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글 수 17,683
1호그림 | |
1호전문 | 13의아해(兒孩)가도로(道路)로질주(疾走)하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適當)하오.) 제(第)1의아해(兒孩)가무섭다고그리오. 제(第)2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3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4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5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6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7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8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9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10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11의아해(兒孩)가무섭다고그리오. 제(第)12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제(第)13의아해(兒孩)도무섭다고그리오. 13인(人)의아해(兒孩)는무서운아해(兒孩)와무서워하는아해(兒孩)와그렇게뿐이모였소.(다른사정(事情)은없는것이차라리나았소) 그중(中)에1인(人)의아해(兒孩)가무서운아해(兒孩)라도좋소. 그중(中)에2인(人)의아해(兒孩)가무서운아해(兒孩)라도좋소. 그중(中)에2인(人)의아해(兒孩)가무서워하는아해(兒孩)라도좋소. 그중(中)에1인(人)의아해(兒孩)가무서워하는아해(兒孩)라도좋소. (길은뚫린골목이라도적당(適當)하오.) 13인(人)의아해(兒孩)가도로(道路)로질주(疾走)하지아니하여도좋소. (조선중앙일보, 1934. 7. 24) |
1호해설 | 烏감도는 까마귀의 눈으로 지면을 내려다본다는 말이다. 보통 鳥감도라고 하나 이상은 새 대신 까마귀를 택했다. 새와 까마귀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새의 눈은 막다른 골목이었을 때의 눈이고 까마귀의 눈은 영안으로 바라다보았을 때의 눈이다. 가이아킹덤은 이 시를 읽으면서 스처가는 두가지 생각이 있었다. 유전자의 13층과 나메비아다. 유전자의 13층은 이미 설명드린바와 같고. 나메비아는 동전의 앞면과 뒷면을 나타내는 말로 물질계와 정신계를 설명하는 말이다. 분명 이상은 창조근원의 세계를 보았을것이다. 그러나 영안으로 본 세상을 그대로 알리기에는 시대상황이 너무나 열악하였으리라. 그래서 암호같은 시로 이 사실을 설명한 듯 하다. 1연의 막다른골목이 적당하다는 말은 눈을 뜨지못한 상황의 설명이고, 4연의 뚤린골목이라도 적당하다는 말은 비로서 눈을 뜨고 세상을 보았을 때 도로를 질주하지 않아도 좋게된다는 말이다. 한편의 시를 보면서 이상의 깨달음의 정도가 얼마인지 짐작이 가는 부분이다. 2016.5.28.가이아킹덤 이 시는 오감도에 포함된 15편의 하나로 제목은 ‘시제1호詩第一號’로 태양의 자아인 까마귀를 통해 자아세계에서 본 현실세계다. 깨달음에 다다른 이상이 아직 눈을뜨지 못한 지상의 사람들을 까마귀의 눈으로 내려다보는 시가 오감도 1호다 여기서 까마귀는 이상의 상위자아일 가능성이 크다. ----------------------------------------------------------- 13의 아해가 가는데 길은 막다른골목이 적당하다 한다. 13차원을 끝으로 본것이거나 13차원 이상은 거론의 의미가 없다고 보았을 것이다. 무서운 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는 이원성의 설명이다. 무서운아해는 아마도 6차원의 자아일것이요. 무서워 하는 아해는 현실의 자신일것이다. 그런데 무서운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를 바꿔치기해도 좋다는 말이 나온다. 무서운아해와 무서워하는 아해는 둘이면서 하나라는 말이다. 둘이면서 하나를 이해할 때 길은 뚤린 길이어도 좋다는 말을 한다. 이원성을 이해하였다면 더 높은 차원을 상상해도 좋다는 말이다. 그러나 굳이 상위차원을 상상하지 않아도 좋다는 말을 도로를 질주할 필요는 없다는 말로 끝맺음을 했다. 2021.09.21. 가이아킹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