운 어머니인 동시에 엄격한 아버지이다.
우리는 산의 비정을 알아야 한다.
산 앞에 겸손한 자만이 산의 벗이 될 수 있다.
나는 산의 철학을 생각해 본다.
 
우리는 이 위대한 자연의 철학자인 산한테서 많은 것을 배워야 한다.
산에서 침묵의 덕을 배우고, 장엄의 아름다움을 배운다.
조화의 진리를 터득하고, 진실의 정신을 깨닫는다.
우정을 알고, 또 인간의 한계를 인식해야 한다.
 
산이 우리를 정답게 부르고 있다.
한라산의 웅자, 내장산의 단풍, 가야산의 계곡, 속리산의 숲,
설악산의 골짜기, 백운산의 바위가 그렇다.
우리와 가까이 있는 산이 부른다 기꺼이 가자~
 
일에 지쳤을 때, 정신이 피곤할 때, 인생의 고독을 느낄 때. 삶이 메말랐을 때
우리는 산을 찾아가야 한다.
이마에 땀을 흘리면서 산의 정상을 향하여 전진할 때에
우리는 생의 용기를 느끼고 삶의 건강성을 다시 찾을 수 있다.
맑고 깨끗한 산의 정기는 우리의 정신에 새로운 활력소를
불어 넣어 줄 것이기 때문이다.
산의 빛, 산의 침묵, 산의 정기, 산의 음성, 산의 향기는
우리의 심정에 새로운 활력소와 생명의 건강성을 줄 것이다.
우리는 산이라는 자연의 위대한
철학자한테서 깊은 말씀을 배워야 한다.
산은 두려우면서도 친밀한 우리의 벗이기 때문이다

베릭

2011.04.22
17:13:55
(*.156.160.69)
profile

 대화

 

 

상대방을 배려하는 대화

가끔 사소한 말 한마디 때문에 상대방을 아프게 하고
자신의 입장마저 난처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을 통해 당사자에게 그 말이 전해졌을 때
문제는 더욱 심각해지고는 합니다.

사람이 동물과 가장 다른 점은 언어를 가지고
자신의 마음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일 겁니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사랑한다는 고백을 할 수 있고
자신이 원하고 느끼는 바를 동물적인 몸짓이 아닌 언어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일 겁니다.

참으로 축복이고 다행한 일입니다.

하지만 하느님이 주신 그런 좋은 선물 때문에
상대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면,

서로의 가슴속에 오해와 불신이 쌓여간다면

그건 잘못된 일이 아닐까요.

사람과 사람간에 나누는 대화는
참으로 유쾌하고 즐거운 일입니다.

하지만 누군가를 함부로 비방하거나 자신의 의견만이
옳다고 몰아세우는 대화는

오히려 자신의 살을 깍아먹는 나쁜 일입니다.

아무리 사소한 말이라도 이미 뱉어진 말은
다시 주워 담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기에 앞서 상대방을 배려할줄 아는
넉넉함으로 대화를 하는 우리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우리는 대화가 필요합니다. 무언에 대화라도 말이죠

먹어보지도 않은 과일을 남의 말이나 모습만보고 맛이 없다며과정 해 버리는 생각을

어떻게 진실한 자연을 알려줄 수 있는지어떻게 하면 되나요,

진실하고 정직하며 평등하다고,외쳐도 장님이니

이제는 무언으로 대화 해야 합니까 ?

진솔

2011.04.22
17:25:13
(*.150.182.76)

윗글에 댓글을 달 수가 없어서 아랫글에 댓글 답니다.  감사합니다. 

 

오랜만에 와서 정말 좋은 정보 보고 갑니다.  어디에서 이렇게 귀중한 정보만을 가지고 오시다니 정말 놀랍습니다. 

 

그리고 정말 감사드리고요.  깨달으면 무엇이 달라지는가?  이글은 정말 귀중한 수행정보인거 같습니다. 

 

그런데 한꺼번에 여러개의 글을 모두 스크랩해 놓으시니 글 읽기가 조금 부담스럽습니다. 

 

여튼 좋은 정보 감사하게 읽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2020-05-14 181716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2020-01-09 182449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2019-10-20 200105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2018-08-29 188686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015-08-18 269864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014-05-10 270437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013-04-12 314955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2012-12-09 346017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2011-08-17 383695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2010-06-22 498467
5878 얼굴 비대칭인데 어떻게 교정이 가능한가요? [1] [2]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1-04-20 967
5877 붓다의 팔정도는 의식의 파동을 높이는 최고의 방법입니다. [1] 목소리 2011-04-20 1611
5876 신적 준비자세 12차원 2011-04-21 967
5875 11차원의 존재가 3차원으로 육화한 이유 [1] 12차원 2011-04-21 1528
5874 2012년 지구표면이 대재난의 대비 자세 12차원 2011-04-21 1506
5873 채널에서 영혼이 없는 자 의미는 신의 영혼( 신의 단편들, 사고조절자, )이 없다이며 생존개념이 아님 베릭 2011-04-21 1191
5872 이수, 대피 시에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 몸으로 가지 않고 영혼으로 갈수도 있습니다) 베릭 2011-04-21 996
5871 외계인 꿈 그대로 2011-04-21 1923
5870 프로젝트 카멜롯 과학자들의 증언... clampx0507 2011-04-21 1849
5869 한국정신과학학회...도인들의 칼럼 clampx0507 2011-04-21 1535
5868 불법 다운은 카르마가 쌓이겠지요? clampx0507 2011-04-21 993
5867 근원의 메시지 2020년까지 총12편... clampx0507 2011-04-21 1104
5866 또 다시꾼 외계인 꿈 [90] 그대로 2011-04-22 2016
5865 자연이 주는 치유 에너지, 파동 [1] 베릭 2011-04-22 1739
» 나무와 나누는 무언의 대화 [4] [1] 베릭 2011-04-22 1938
5863 수필 - 자연의 산 / 여행 좋아하시나요? [44] 베릭 2011-04-22 1446
5862 삶은 사는게 아니라 살아내는 것이다. / 인디언의 삶 - 자연사랑 깨달음) [3] 베릭 2011-04-22 1636
5861 깨달으면 무엇이 달라지는가? [3] 베릭 2011-04-22 1296
5860 싸움은 원래 자기발전을 위한 즐거운 놀이이다? [36] 유전 2011-04-22 1527
5859 복제인간을 만들어서 그게 상용화 되는게 언제일까요? 아눈나키vs드라코니언 2011-04-23 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