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한국어

자유마당new

우주는 우리를 돕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의식 있는 삶에
눈을 떠가고 있습니다. 빛의 지
구는 내면에 있는 다양한 차원
의 의식을 통합하여 평화와 조
화의 빛을 내기 시작하는 사람
들의 교류 장소입니다.


신과나눈이야기한국모임
http://cafe.naver.com/cwgkorea


자유게시판


한의학에서 바라보는 오욕, 칠정

과노상간 (過怒傷)
성을 많이 내면 氣가 모두 위로 오른다.
심하면 피를 토하고 또한 성을 자주 내거나 심한 감정의 흥분은

오장 중 피를 저장하는 간(肝)을 상하게 한다.
따라서 간(肝)이나 담(膽)의 기능이 이상 흥분되면 행동이 동적이며 용감해지고

감정적으로는 성을 잘 내고 흥분되기 쉽다.
또 간담이 약해지면 겁이 많아져서 불안해하고 결단력이 없어 우유부단해진다.

과우상폐 (過憂傷)
근심이나 걱정 혹은 우울감이 있으면 氣의 순행이 막힌다고 했다.
그래서 氣가 폐색되면 폐(肺)와 비(脾·소화기계통)를 상한다고 했으며,

근심·걱정 등의 감정적 갈등은 호흡기능과 소화기능을 해치게 된다.


과사상비 (過思傷)
한 가지 일을 골똘히 생각하면 氣가 순행치 못하고 한곳에 맺히게 되는데

그러면 오장 중 소화기능을 주관하는 비(脾)를 상한다고 했다.

과비상폐 (過悲傷)
슬픈 감정이 있으면 氣가 가슴속에 막혀 열기로 변하면서

폐(肺)와 심(心)의 장기를 모두 상하게 되며,

또한 호흡기나 순환기에 병이 생기면서 감정도 감상적 혹은 비관적으로 변한다고 했다.

과공상신 (過恐傷)
두려운 마음이 있으면 氣가 하강해 오르지 못하며,

생식기와 내분비 기능을 주관하는 신(腎)을 상한다고 했다.

따라서 두려운 마음은 정력을 약하게 하는 요인도 된다.

 

 

 

*******************************

오욕 (五慾) : 다섯 가지 욕심

- 수면욕(睡眠慾)

- 식욕()

- 색욕(色慾)

- 명예욕(名譽慾)

- 재물욕(財物慾)

 

칠정 (七情) : 일곱 가지 감정

- () : 기쁨

- () : 노여움, 화냄

- () : 슬픔

- () : 즐거움

- () : 미움

- () : 욕망

- () : 사랑

 

오욕칠정(五慾七情)을 버릴 수만  있다면요.

허심탄회[虛心坦懷](마음에 거리낌이 없이 솔직함)

호연지기[浩然之氣](마음이 넓고 뜻이 아주 모양)

이렇게 될 수 있겠는데요.

저 자신부터 전혀 안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

 

영혼 한줌

 

 

현실세계가 내게 주어진 이유는.


 

나의 본래모습을 찾아내어 몸과 마음의 영원한 대자유를 얻기 위함이 아닌가.

현실이라는 혼돈의 굴레를

본래의 나가 고요히 바라볼 수 있을 때 세상의 진리도 모습을 드러내니,

우주공간의 삼라만상이 나를 위해 존재하고 만물이 하나가 아닌 것이 없더라.

오로지 형제 됨을 기도하고 은혜로움에 고개 숙여 깊이 감사한다.

 

 


 

본래의 나가 어디에 있던가.


 

우주공간의 삼라만상을 비롯한 모든 것은 밖이 아니라 내 몸과 마음 안에 있더라.

필요 이상의 오욕과 칠정을 향한 내 몸과 마음의 갈증이 본래의 나를 가두어 놓고 있었으니

참으로 어리석었고 또 어리석었다.

가져온 것 없고 가져갈 것도 없으련만

나의 영혼이 머물러야 할 몸과 마음은 욕망과 허영으로 가득 차 있었다.

 

 


우주공간은.


 

빛으로 승화한 영혼의 몸과 마음이다.

우주공간은 아무것도 나에게 원하지 않았다.

오직 진리로 승화된 영혼의 빛과 소리만 원했을 뿐이다.

다만 내가 원하여 스스로 작은 우주공간에 머물게 된 것이다.

 

 


생명이 다하는 날까지.


 

몸과 마음의 대자유를 찾은 영혼 한줌 가지고 떠나리라.

