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글 수 18,275
진리와 진실과의 관계 3
얼마 전 일본에 오야마 아오미네라는 문학박사 한 분이 있었다.
그 분에게 늙은 하녀가 있었는데, 그녀가 병자를 앉혀놓고 뭐라고 중얼거리기만 하면 병이 금세 낫곤했다. 박사가 생각하니 참으로 신기하고 가관이었다. 그것이 미신인 것만은 분명한데병이 완쾌되니 말이다. 그래서 하녀를 보고 무엇을 이르느냐고 물었다.그러자 하녀는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듣고 박사가 생각해 보니 오무기는 보리요 고무기는 밀,이소고고는 두 되 다섯 홉이란 말이었다.``보리 밀 두 되 다섯 홉``이란 말에 병이 나을 까닭이 없는데 환자들의 병이 잘 낫는 것이 박사는 이상하기만 했다.
일본에서 문학박사가 되려면 불교를 모르고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불교의 경전에는문학과 너무나도 관련 깊은 철학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박사도 본 일이 있는데 금강경에``응무소주이생기심`` 즉 `응당 머무름 없이 그 마음을 낸다`고 하는 구절이있다.육조 혜능 대사도 다른 사람이 금강경을 읽을때 바로 그 구절을 듣고 도를 깨달은 일이 있다.
이 구절을 일본어로 읽으면``오무소주 이소고신``인데, 누가 그렇게 말하는 것을 하녀가 잘못 듣고 외워서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고 한 것이다.
박사가 하녀에게 외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바르게 고쳐주자, 다음부터는 그렇게 환자들 앞에서 외었다.그런데 이상하게도 환자들의 병은 낫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보리 밀 두 되 다섯 홉이라는``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고 바꾸어서 외우자 환자의 병이 낫는 것이었다.
그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 박사가 말해 준 것이 맞지만...`이렇게 하면 환자의 병이 나을까?! 이것이 옳은가,그른가?!`하는 의심이 나서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화엄경에 믿음은 도의 근원이요, 공덕의 어머니라 모든 성현의 법을 길러 낸다고 했다.
믿음은 거기서 모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얼마 전 일본에 오야마 아오미네라는 문학박사 한 분이 있었다.
그 분에게 늙은 하녀가 있었는데, 그녀가 병자를 앉혀놓고 뭐라고 중얼거리기만 하면 병이 금세 낫곤했다. 박사가 생각하니 참으로 신기하고 가관이었다. 그것이 미신인 것만은 분명한데병이 완쾌되니 말이다. 그래서 하녀를 보고 무엇을 이르느냐고 물었다.그러자 하녀는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고 대답했다.
이 말을 듣고 박사가 생각해 보니 오무기는 보리요 고무기는 밀,이소고고는 두 되 다섯 홉이란 말이었다.``보리 밀 두 되 다섯 홉``이란 말에 병이 나을 까닭이 없는데 환자들의 병이 잘 낫는 것이 박사는 이상하기만 했다.
일본에서 문학박사가 되려면 불교를 모르고는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불교의 경전에는문학과 너무나도 관련 깊은 철학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박사도 본 일이 있는데 금강경에``응무소주이생기심`` 즉 `응당 머무름 없이 그 마음을 낸다`고 하는 구절이있다.육조 혜능 대사도 다른 사람이 금강경을 읽을때 바로 그 구절을 듣고 도를 깨달은 일이 있다.
이 구절을 일본어로 읽으면``오무소주 이소고신``인데, 누가 그렇게 말하는 것을 하녀가 잘못 듣고 외워서 ``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고 한 것이다.
박사가 하녀에게 외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바르게 고쳐주자, 다음부터는 그렇게 환자들 앞에서 외었다.그런데 이상하게도 환자들의 병은 낫지 않았다. 그래서 다시 보리 밀 두 되 다섯 홉이라는``오무기 고무기 이소고고``라고 바꾸어서 외우자 환자의 병이 낫는 것이었다.
그 이유가 어디에 있는가,?! 박사가 말해 준 것이 맞지만...`이렇게 하면 환자의 병이 나을까?! 이것이 옳은가,그른가?!`하는 의심이 나서 그런 것이 아니겠는가...
*화엄경에 믿음은 도의 근원이요, 공덕의 어머니라 모든 성현의 법을 길러 낸다고 했다.
믿음은 거기서 모두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