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글 수 17,648
사랑이 집중력이 강하다는 의미는 사랑이라는 행위 자체의 에너지를 의미하기보다는 소위 사랑이라고 하는 지극[至極]한 의식이 존재에 깃들었을 때, 그 존재의 구조물[body]은 [진동 에너지]가 최대한 집중되는 구조로 [결정화, crystallization]된다는 의미다.
행하라는 뜻이 사랑하라는 뜻과 공유하는 부분이 많으며 이 사랑 에너지는 물질화 시킬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행하라는 뜻이 사랑하라는 뜻과 공유하는 부분이 많으며 이 사랑 에너지는 물질화 시킬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우주는 창조와 파괴의 대립이 아니라 조화와 질서 속에서 피어나는 정의와 사랑이 그 중심이 되어갈 것입니다
위의 인용글은 외계인23님이 적어놓은 글을 퍼왔습니다.
다른 말은 모두 이해가 되는데
"사랑 에너지는 물질화 시킬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위의 말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혹시 아시는분 있으시면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가이아킹덤
- 2014.02.09
- 08:44:48
- (*.60.247.32)
빛길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누군가의 질문에 맨 처음으로 답글을 다는 일은 쉽지 않은데 빛길님이 답글을 올리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로고스라는 말이 저에게는 생소해서 백과서전에서 얻어온 것을 올려봅니다.
다음 백과사전의 로고스 설명
그리스 철학과 신학에서 우주에 내재하면서 우주를 다스리고 우주에 형식과 의미를 부여하는 신(神)의 이성으로 이해되는 개념.
'로고스'라는 용어로 정의되는 개념은 그리스·인도·이집트·페르시아 등의 철학·신학 체계에서 찾아볼 수 있지만, 그리스도교 문헌과 교리에서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리스도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역할을 신이 우주창조 및 질서유지의 원리이자 신의 인간구원 계획을 계시하는 원리로 묘사하거나 정의하는 데 이 개념을 사용했다. 따라서 이 개념은 예수가 선재(先在)했다는 그리스도교의 기본교리의 기초를 이루고 있다.
그리스 사상에서 로고스 개념은 적어도 BC 6세기의 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는 우주의 진행과정에는 인간의 이성능력과 비슷한 어떤 로고스가 존재한다고 생각했다(→ 색인 : 그리스 종교). 그뒤 키티온의 사상가 제논(BC 4~3세기)의 가르침을 따르는 스토아 학파는 로고스를 모든 실재에 스며 있는 활동적인 이성적·정신적 원리로 규정했다. 그들은 로고스를 섭리, 자연, 신과 우주적 영혼 등으로 불렀으며 이 로고스는 우주의 로고스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종자 '로고이'(logoi)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다. 1세기 유대인 철학자 알렉산드리아의 필론은 로고스가 신과 우주를 매개하고 창조를 수행하며 인간정신이 신의 존재를 믿고 신의 뜻을 따르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가르쳤다. 필론과 중세 플라톤주의자(BC 4세기 그리스의 대표적인 철학자 플라톤의 가르침을 종교용어로 해석한 사람들)에 따르면, 로고스는 세계에 내재하며 동시에 초월적인 신적 정신이었다.
〈요한의 복음서〉 제 1장에서 예수 그리스도는 성육신(成肉身)한 '말씀'(logos)과 동일시된다. 이렇게 예수를 로고스와 같다고 보는 것은 '주의 말씀'(신의 활동과 권능의 관념을 함축한)이라는 자주 쓰이는 구절에서 나타나는 구약의 계시관념과 지혜는 인간을 신에게 인도하는 신의 대리자로서 신의 말씀과 같은 것이라고 보는 유대인의 견해에 바탕을 두고 있다.〈요한복음서〉의 저자는 헬레니즘 세계(그리스 문화)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철학적 표현을 사용했는데, 그리스도의 인성이 가지는 구원의 성격을 강조하기 위해 예수를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라 했다. 유대인들이 토라(유대인 율법)를 하느님과 함께 선재한 것이라 보았듯이,〈요한복음서〉의 저자도 예수를 선재하다고 생각했으나 인류의 생명과 구원의 인성화(人性化)한 근원이라 여겼다. 이 복음서의 저자는 로고스를 예수의 인성과 분리할 수 없는 것으로 해석했으며 단순히 예수가 선포한 계시라고는 생각하지 않았다(→ 색인 : 교부문학).
예수를 로고스와 동일시한 것은 〈신약성서〉의 여러 부분에서 암시적으로 나타나 있고 특히〈요한의 복음서〉의 4장에 뚜렷이 나타나는데, 이런 관점은 초기교회에서 〈구약성서〉보다는 그리스 철학에 근거를 두고 더욱 발전했다. 이 발전은 초기 그리스도교 신학자와 변증론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들은 그리스도교 신앙을 헬레니즘 세계 사람들이 잘 이해할 수 있는 용어로 표현하려 했고 또 그들에게 그리스도교가 가장 좋은 이교도 철학보다 더 뛰어나거나 혹은 그 철학의 계승자라는 인상을 심어주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따라 초기 그리스도교 교부들은 변증론 및 논쟁적 저작들을 통해 그리스도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 선재하는 '로고스'라고 주장했다.
①그리스도는 하느님을 인간 앞에 드러내주는 존재인 동시에 〈구약성서〉에 나오는 신의 현현(顯現)의 주체이다. ②그리스도는 모든 인간이 공유하는 신의 이성이기 때문에 BC 6세기 철학자와 이성적 삶을 살았던 그밖의 사람들은 그리스도 이전의 그리스도교도였던 셈이다. ③그리스도는 세계의 틀이 되는 신의 의지요 말씀이다.
사랑은 로고스
우주에 가득한 힘을 상징하는 단어
우리 몸도 마음도 영혼도 로고스를 실현하고 있는 중
삶도, 주변에 접하는 물질들도 사랑의 법칙인 우주의 법칙이 연결되어 나타나고 있는 중
단순히 남녀간의 사랑이나 .. 생물들의 사랑은... 우주법칙인 로고스의 일부분..
우리가 만드는 어느 물질이든.... 연필하나도 .... 핸드폰도....우주법칙안의 사랑에 해당하는 로고스의 발현물이 될 수도...
나아가 우리의 생각과 말과.... 우리의 존재하는 순간도 ... 로고스가 닿아있는 일부분의 발현물?..
님이 뭔가를 고민하는 것도,, 알고 싶음도 본인을 사랑하는 과정이며.... 본능적인듯 아닌 듯... 사랑의 일부분...
고민도 ....궁금함도.... 에너지적으로 보면 물질입니다......
이상은 제가 이해한 소견이었습니다..... 아니다 싶어도 ..... 양해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