끝없이 연결되는 욕망의 사슬로부터 벗어나리다.

텅 비어 있는 몸과 마음의 공간에서

잠시도 멈추지 않고 출렁이는 기쁨과 노여움, 슬픔과 즐거움을 고요히 맞이하리다.

모진 풍파에도 무극중심의 빛과 소리가 내 몸과 마음을 비추고 있었으니

나 이제 그 은혜로움을 깨달아 더 이상 귀소의 망설임을 갖지 않으리다.

 

 


이 생명이 다하는 날.

 

 

칠정오욕에 방황하며 울부짖던 나의 영혼을 쉬게 하리다.

조용히 눈을 감고 편안히 쉬고 있는 영혼의 숨소리를 온 몸과 마음의 정성으로 안으리다.

나의 영혼이 긴 잠에서 눈을 뜰 때

우주를 담은 천년의 몸과 마음으로

성스런 나의 영혼 한줌을 한줄기 빛으로 승화하리다.

몸과 마음이 피어낸 영혼 한줌 가지고 떠나리라

 

http://sunsegye.com/brd/brdcontent.asp?mode=gul&num=1

 

 

profile
조회 수 :
2414
등록일 :
2012.05.15
22:46:40 (*.135.108.108)
엮인글 :
http://www.lightearth.net/free0/228074/72f/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lightearth.net/228074

베릭

2012.05.17
18:50:28
(*.135.108.108)
profile

 

 

1. 연결시켜 기억하기

학습능력과 기억력을 좋게 하려면 배우는 것들 사이의 연관성을 찾는게 좋습니다.
가령 예를 들면 새로운 이름을 외울 때는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이나
그 사람을 만난 장소, 거기서 들었던 음악등과 연결시키는 겁니다.

 

2. 양손 사용

뇌는 좌뇌와 우뇌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왼손의 정보는 우뇌로,
오른손의 정보는 좌뇌로 가지요. 하지만 항상 쓰는 손만 사용하면
한쪽의 뇌에만 정보를 받아 발달하게 되고 다른 쪽 뇌는 뒤쳐지게 됩니다.
그래서 글씨도 안쓰던 손으로 써보고, 밥도 안쓰던 손으로 써보세요.

 

3. 외우지 말고 이해하기

단순히 암기 하는 것 보다 이해하는 게 더 잘 기억합니다. 뭔가를 배울 때
반드시 잘 이해하고 넘어가는 습관을 들이는 게 좋습니다.

 

4. TV를 멀리하기

TV를 바보상자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TV를 보면 멍청해진다고 하는 건데요,
아주 틀린 말은 아닙니다. TV는 한꺼번에 많은 양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뇌가 처리하지 못할 정도로 말이죠. 그러다보니 뇌는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게 계속되면 정보를 능동적으로 얻고 찾아내지 못하며, 정보 처리 시간이
느려지고 사고능력이 떨어집니다. 하루 10분만이라도 TV를 일찍 끄세요.

 

5. 여행하기

여행은 뇌를 재충전하고 깨어나게 합니다. 이국적이고 가보지 않았던 곳에
찾아가면 여러 자극을 받아 새로운 사고를 하게 됩니다.
또 생활에 활력소가 되기도 합니다.

 

6. 새로운 음식을 먹어보기
모든 감각을 뇌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늘 먹던 음식보다는
한번도 먹어보지 못한 음식을 먹어보면 뇌에 새로운 자극을 더해
머리를 좀 더 좋게 만들 것입니다.

 

7. 일상적인 것에 반대하기

틀에 박힌 하루하루를 살기보다는 전혀 시도하지 않았던
다양한 변화를 즐겨보세요. 여러가지 책을 동시에 읽는 것도 좋고
여러 노래를 섞어 부르는 것도 좋습니다.

 

8. 새로운 것에 도전하기

이제껏 해보지 않았던 일이나 미뤄뒀던 일들을 해봅시다.
외국어 마스터, 모형 장난감 조립, 그림그리기, 소설쓰기..
뇌도 활성화시키고 더불어 새로운 능력까지

 

 

 

베릭

2012.05.17
18:57:40
(*.135.108.108)
profile

 

踏雪夜中去(답설야중거)


밤에 눈덮인 들판을 걸어 갈 때에는

 

不須胡亂行(부수호란행)

함부로 어지럽게 걷지 말아라.

 

今日我行跡(금일아행적)

오늘 내가 남기는 이 발자국은

 

遂作後人程(수작후인정)

뒤에 오는 사람의 이정표가 될 것이니라.

