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 그대가 이 글을 읽고 감명을 받는다면, 그대는 이 글을 모든 사이트로 전파하여
인류를 구원할 (  )의 진리가 전파될 길을 예비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  )의 '반진리'의 공개 ▒

※ 업(業, kamma, SK. Karma) : 행위.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으로 나누고
이를 삼업(三業)이라 함. ( 몸으로 하는 행위, 말로 하는 행위, 생각으로 하는 행위 )

※ 업보(業報, Kamma-vipaka) : 행위의 결과, 업(業)의 과보(果報)이며, (안, 이, 비,
설, 신, 의) 6가지 문(門)으로 나타나는 마음의 대상.

※ ( 업 = 행위 ), ( 업보 =  행위의 결과 = 대상 )
--------------------------------------------------------------------------
● 자아선택우연(自我選擇偶然) : 업과 업보는 고정불변한 자아(Ego, '나'라는 개념)
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고정불변한 자아('나')가 업을 짓고,
업보를 받는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 과거의 업과 업보는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우연한 현상이었고,
▷ 현재의 업과 업보도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현상이고,
▷ 미래의 업과 업보도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이 견해는 어리석음{치(痴), 무명, 모하, moha}과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 ditthi)이라는 마음의 작용에서 나온 견해 이며,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합니다.

☞ (자아선택우연)의 '반진리'가 너희를 구속되게 하리라.
--------------------------------------------------------------------------
◈ (자아선택우연)의 '반진리'가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과정

1. 탐욕[貪, 로바, lobha]에 구속되는 과정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탐욕[貪, 로바, lobh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와 '타아(他我)'가 대상을 선택할 수 없다면, 대상에 대한 탐욕[貪, 로바,
lob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대상에 대하여 탐욕[貪, 로바, lobha]을 부려본 들,
'아(我)'와 '타아(他我)'가 선택할 수도 없는 대상이므로, '아(我)'와 '타아(他我)'
하고는 무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탐욕[貪, 로바, lobh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2. 성냄[嗔, 도사, dos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와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와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행위의 결과'에 대한 성냄
[嗔, 도사, dosa]이 생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내가 싫어하는 '행위'를 하고, 그 '행위의 결과'를 본(인식한) 내가
화{성냄[嗔, 도사, dosa]}가 났을 경우, 나는 아내에게 내가 싫어하지 않는 '행위'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아내에게 '행위'의 선택권이 없다면, 아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저지른 '행위'
로 인해 나타난 '행위의 결과'인데, 아내에 대한 성냄[嗔, 도사, dos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내가 잘못한 '행위'를 하여, 나에게 화{성냄[嗔, 도사, dosa]}가 났을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나에게 '행위'의 선택권이 없다면, 나에 대한 성냄[嗔, 도사,
dos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성냄[嗔, 도사, dos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3. 어리석음[痴, 모하, moha]에 구속되는 과정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로 업을 짓고, 업보를 받기
때문에, 어리석음[痴, 모하, moh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는 것입니다.

4.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에 구속되는 과정

과거의 업과 업보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이 생기는 것입니다.

과거의 업과 업보가 '아(我)'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우연한 현상이 아니었다면,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5.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에 구속되는 과정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이 생기는 것입니다.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것이 아니라면,
대상에 대한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6. 시기와 질투[잇사, iss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행위의 결과'에
대하여 시기와 질투[잇사, issa]가 생기는 것입니다.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면, 시기와 질투[잇사, issa]는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시기와 질투[잇사,
issa]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7.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8.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ditthi]에 구속되는 과정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로 업을 짓고, 업보를 받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ditthi]이라는 번뇌에 구속되는
것입니다.

9.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와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와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만이나 자만
[마나, man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와 '타아(他我)'가 '행위'와 '행위의 결과'를 선택할 수 없다면,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0.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1.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2.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3. 나태[티나, thin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태[티나, thina]가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나태[티나, thina]는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나태[티나, thina]
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4. 무기력[밋다, middh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기력[밋다, middh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무기력[밋다, midd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무기력[밋다, middh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
☞ 미래에 대한 두려움{성냄[嗔, 도사, dosa]}도....

