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글 수 17,630
≪ 그대가 이 글을 읽고 감명을 받는다면, 그대는 이 글을 모든 사이트로 전파하여
인류를 구원할 ( )의 진리가 전파될 길을 예비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 )의 '반진리'의 공개 ▒
※ 업(業, kamma, SK. Karma) : 행위.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으로 나누고
이를 삼업(三業)이라 함. ( 몸으로 하는 행위, 말로 하는 행위, 생각으로 하는 행위 )
※ 업보(業報, Kamma-vipaka) : 행위의 결과, 업(業)의 과보(果報)이며, (안, 이, 비,
설, 신, 의) 6가지 문(門)으로 나타나는 마음의 대상.
※ ( 업 = 행위 ), ( 업보 = 행위의 결과 = 대상 )
--------------------------------------------------------------------------
● 자아선택우연(自我選擇偶然) : 업과 업보는 고정불변한 자아(Ego, '나'라는 개념)
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고정불변한 자아('나')가 업을 짓고,
업보를 받는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 과거의 업과 업보는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우연한 현상이었고,
▷ 현재의 업과 업보도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현상이고,
▷ 미래의 업과 업보도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이 견해는 어리석음{치(痴), 무명, 모하, moha}과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 ditthi)이라는 마음의 작용에서 나온 견해 이며,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합니다.
☞ (자아선택우연)의 '반진리'가 너희를 구속되게 하리라.
--------------------------------------------------------------------------
◈ (자아선택우연)의 '반진리'가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과정
1. 탐욕[貪, 로바, lobha]에 구속되는 과정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탐욕[貪, 로바, lobh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와 '타아(他我)'가 대상을 선택할 수 없다면, 대상에 대한 탐욕[貪, 로바,
lob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대상에 대하여 탐욕[貪, 로바, lobha]을 부려본 들,
'아(我)'와 '타아(他我)'가 선택할 수도 없는 대상이므로, '아(我)'와 '타아(他我)'
하고는 무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탐욕[貪, 로바, lobh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2. 성냄[嗔, 도사, dos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와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와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행위의 결과'에 대한 성냄
[嗔, 도사, dosa]이 생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내가 싫어하는 '행위'를 하고, 그 '행위의 결과'를 본(인식한) 내가
화{성냄[嗔, 도사, dosa]}가 났을 경우, 나는 아내에게 내가 싫어하지 않는 '행위'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아내에게 '행위'의 선택권이 없다면, 아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저지른 '행위'
로 인해 나타난 '행위의 결과'인데, 아내에 대한 성냄[嗔, 도사, dos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내가 잘못한 '행위'를 하여, 나에게 화{성냄[嗔, 도사, dosa]}가 났을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나에게 '행위'의 선택권이 없다면, 나에 대한 성냄[嗔, 도사,
dos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성냄[嗔, 도사, dos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3. 어리석음[痴, 모하, moha]에 구속되는 과정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로 업을 짓고, 업보를 받기
때문에, 어리석음[痴, 모하, moh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는 것입니다.
4.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에 구속되는 과정
과거의 업과 업보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이 생기는 것입니다.
과거의 업과 업보가 '아(我)'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우연한 현상이 아니었다면,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5.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에 구속되는 과정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이 생기는 것입니다.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것이 아니라면,
대상에 대한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6. 시기와 질투[잇사, iss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행위의 결과'에
대하여 시기와 질투[잇사, issa]가 생기는 것입니다.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면, 시기와 질투[잇사, issa]는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시기와 질투[잇사,
issa]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7.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8.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ditthi]에 구속되는 과정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로 업을 짓고, 업보를 받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ditthi]이라는 번뇌에 구속되는
것입니다.
9.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와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와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만이나 자만
[마나, man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와 '타아(他我)'가 '행위'와 '행위의 결과'를 선택할 수 없다면,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0.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1.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2.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3. 나태[티나, thin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태[티나, thina]가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나태[티나, thina]는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나태[티나, thina]
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4. 무기력[밋다, middh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기력[밋다, middh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무기력[밋다, midd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무기력[밋다, middh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
☞ 미래에 대한 두려움{성냄[嗔, 도사, dosa]}도....
미래의 업과 업보가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로 인해 생겨나는 것입니다.
☞ 미래에 대한 설레임{탐욕[貪, 로바, lobha]}도....
미래의 업과 업보가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로 인해 생겨나는 것입니다.
인류를 구원할 ( )의 진리가 전파될 길을 예비할 수 있도록 하십시오. ≫
▒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 )의 '반진리'의 공개 ▒
※ 업(業, kamma, SK. Karma) : 행위. 신업(身業).구업(口業).의업(意業)으로 나누고
이를 삼업(三業)이라 함. ( 몸으로 하는 행위, 말로 하는 행위, 생각으로 하는 행위 )
※ 업보(業報, Kamma-vipaka) : 행위의 결과, 업(業)의 과보(果報)이며, (안, 이, 비,
설, 신, 의) 6가지 문(門)으로 나타나는 마음의 대상.