 

서산대사께시 지은 한시로, 백범 김구 선생님의 좌우명이였다

 

베릭

2012.05.17
19:38:55
(*.135.108.108)
profile

 

지혜는 어떻게 얻어지는가?
지혜의 근원에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첫 번째는 지식으로부터 나오는 것이고
두 번째는 경험으로부터 이고
세 번째는 자기반성으로부터 나오는 것입니다.

당신은 왜 성공한 사람들이 당신보다 많은 것을 알고 있는지 왜 그렇게 성공했는지 도대체 어떻게 성공을 할 수 있었는지를 발견 할 수 있습니다. 성공한 사람들을 연구하면 할수록 그들은 모두 끊임없이 자기지식과 식견의 폭을 넓히고 다른 사람들의 경험을 본받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모두 자기 자신의 잘못된 경험을 개선시키고 끊임없이 자기 반성과 자기 검토를 합니다.

그러므로 성공한 사람들이 하는 일은 갈수록 더욱 훌륭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성공한 사람들은 우리의 흠모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성공한 사람들의 목표는 끊임없이 탁월함을 추구하는 것이고 끊임없이 발전하고 자기를 초월하는 이기 때문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스스로 자신의 잠재능력을 개발할 뿐만 아니라 끊임없이 기록에 도전합니다. 또한 다른 사람의 인생이 풍요롭고 더욱 아름답게 되기를 원합니다. 성공한 사람들은 끊임없이 봉사하기 때문에 아주 훌륭한 보답을 받습니다. 또 성공한 사람들은 쉬지 않고 공부하기 때문에 지혜가 끊임없이 증가합니다.

당신이 더 많은 돈을 벌고 싶다면 반드시 더욱 많은 공부를 해야 합니다. 또 더 많이 봉사하고 싶다면 스스로 더욱 많은 것을 지녀야만 완전하게 봉사할 수 있게 됩니다. 오직 끊임없이 봉사해야만 당신의 삶이 더 의미 있게 생각될 것입니다.

성공은 아주 쉬운 일입니다.
당신이 가야 할 방향을 확실히 알고 있기만 하다면 말입니다.
그렇지만 인생이 단순히 성공만을 쫓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의 삶을 진정으로 의미 있게 만들어야만 하는 것입니다.
그래야만 비로소 자아가 풍요로울 수 있고 성공이 아주 가치 있는 이라는 사실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당신이 실패하게 됐을 때 반드시 굳건히 일어나 다시 한 번 시도해야 한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왜냐하면 지혜로운 사람은 언제나 끝까지 일을 마치기 때문입니다.

성공과 실패의 차이는 최후까지 시도하는 가 안 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따라서 당신이 무슨 일을 하든지 절대로 포기해서는 안됩니다. '나는 포기하는 자는 지혜로운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말에
당신은 동의 하십니까?

당신은 과거의 친구는 많이 있으리라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미래에 나의 인생을 함께 할 친구는 얼마나 됩니까?
항상 당신의 인생을 지혜로운 사람들 속에서 찿을 수 있는 방법에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십시오.

새로운 미래가 당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움츠리고 작게 살기에는 인생이 너무 짧지 않습니까?

 

 

베릭

2012.05.17
20:31:04
(*.135.108.108)
profile

개는 윤리적 동물이다

동물이 사람처럼 옳고 그름을 따져 공명정대한 행동(페어플레이)을 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되었다.

일부 동물행동학자는 일부 동물이 도덕성의 기초가 되는 정서 기능,

특히 감정이입(empathy)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페어플레이를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2001년 미국 영장류동물학자 프란스 드발은 격월간

'행동 및 뇌 과학(Behavioral and Brain Science)' 12월호에 실린 논문에서

고래·돌고래·코끼리·하마는 물론 심지어 생쥐도 감정이입 반응을 나타낸다고 주장했다.

2006년 캐나다 맥길대 심리학자들은 '사이언스'6월 30일자에 생쥐의 감정이입 행동을 실험한 결과를 발표했다.
다른 생쥐가 고통스러워하면 덩달아서 고통을 느끼는 듯했으며, 모르는 상대에게는 무관심했지만

친숙한 상대일수록 감정이입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고 주장했다.

미국 콜로라도대 진화생물학자 마크 베코프는 동물이 도덕적 행동을 할 수 있다고 가장 강력하게 주장하는 인물이다.

2009년 5월 펴낸 '야생의 정의(Wild Justice)'는 부제가 '동물의 도덕적 삶'이다.

