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체유심조(一切唯心造)
인간 세상의 모든 것이 마음이 지어내는 것을 의미하는 유식학파의 불교용어
유식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마음을 8종으로 분류하여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 등 8식을 세웠다.
(궁을 주 : 안식(眼識)·이식(耳識)·비식(鼻識)·설식(舌識)·신식(身識)·의식(意識)·말나식(末那識)·아뢰야식의 8식으로 정의했다. 즉 마음(心)=의식(識)이란 것이다)
아래 뇌과학자 질볼트테일러 박사의 동영상을 게시한 것은 마음과 의식이 어떻게 다르고 수행자가 추구하는 깨달음이 어떻게 이루어 질 수 있는지에 대한 가장 좋은 예시가 되기 때문이다. 우리 학생들은 아래 동영상을 최소 열 번 이상 반복해서 시청하고 면밀히 사색해서 마음과 의식의 실체에 대해 깨닫지 않으면 안된다.
https://youtu.be/WhQlnY4_75I
의식은 무엇인가?
의식은 命 이다.
이 명이 몸을 만나서 프로그램이 돌아가면 生命인 것이다. 즉, 일종의 소프트웨어(code, program) 인 셈이다. 인공지능도 일종의 命이다.
의식은 命이다. 인간의 의식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유식학의 8식은 정확한 설명인가?
여러분들이 기절해서 의식을 잃었다고 가정하자. 기절해서 의식이 없는 사람은 죽은 걸까?
의식이 없는 사람은 여전히 호흡하고 있고 심장도 뛰고 있고 몸안에 대사활동도 여전히 가동된다. 그렇다면...
기절해서 꺼져버리는 의식은 무엇이며, 여전히 몸을 가동하는 의식은 또 뭐란 말인가?
이것을 유식학은 설명할 수 있는가?
의식은 命이다.
세계 어느 사상체계, 철학, 종교에서도 정확한 의식구조에 대해 설명해 주지 않는다.
오로지 한민족의 고대 지혜만이 이 궁극의 인간관을 제시한다.
추후 설명하겠지만... <왜 추수꾼이 한민족인지>에 대한 실마리이기도 하다.
삼신사상에서 인간의 의식은 3세분으로 나뉘어 있다고 설명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우실하 교수의 ‘3수 분화의 세계관’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궁궁 문화를 파헤친 관련 동영상 추천>
전통문화의 원리를 찾아서1
전통문화의 원리를 찾아서2
전통문화의 원리를 찾아서3
의식은 命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命은 생명의 근원적/일원적 정수를 말하고 이 命의 이원적 상태가 혼(魂)이다. 우리가 논하는 의식은 혼다.
이 인간의 혼(의식)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의식이 존재한다.
1. 생혼(生魂): 몸을 관장하는 몸의식.
2. 각혼(覺魂): 현재의식. 기절해서 꺼져버리는 의식이 바로 이 현재의식이다.
3. 영혼(靈魂): 윤회하는 영원한 의식.
죽어서 혼비백산 하여도 이 영혼과 마음인 靈이 합하여(혼과 영, 영혼) 윤회를 거듭하게 된다.
이제는 거의 망각해서 잊은 우리와 달리 삼일사상을 아직 간직하고 있는 북방 샤먼국들에는 아직도 이런 사상들이 희미하게나마 남아 살아있다. 잠깐 살펴보자면...
(1) 만주족의 3혼
*명혼(命魂: 만주어로는 '파양아發揚阿')
*부혼(浮魂)
*진혼(眞魂: 만주어로는 '인추파양아恩出發揚阿')으로 나눈다.
(2) 허쩌족(赫哲族)의 3혼
*생명혼(生命魂: 허쩌족 말로는 '아오런奧任')
*사상혼(思想魂: 허쩌족 말로는 '하니哈尼')
*전생혼(轉生魂: 허쩌족 말로는 '파양구法揚庫')으로 부른다.
(3) 몽고족의 3혼
*하나는 주혼(主魂), 유혼(游魂) 그리고 시혼(尸魂)으로 나누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영원히 존재하는 영혼(永存的靈魂)', '마음 속의 혹은 일시적인 영혼(心底的或暫時的靈魂)' 그리고 '다시 태어나는 영혼(轉世的靈魂)'으로 나누는 것이다.
두 번째 분류법은 주혼, 유혼, 시혼이라는 것을 좀더 구체적으로 묘사한 것으로 내용상 대동소이하다.
이런 삼혼신앙은 시베리아 북부의 축치(Chookchee)족이나 유카기르(Yukagir)족의 경우에도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이들도 영혼을 3가지로 구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상 자료출처 : http://blog.daum.net/mujinbon/65 )
유식학의 8식과 삼일사상의 3혼을 비교해보면...
유식학에서 안.이.비.설.신 5식은 몸의식인 생혼이며,
제6식인 의는 제2혼 현재의식인 각혼이며
말라식과 아뢰야식은 현재의식의 무의식층에 해당하는 2혼에 포함된다.
엄밀히 말하자면 불교는 하나의 사유체계인 철학에 해당한다. 그래서 인격신인 하느님, 상제님이 존재하지 않는 무신론적 사유체계이다.
따라서 윤회의 주체인 3혼과 본성의 이원론적 존재인 靈을 설명할 수 없다.
불교에 마음이 없는 이유이다.
그래서 마음과 의식을 하나로 합하여 ‘물질과 정신(마음=의식)’이라는 이원론적 사고를 하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