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글 수 18,271
저도 퍼온글인데. 책 내용중 일부인거같습니다.
즐독 하세요 ^^
* 관(觀)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 저자: 수자타
* 옮김: 하숙희
* 출판: 불일출판사
*** 내관(內觀) 수행법 ***
맑고 생생하게 깨어있기 위해서는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자세히 관찰하라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주의력, 집중력, 직관력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숨쉴 때 배가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을 자세히 관찰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다.
이 분명한 신체적 움직임을 관찰하기 시작하면 나중에는 마음의 아주 미세한
움직임까지도 분명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조용한 곳에 가서 편안한 자세로 앉는다.
눈을 감고 등을 곧게 펴되 힘은 주지 말라. 배는 늘 움직인다.
자연스럽게 들어갔다 나오는 배의 운동에 생각을 모으고서 마음속에 생기는
모든 생각의 변화를 주의 깊게 보라. 말로 ‘들어 간다’ ‘나온다’…고
되뇌이지도 말고, 대신에 ‘일어나고’ ‘꺼지는’ 실제 현상만 예의 주시하라.
이 움직임에 더욱 더 민감해져서 주의력이 잘 집중되면,
그 때는 호흡이 때로는 얕았다가 때로는 깊고 때로는 빨랐다가 때로는 느리고 고요한 것을 알게 되리라.
이러한 변화를 잘 주시하되 억지로 숨을 고르게 하려고 하지도 말고
자연스럽게 쉰다. 평상시 숨을 쉴 때 나타나듯 자연스럽게
그 움직임을 관찰하라.
우리가 배의 움직임을 관찰할 때 마음이 저절로 느낌이나 신체적 감각과
같은 다른 생각에로 달아난다.
이런 생각들은 일어나자마자 바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아채고,
또 어떤 소리가 내 주의력에 걸리면 ‘듣고 있음’을 알아채야 한다.
그런 것들이 지나가면 다시 처음 주의력-배의 움직임-으로 조용히 돌아온다.
첫 주의력에 집중이 잘 됐을 때는 다른 문제가 발생해도 그것이 일어나자마자 재빨리 주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지-문제가 발생하자마자 정신을 바짝차리는-까지는 알아차리지 못하는 새에 주의력이 이 생각 저 감정 사이를 오락가락하게 되고 때로는
앉아서 공상도 하게 된다.
그래서 자신의 주의력이 지금 이 순간에서 떠나 먼 데로 가면
그 즉시 이것을 알아차려 ‘아, 내가 공상을 하고 있구나’ 하고 주의한다.
그래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배가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을 지켜봐야 한다.
집중력 계발은 걸으면서도 할 수 있다.
발을 떼서 옮기고 딛는 동작 하나하나를 처음 배의 움직임을 관찰하듯이 한다.
머리는 똑바로 들고 눈은 자신 키 정도의 거리 앞을 내려다본다.
비교적 천천히 걸으면서 보폭을 작게 하되 몸은 균형을 유지한다.
발을 떼서 안정되게 서기 전에는 다음 발을 움직이지 말라.
이 때에 동작 하나하나를 일어나는 그대로 면밀히 관찰한다.
걸으면서 하는 명상과 앉아서 하는 명상의 시간을 같이 배분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면 30분 정도 걸었다면 다시 앉아서 30분하고,
또 한 시간 정도 걸었다면 다시 1시간 정도 앉아서 명상한다.
하루 동안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동작들 - 먹고, 마시고, 씻고,
이 곳에서 저 곳으로 이동하고 이 일에서 저 일로 옮겨가는 동안 각각의 활동에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움직임 또는 이에서 생겨나는 감정이나 신체적 감각들을 하나하나 살펴봐야 한다.
주위의 모든 대상들을 끝임 없이 잘 관찰하는 사람에게는 점차로 명확하게 알아차리는 힘이 생긴다.
알아차림은 너무 빠르지도 너무 늦지도 않아야 한다.
그것은 즉각적이고 명확해야 하지만 껄끄럽지 않아야 한다.
이 일은 게을러서는 안 되고 앉아서 몽상해서도 안 된다.
반대로 다가오는 대상들을 면밀히 알아채도록 정신을 집중해야 한다.
주의력이 향상되어 어느 경지에 들어서면 알아챔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대한 정신적 수고로움은 점점 줄어든다.
그러나 주의력이 산만해지면 다시 명확해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명상을 할 때는 안팎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잘 알아채야겠다고 “결심”하는 게 좋다. 우리들 마음이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데에 익숙해 있어서 단순히 알아채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단순히 알아채기 위해 자신을 재훈련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관(觀)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 저자: 수자타
* 옮김: 하숙희
* 출판: 불일출판사
즐독 하세요 ^^
* 관(觀)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 저자: 수자타
* 옮김: 하숙희
* 출판: 불일출판사
*** 내관(內觀) 수행법 ***
맑고 생생하게 깨어있기 위해서는 몸과 마음의 움직임을 자세히 관찰하라고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주의력, 집중력, 직관력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숨쉴 때 배가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을 자세히 관찰하는 것도 하나의 좋은 방법이다.
이 분명한 신체적 움직임을 관찰하기 시작하면 나중에는 마음의 아주 미세한
움직임까지도 분명하게 알 수 있게 된다.