이 책에는 개들이 놀이를 할 때 엄격한 규칙을 따르며 놀이를 통해 서로 신뢰 관계를 형성하기 때문에

집단의 질서가 유지된다는 관찰 결과가 실려 있다.

개가 놀이를 하면서 서로 격렬하게 물어뜯거나 올라타는 행동을 하지만 끝내 싸움으로 확대되지 않는 까닭은

네 가지 규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첫째,

놀고 싶다는 뜻을 분명히 전달한다.

개는 놀이를 하고 싶으면 뒷다리를 세운 채 앞다리를 웅크리는 자세로 상대방을 꼬드긴다.

이 자세는 노는 동안에 항상 나타나는 모양새이므로 상대방은 그 뜻을 헤아릴 수 있다.

개는 상대가 놀고 싶다는 뜻을 나타낼 때 금방 눈치 챌 수 있기 때문에 언제든지 싸우지 않고 잘 지내는 것이다.

둘째,

상대방을 배려한다.

개는 놀이 상대의 능력을 감안해서 서로가 대등한 입장이 되도록 노력할 줄 안다.

상대의 능력이 뒤처지면 스스로 자신을 불리한 입장이 되게 하거나 상대와 역할을 바꾸어줌으로써

상대가 자신과 엇비슷한 위치에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마음을 써준다는 것이다.

셋째,

자신의 실수를 인정한다.

놀이를 하다 보면 때때로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는 등 실수를 저지르게 마련이다.

이런 경우 개들은 꼭 사람처럼 상대방에게 잘못을 빈다.

가령 상대를 심하게 물었을 때는 앞다리를 웅크리고 앉아서

"미안하다. 제발 더 놀아 달라. 앞으로 페어플레이를 하겠다"는 뜻을 전달한다.

 대개 잘못을 용서해주고 놀이가 계속된다.

 상대를 이해하고 관용을 베푸는 행동은 놀이를 하는 동안 자주 나타난다.

넷째,

정직하게 행동한다.

잘못을 사과할 때 거짓이 없어야 한다.

만일 잘못을 뉘우치지 않거나 불공정한 행동을 계속하면 그 개는 추방된다.

집단에서 쫓겨난 개는 수명이 단축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놀이를 하는 동안 집단의 규범을 위반하면 생존에도 위협이 되는 셈이다.

이를테면 개들도 사람처럼 생존의 기회를 증대시키기 위해 엄격한 규칙에 따라 페어플레이를 한다는 것이다.

베코프의 표현처럼 '윤리적 개(ethical dog)', 곧 도덕적 판단 능력을 지닌 견공들이지만

복날이면 어김없이 보신탕이 되고 만다.

 

실제 개들의 윤리성(동영상)

http://nozzang.seoprise.com/board/view.php?table=science&uid=6530

 

 

 

 차에 치인 동료를 구하는 개- 결국 치인 개는 살아 났다고 하네요. 

 

List of Articles
공지 국제정세와 관련하여 실시간 전달되는 중요한 정보를 금일부터 올립니다.
아트만
149834     2020-05-14 2022-03-25 13:02
공지 현재 진행중인 국내, 국제정세에 대하여..
아트만
150620     2020-01-09 2020-01-16 18:33
공지 어보브 메제스틱 (한글자막) -- 데이빗 윌콕, 코리 굿 출연 / "트럼프왕과 기사이야기" 1
아트만
168420     2019-10-20 2019-12-17 04:02
공지 유엔 각국대표부에 보내는 제안서 [2018. 8. 29.]
아트만
157027     2018-08-29 2018-08-29 12:14
공지 우리가 지금 이곳 지구에 있음은 우연이 아닙니다. 1
아트만
237916     2015-08-18 2021-07-14 23:44
공지 [릴루 마세(Lilou Mace)] 포스터 갬블(Foster Gamble)과의 인터뷰 1부/ 2부
아트만
237759     2014-05-10 2015-03-11 07:25
공지 가슴으로 느껴보세요 - '빛나는 꿈들' 2 46
관리자
282932     2013-04-12 2021-12-16 14:02
공지 자본주의 체제가 총체적 사기 임을 알려주는 동영상(한글자막) 67
관리자
314039     2012-12-09 2012-12-09 23:43
공지 각성을 위한 준비 --마이트레야(미륵) 7 57
관리자
352068     2011-08-17 2022-01-10 11:20
공지 자유게시판 글쓰기에 관한 안내 3 54
관리자
466806     2010-06-22 2015-07-04 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