미래의 업과 업보가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로 인해 생겨나는 것입니다.

☞ 미래에 대한 설레임{탐욕[貪, 로바, lobha]}도....

미래의 업과 업보가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로 인해 생겨나는 것입니다.
조회 수 :
891
등록일 :
2006.06.15
08:30:26 (*.199.105.174)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46583/ec3/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4658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추천 수 비추천 수 날짜 최근 수정일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168508     2020-05-14 2022-03-25 13:02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169219     2020-01-09 2020-01-16 18:33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186975     2019-10-20 2019-12-17 04:02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175517     2018-08-29 2018-08-29 12:14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56681     2015-08-18 2021-07-14 23:44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56950     2014-05-10 2015-03-11 07:25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301798     2013-04-12 2021-12-16 14:02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332975     2012-12-09 2012-12-09 23:43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370730     2011-08-17 2022-01-10 11:20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485445     2010-06-22 2015-07-04 10:22
1828 엄마와 함께... [4] 이남호 894     2006-06-04 2006-06-04 19:49
 
1827 빛과 어둠의 통합이 지니는 의미는 과연 무엇입니까...? [4] 한성욱 894     2006-06-04 2006-06-04 14:29
 
1826 시스템 변화 시나리오 (2004. 3. 9 영단과 은하연합의 메시지) [2] 김일곤 894     2004-03-29 2004-03-29 01:41
 
1825 링크 게시판을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3] 윤석이 894     2003-11-12 2003-11-12 10:34
 
1824 [re] 네사라 푸크린 894     2003-10-06 2003-10-06 15:25
 
1823 빛의 시대 축제 한마당 최정일 894     2003-02-28 2003-02-28 13:45
 
1822 하루 한마디! [1] 나뭇잎 894     2003-01-21 2003-01-21 13:02
 
1821 독서 노트 ㅡ 빛바랜 책들에 깃든 세월의 향기를 맡으면서 나이듦의 맛과 멋을 음미한다 (김찬호 성공회대 초빙교수) 베릭 893     2022-01-11 2022-03-06 17:58
 
1820 아갈타님께 - [9774번글 ‘가디언 명상’이란 글에 대한 답글] [1] 농욱 893     2008-01-02 2008-01-02 19:33
 
1819 집단의식과 대중적 사회적심리, 그리고 인간의 본능과 가치들...('5·18이 북한의 음모(?)' 인터넷 왜곡정보 유통 심각관련 글) 오근숙 893     2007-09-26 2007-09-26 13:00
 
1818 방금 빚어온 따끈따끈한 시!!!!! [3] file 연리지 893     2007-09-13 2007-09-13 14:55
 
1817 도사가 생각하는 진리 도사 893     2007-09-04 2007-09-04 15:31
 
1816 별을 꿈꾸다 file 연리지 893     2007-08-20 2007-08-20 19:48
 
1815 새로 개설한 카페를 소개합니다 순리 893     2007-08-13 2007-08-13 00:33
 
1814 기분 좋은 하루 처럼 지내고 싶습니다만.. [3] 마리 893     2007-06-01 2007-06-01 16:45
 
1813 하느님의 기본적인 속성...사랑... [4] 정신호 893     2007-04-13 2007-04-13 15:54
 
1812 사탄의 기원 신의향 893     2007-03-24 2007-03-24 21:24
 
1811 넷째 결정(예수의 일생과 가르침) 권기범 893     2006-04-27 2006-04-27 16:59
 
1810 특검, 기소땐 '부시 정권의 9·11'로 박남술 893     2005-10-24 2005-10-24 19:49
 
1809 발토야 [4] 유민송 893     2004-03-20 2004-03-20 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