조용한 곳에 가서 편안한 자세로 앉는다.
눈을 감고 등을 곧게 펴되 힘은 주지 말라. 배는 늘 움직인다.
자연스럽게 들어갔다 나오는 배의 운동에 생각을 모으고서 마음속에 생기는
모든 생각의 변화를 주의 깊게 보라. 말로 ‘들어 간다’ ‘나온다’…고
되뇌이지도 말고, 대신에 ‘일어나고’ ‘꺼지는’ 실제 현상만 예의 주시하라.
이 움직임에 더욱 더 민감해져서 주의력이 잘 집중되면,
그 때는 호흡이 때로는 얕았다가 때로는 깊고 때로는 빨랐다가 때로는 느리고 고요한 것을 알게 되리라.
이러한 변화를 잘 주시하되 억지로 숨을 고르게 하려고 하지도 말고
자연스럽게 쉰다. 평상시 숨을 쉴 때 나타나듯 자연스럽게
그 움직임을 관찰하라.
우리가 배의 움직임을 관찰할 때 마음이 저절로 느낌이나 신체적 감각과
같은 다른 생각에로 달아난다.
이런 생각들은 일어나자마자 바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아채고,
또 어떤 소리가 내 주의력에 걸리면 ‘듣고 있음’을 알아채야 한다.
그런 것들이 지나가면 다시 처음 주의력-배의 움직임-으로 조용히 돌아온다.
첫 주의력에 집중이 잘 됐을 때는 다른 문제가 발생해도 그것이 일어나자마자 재빨리 주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지-문제가 발생하자마자 정신을 바짝차리는-까지는 알아차리지 못하는 새에 주의력이 이 생각 저 감정 사이를 오락가락하게 되고 때로는
앉아서 공상도 하게 된다.
그래서 자신의 주의력이 지금 이 순간에서 떠나 먼 데로 가면
그 즉시 이것을 알아차려 ‘아, 내가 공상을 하고 있구나’ 하고 주의한다.
그래서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배가 들어갔다 나왔다 하는 것을 지켜봐야 한다.
집중력 계발은 걸으면서도 할 수 있다.
발을 떼서 옮기고 딛는 동작 하나하나를 처음 배의 움직임을 관찰하듯이 한다.
머리는 똑바로 들고 눈은 자신 키 정도의 거리 앞을 내려다본다.
비교적 천천히 걸으면서 보폭을 작게 하되 몸은 균형을 유지한다.
발을 떼서 안정되게 서기 전에는 다음 발을 움직이지 말라.
이 때에 동작 하나하나를 일어나는 그대로 면밀히 관찰한다.
걸으면서 하는 명상과 앉아서 하는 명상의 시간을 같이 배분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면 30분 정도 걸었다면 다시 앉아서 30분하고,
또 한 시간 정도 걸었다면 다시 1시간 정도 앉아서 명상한다.
하루 동안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모든 동작들 - 먹고, 마시고, 씻고,
이 곳에서 저 곳으로 이동하고 이 일에서 저 일로 옮겨가는 동안 각각의 활동에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움직임 또는 이에서 생겨나는 감정이나 신체적 감각들을 하나하나 살펴봐야 한다.
주위의 모든 대상들을 끝임 없이 잘 관찰하는 사람에게는 점차로 명확하게 알아차리는 힘이 생긴다.
알아차림은 너무 빠르지도 너무 늦지도 않아야 한다.
그것은 즉각적이고 명확해야 하지만 껄끄럽지 않아야 한다.
이 일은 게을러서는 안 되고 앉아서 몽상해서도 안 된다.
반대로 다가오는 대상들을 면밀히 알아채도록 정신을 집중해야 한다.
주의력이 향상되어 어느 경지에 들어서면 알아챔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대한 정신적 수고로움은 점점 줄어든다.
그러나 주의력이 산만해지면 다시 명확해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 명상을 할 때는 안팎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을 잘 알아채야겠다고 “결심”하는 게 좋다. 우리들 마음이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데에 익숙해 있어서 단순히 알아채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단순히 알아채기 위해 자신을 재훈련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관(觀) -명상을 통해 얻어지는 자유-
* 저자: 수자타
* 옮김: 하숙희
* 출판: 불일출판사
공명
- 2007.10.28
- 18:14:18
- (*.46.92.48)
누구나 자신 내면의 창조와 공명할수있는 자신들만의 방법을 알고 있지만 변형된 에고의 틀에 갇혀 스스로 자각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하려는 사람에게는 그 방법이 다가오게 됩니다. 도저히 모르겠다 하는 혼란이 올 경우엔 위 내용과 같은 방법들에 잠깐 따라보는것도 좋은 공부가 될것입니다. 하지만 중요한것은 대중화 된 것이 아닌 자신만의 방법을 알아내는 것이겠지요. 개개인이 창조주의 확장된 또다른 모습들이며 그만의 진화의 길을 걷고 있으니까요.
좋은 글 올려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님께 항상 빛과 사랑이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좋은 글 올려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님께 항상 빛과 사랑이 함께하길 기원합니다.^^
그냥 글읽으면서 자신에 견해는 주입시키지 말고 글 그대로 고대로 똑같이 따라하기만 하면 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