※ ( 업 = 행위 ), ( 업보 = 행위의 결과 = 대상 )
--------------------------------------------------------------------------
● 자아선택우연(自我選擇偶然) : 업과 업보는 고정불변한 자아(Ego, '나'라는 개념)
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고정불변한 자아('나')가 업을 짓고,
업보를 받는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 과거의 업과 업보는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우연한 현상이었고,
▷ 현재의 업과 업보도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현상이고,
▷ 미래의 업과 업보도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
이 견해는 어리석음{치(痴), 무명, 모하, moha}과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 ditthi)이라는 마음의 작용에서 나온 견해 이며,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합니다.
☞ (자아선택우연)의 '반진리'가 너희를 구속되게 하리라.
--------------------------------------------------------------------------
◈ (자아선택우연)의 '반진리'가 모든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과정
1. 탐욕[貪, 로바, lobha]에 구속되는 과정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탐욕[貪, 로바, lobh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와 '타아(他我)'가 대상을 선택할 수 없다면, 대상에 대한 탐욕[貪, 로바,
lob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대상에 대하여 탐욕[貪, 로바, lobha]을 부려본 들,
'아(我)'와 '타아(他我)'가 선택할 수도 없는 대상이므로, '아(我)'와 '타아(他我)'
하고는 무관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탐욕[貪, 로바, lobh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2. 성냄[嗔, 도사, dos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와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와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행위의 결과'에 대한 성냄
[嗔, 도사, dosa]이 생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아내가 내가 싫어하는 '행위'를 하고, 그 '행위의 결과'를 본(인식한) 내가
화{성냄[嗔, 도사, dosa]}가 났을 경우, 나는 아내에게 내가 싫어하지 않는 '행위'를
할 수 있는 선택권이 있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아내에게 '행위'의 선택권이 없다면, 아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에서 저지른 '행위'
로 인해 나타난 '행위의 결과'인데, 아내에 대한 성냄[嗔, 도사, dos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내가 잘못한 '행위'를 하여, 나에게 화{성냄[嗔, 도사, dosa]}가 났을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나에게 '행위'의 선택권이 없다면, 나에 대한 성냄[嗔, 도사,
dos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성냄[嗔, 도사, dos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3. 어리석음[痴, 모하, moha]에 구속되는 과정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로 업을 짓고, 업보를 받기
때문에, 어리석음[痴, 모하, moh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는 것입니다.
4.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에 구속되는 과정
과거의 업과 업보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이 생기는 것입니다.
과거의 업과 업보가 '아(我)'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 우연한 현상이 아니었다면,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과거에 대한 후회와
회한[꾹꿋차,kukkucc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5.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에 구속되는 과정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이 생기는 것입니다.
대상에 대한 선택이 '아(我)'의 선택에 의해 결정되는 우연한 것이 아니라면,
대상에 대한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의심[위찌낏차,
vicikicch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6. 시기와 질투[잇사, iss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행위의 결과'에
대하여 시기와 질투[잇사, issa]가 생기는 것입니다.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의
결과'가 아니라면, 시기와 질투[잇사, issa]는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시기와 질투[잇사,
issa]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7.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인색함[맛차리야,
macchariy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8.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ditthi]에 구속되는 과정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로 업을 짓고, 업보를 받기
때문에, 있는 그대로 바르게 보지 못함[딧티, ditthi]이라는 번뇌에 구속되는
것입니다.
9.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와 '행위의 결과'가 '아(我)'의 선택 또는 '타아(他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와 '행위의 결과'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교만이나 자만
[마나, man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와 '타아(他我)'가 '행위'와 '행위의 결과'를 선택할 수 없다면,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교만이나 자만[마나,
man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0.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양심없음[아히리까,
ahirik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1.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수치심없음[아놋땁빠,
anottapp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2.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산만함과 들뜸[웃닷짜,
uddhacca]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3. 나태[티나, thin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나태[티나, thina]가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나태[티나, thina]는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나태[티나, thina]
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14. 무기력[밋다, middha]에 구속되는 과정
'행위'가 '아(我)'의 선택에 의한 우연한 '행위'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무기력[밋다, middha]이 생기는 것입니다.
'아(我)'가 행위를 선택할 수 없다면, 무기력[밋다, middha]은 무의미한 것입니다.
∴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한 우연이라는 견해가, 무기력[밋다, middha]
이라는 번뇌에 구속되게 하는 것입니다.
--------------------------------------------------------------------------
☞ 미래에 대한 두려움{성냄[嗔, 도사, dosa]}도....
미래의 업과 업보가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로 인해 생겨나는 것입니다.
☞ 미래에 대한 설레임{탐욕[貪, 로바, lobha]}도....
미래의 업과 업보가 고정불변한 자아('나')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우연한 현상이라는
견해로 인해 생겨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