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글 수 18,275
아래의 기사는 노무현정권의 나팔수 프레시안이 시사저널을 인용한 기사다.
노무현 정권의 편을 든다고 인용한 모양인데 '실수'했다.
자신들의 커넥션 관계를 일부 폭로한 셈이니...
프리메이슨은 절대 드러내어 활동하지 않는다.
다만 표면에 내세울 상대를 고를뿐...
한국정계와 언론을 장악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한 전면방패가 삼성과 서울대 인맥이다.
-----------------------------------------------------------------------------
[프레시안 김경락/기자] 노대통령의 오랜 후원자인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53)이 오랜 만에 입을 열었다. 지난 22일 <시사저널>과의 인터뷰에서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유독 삼성에 대해 날을 세웠다. "정권을 가지고 놀았다", "기고만장해 제왕 같은 짓을 하고 있다"는 등 격한 표현을 서슴없이 사용했다. 과거에도 강 씨는 "경제위기가 온다면 삼성발(發)이다. 망할 회사는 망해야 한다"며 삼성에 대해 쓴소리를 한 적이 있다.
최근 발매된 <시사저널> 880호에 따르면, 강금원 씨는 삼성에 대해 "(우리 사회에서) 두려운 존재가 됐다"며 그 예로 삼성의 소유권 승계과정을 들었다.
강 씨는 "50조 원 상속했으면 25조 원은 세금으로 내야 한다"며 "(그러나) 27억 원 가량만 세금으로 냈다. 국회의원들과 친하다고 법을 주물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정경유착의 대표적 사례이자 도덕적 문제"라며 "파출부가 집주인보다 세금을 더 내는 나라는 좋은 나라가 아니다"라고 쏘아붙였다.
그는 "삼성이 정권을 가지고 놀았다. 삼성의 로비에 (정부가)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며 삼성 앞에만 서면 작아지는 정부의 태도를 꼬집었다.
강금원 씨는 삼성의 사업방식도 물고 늘어졌다. 요지는 삼성이 정정당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강 씨는 "삼성이 언론사 간부, 고위 공무원, 판·검사들을 왜 그렇게 많이 고용한다고 보는가?"라고 물은 뒤 "나쁜짓을 해서 그렇다. 정정당당하게 사업을 하면 그럴 필요가 없다"고 스스로 답했다. 그는 또한 "기업이 언론을 통제하고 있다"며 "광고 나눠주고 돈 장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사회에 기부하기로 한 8000억 원도 문제 삼았다. 강금원 씨는 "8000억 원은 이 회장이 가지고 있는 돈을 낸 것이 아니다"라며 "투자자가 있는데, 월권"이라고 비판했다. 강 씨는 "8000억 원을 중소기업과 같이 가고자 하는 데 썼다면 훨씬 의미가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금원 씨는 언론에 대해서도 독설을 뿜었다.
강 씨는 최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논란에 대한 언론의 보도를 지적하며 "5년 전 전작권 회수를 주장하던 사람들이 태도를 바꿔 대통령을 '조지는' 것이 말이 되나"라며 "국론을 분열시키는 언론이 조선시대 당파싸움 하던 사람들과 다른 게 무언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부 보수언론을 겨냥해 "안 바꾸면 깨부숴야 한다"고도 말했다.
김경락/기자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노무현 정권의 편을 든다고 인용한 모양인데 '실수'했다.
자신들의 커넥션 관계를 일부 폭로한 셈이니...
프리메이슨은 절대 드러내어 활동하지 않는다.
다만 표면에 내세울 상대를 고를뿐...
한국정계와 언론을 장악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한 전면방패가 삼성과 서울대 인맥이다.
-----------------------------------------------------------------------------
[프레시안 김경락/기자] 노대통령의 오랜 후원자인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53)이 오랜 만에 입을 열었다. 지난 22일 <시사저널>과의 인터뷰에서다. 그는 이 인터뷰에서 유독 삼성에 대해 날을 세웠다. "정권을 가지고 놀았다", "기고만장해 제왕 같은 짓을 하고 있다"는 등 격한 표현을 서슴없이 사용했다. 과거에도 강 씨는 "경제위기가 온다면 삼성발(發)이다. 망할 회사는 망해야 한다"며 삼성에 대해 쓴소리를 한 적이 있다.
최근 발매된 <시사저널> 880호에 따르면, 강금원 씨는 삼성에 대해 "(우리 사회에서) 두려운 존재가 됐다"며 그 예로 삼성의 소유권 승계과정을 들었다.
강 씨는 "50조 원 상속했으면 25조 원은 세금으로 내야 한다"며 "(그러나) 27억 원 가량만 세금으로 냈다. 국회의원들과 친하다고 법을 주물렀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정경유착의 대표적 사례이자 도덕적 문제"라며 "파출부가 집주인보다 세금을 더 내는 나라는 좋은 나라가 아니다"라고 쏘아붙였다.
그는 "삼성이 정권을 가지고 놀았다. 삼성의 로비에 (정부가)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며 삼성 앞에만 서면 작아지는 정부의 태도를 꼬집었다.
강금원 씨는 삼성의 사업방식도 물고 늘어졌다. 요지는 삼성이 정정당당하지 않다는 것이다.
강 씨는 "삼성이 언론사 간부, 고위 공무원, 판·검사들을 왜 그렇게 많이 고용한다고 보는가?"라고 물은 뒤 "나쁜짓을 해서 그렇다. 정정당당하게 사업을 하면 그럴 필요가 없다"고 스스로 답했다. 그는 또한 "기업이 언론을 통제하고 있다"며 "광고 나눠주고 돈 장난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사회에 기부하기로 한 8000억 원도 문제 삼았다. 강금원 씨는 "8000억 원은 이 회장이 가지고 있는 돈을 낸 것이 아니다"라며 "투자자가 있는데, 월권"이라고 비판했다. 강 씨는 "8000억 원을 중소기업과 같이 가고자 하는 데 썼다면 훨씬 의미가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강금원 씨는 언론에 대해서도 독설을 뿜었다.
강 씨는 최근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논란에 대한 언론의 보도를 지적하며 "5년 전 전작권 회수를 주장하던 사람들이 태도를 바꿔 대통령을 '조지는' 것이 말이 되나"라며 "국론을 분열시키는 언론이 조선시대 당파싸움 하던 사람들과 다른 게 무언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일부 보수언론을 겨냥해 "안 바꾸면 깨부숴야 한다"고도 말했다.
김경락/기자
- Copyrights ©PRESSian.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